화루선
![]() |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
화루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중화민국 잉청저우 제도 연방 류큐 공화국 일본민국 |
기점 | 화롄역 |
종점 | 야마카와역 |
역 수 | 50 |
수송 실적 | 연간 12억 3840만명(2020) |
개통일 | 1890년 2월 3일(구이서우(貴壽)~추시(秋勢, 현 아키시) 구간) |
화롄(花蓮)~구이서우(貴壽) 구간 개통[1] | 1982년 5월 10일 |
아키시(秋勢)~이츄만(糸滿) 구간 개통[2] | 1986년 12월 23일 |
이츄만(糸滿)~나화(那覇)~나구(名護)~쿤잔(國頭) 구간 개통[3][4] | 1959년 3월 7일 |
쿤잔(國頭)~가고시마추오(鹿児島中央) 구간 개통[5] | 1990년 4월 1일 |
소유자 | 동아시아평화우호공공철도운영기금회[6] |
운영자 |
타이완 철로관리국 (화롄~시구이서우 정점)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공공철로관리국 (시구이서우 정점~이리유나구니 정점) 류큐철도공사 (이리유나구니 정점~ 아가리다치구 정점) JR 큐슈 (아가리다치구 정점~야마카와역) |
노선 제원 | |
노선 거리 | 1579.5 km |
궤간 | 1067 mm (케이프 궤간) |
선로 수 |
6(구이서우~아키시) 4(아키시~아시투) 2(화롄~구이서우/아시투~야마카와) |
전철화 | 25kv 교류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신호 방식 | ATC/ATS/ATO 겸용 |
차량 한계 | 가공전차선 고려 시 최대 5.3 m |
최대 경사 | 20 ‰ |
최소 곡선 반경 | 1500 m |
영업 최고 속도 | 160 km/h |
설계 최고 속도 | 200 km/h |
화루선(중국어: 花鹿線 화루셴, 민난어: 花鹿線 화록샨, 하카어: 花鹿線 파룩시엔, 우어: 花鹿線 호록시, 광둥어: 花鹿線 파룩신, 일본어: 花鹿線 카로쿠센, 오키나와어: 花鹿線 카루쿠신)은 중화민국 타이완 성 화롄 현 화롄 화롄역에서 일본민국 가고시마 현 이부스키 시 야마카와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잉청저우 직할시를 지나는 구간은 잉청저우 직할시의 교통 분담에 상당한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류큐 공화국의 육로 간선망 역할을 하기도 한다. 잉청저우역에서 잉추선이 분기한다. 잉청저우 시내 지하화 및 류큐 공화국의 많은 섬들을 지나느라 지상에 놓기 부족한 구간이 많은 악조건 속 철도망 연결을 충족하기 위해, 서우펑 분기점에서 지하로 들어가 류큐 공화국에서 이시카치 섬 구간(이시카치역~이시카치공항역), 우치나 섬 구간(이츄만역~쿤잔역), 이라부 섬 구간(이라부와두마이역~이라부공항역), 두쿠누 섬 구간(이신역~두쿠누시마역), 아마미우 섬 구간(아마미시두우치역~다치구역)을 제외하면 전부 지하 터널로 되어 있는 지하 구간[7]인 것과 화롄 역에서 서우펑 분기점까지의 구간을 타이완 철로관리국의 타이둥선과 공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운행계통 목록[edit | edit source]
화루선의 경우에는 1579.5km라는 길이에 4개국을 거치고, 이에 연결된 철도망마저 10개국 이상의 수십개 노선이 연결되어 있을 정도로 광대한 대륙철도망의 일원이 되고 있으므로, 몇몇 단거리 각국 국내 운행계통 외에도 갖가지 막장스러운 중장거리 국제 운행계통이 매우 많이 나온다. 중장거리 계통의 경우 광대한 대륙철도망에 의해, 타 철도 노선과의 직결운행을 통해 운행 중이다.
- 구이서우~잉청저우~아키시[8]
- 화롄~이시카치
- 타이베이~잉청저우
- 타이베이~도쿄
- 유즈노사할린스크(도요하라)~도쿄~잉청저우
- 난징~잉청저우
- 난징~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잉청저우권 전철 화루선
- 나화~잉청저우~이스트코스트
- 잉청저우~가고시마주오
- 이스트코스트~잉청저우~하카타
- 아마미~이시카치[9]
- 타이베이~하카타
- 화롄~가고시마주오
- 타이베이~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사이공~하노이~난닝~광저우~차오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사이공~하노이~난닝~광저우~차오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
- 맨체스터~런던~파리~스트라스부르~쾰른~베를린~바르샤바~브레스트~민스크~스몰렌스크~모스크바~페르먀~예카테린부르크~올란우데~울란바토르~베이징~난징~상하이~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스화~카마키
- 맨체스터~런던~파리~스트라스부르~쾰른~베를린~바르샤바~브레스트~민스크~스몰렌스크~모스크바~페르먀~예카테린부르크~올란우데~울란바토르~베이징~난징~상하이~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오사카
- 부산~동대구~대전~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부산~동대구~대전~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
- 부산~경주~영주~충주~청량리~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부산~경주~영주~충주~청량리~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
- 목포~광주송정~익산~서대전~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
- 목포~광주송정~익산~서대전~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역 목록[edit | edit source]
- 중화민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중국어권(화어권) 지역(잉청저우 시에서 잉청허(瀛城河) 이서 및 완잉 구(宛英區) + 신잉청현 잉청저우 섬 부분 일대에서 스기 시(杉市), 세이란 시(淸蘭市), 나부샤 진, 틴샤 진을 제외한 전체)의 경우, 표준중국어 역명의 로마자 표기에 통용병음을 필수로, 그 외 지역에서는 표준중국어 역명의 표기를 위해 편의상 통용병음을 자발적으로 사용하며, 그에 따라 중화민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표준중국어 역명의 로마자 표기는 통용병음으로 사용된다.
- 등급은 타이베이발 도쿄행 열차 기준이다.
역 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쯔창하오[10] | 쥐광하오[11] | 푸싱하오[12] | 푸콰이처[13]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북회선 쑤아오신역 방면(타이베이역 방면) | ||||||||||||||
화롄 | Hualien | 花蓮 | 0.0 | 0.0 | ● | ● | ● | ● | 북회선 타이둥선[14] 난루고속선 |
중화민국 | 화롄 현 | 화롄 시 | 대만 철로관리국 역번호 051 | |
지안 | Jian | 吉安 | 3.4 | 3.4 | | | ▲ | ● | ● | 타이둥선[14] | 중화민국 | 화롄 현 | 지안 향 | 대만 철로관리국 역번호 045 | |
즈쉐 | Jhihsyue | 志學 | 9.0 | 12.4 | | | | | ▲ | ● | 타이둥선[14] | 중화민국 | 화롄 현 | 서우펑 향 | 대만 철로관리국 역번호 043 | |
핑허 | Pinghe | 平和 | 2.9 | 15.3 | | | | | ▲ | ● | 타이둥선[14] | 중화민국 | 화롄 현 | 서우펑 향 | 대만 철로관리국 역번호 042 | |
서우펑 | Shoufeng | 壽豐 | 1.9 | 17.2 | | | | | ▲ | ● | 타이둥선[14] | 중화민국 | 화롄 현 | 서우펑 향 | 대만 철로관리국 역번호 041 | |
서우펑 분기점 | Shoufeng Junction | 壽豐分歧點 | 0.6 | 17.8 | | | | | | | | | 타이둥선[14] | 중화민국 | 화롄 현 | 서우펑 향 | ||
서우펑 정점 | Shoufeng Shelter | 壽豐定点 | 13.4 | 31.2 | | | | | | | | | 중화민국 | 화롄 현 | 서우펑 향 | |||
시구이서우 정점 | Siguishou Shelter | 西貴壽定点 | 53.8 | 85.0 | | | | | | | | | 중화민국 | 화롄 현 | 서우펑 향 | |||
Y101 | 구이서우 | Guishou | 貴壽 | 12.7 | 97.7 | ▲ | ● | ● | ● | 난루고속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시 구 | |
Y102 | 민허후이 | Minhehui | 民和會 | 5.3 | 103.0 | | | | | | | ●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시 구 | ||
Y103 | 량허 | Lianghe | 兩和 | 4.7 | 107.7 | | | | | ● | ● | ■ 잉청저우 첩운 슐수이광 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시 구 | |
Y104 | 와싱 | Wasing | 瓦興 | 5.0 | 112.7 | | | | | | | ●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시 구 | ||
Y105 | 시잉청저우 | Siyingchengjhou | 西瀛城州 | 5.3 | 118.0 | | | ● | ● | ● | ■ 잉청저우 첩운 시푸 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중 구 | |
Y106 | 허톈 | Hetian | 和田 | 7.0 | 125.0 | | | | | | | ●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중 구 | ||
Y107 | 샹핑 | Siangping | 相坪 | 4.2 | 129.2 | | | | | ● | ●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중 구 | ||
Y108 | 하샹 | Hasiang | 哈像 | 4.3 | 133.5 | | | | | | | ● | ■ 잉청저우 첩운 환상 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중 구 | |
Y109 | 잉청저우 | Yingchengjhou | 瀛城州 | 5.2 | 138.7 | ● | ● | ● | ● | ■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난루고속선 잉징고속선 잉추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중정 구 | |
Y110 | 토헤이 | Tōhei | 途坪 | 3.9 | 142.6 | | | | | | | ● | ■ 잉청저우 첩운 환상 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주오 구 | |
Y111 | 아지무투 | Ajimūtu | 安司本 | 3.9 | 146.5 | | | | | ● | ●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기타요시 구 | ||
Y112 | 시나카쿠 | Shinakaku | 品角 | 3.1 | 149.6 | | | | | | | ● | ■ 잉청저우 첩운 베이푸 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기타요시 구 | |
Y113 | 아키시 | Akisi | 秋勢 | 2.3 | 151.9 | | | ● | ● | ● | ■ 잉청저우 철도 환회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기타요시 구 | |
Y114 | 아시투 | AsiTū | 足藤 | 2.4 | 154.3 | | | | | | | ● | ■ 잉청저우 첩운 구이서우 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기타요시 구 | |
이치유 정점 | Ichiyū Shelter | 市洋定点 | 3.4 | 157.7 | | | | | | | |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기타요시 구 | |||
이리유나구니 정점 | Iriyunaguni Shelter | 西與那國定点 | 108.0 | 265.7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유나구니 정 | |||
쿠부라 | Kubura | 久部良 | 1.9 | 267.6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유나구니 정 | |||
유나구니 | Yunaguni | 與那國 | 6.3 | 273.9 | | | | | ● | ● | 난루고속선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유나구니 정 | ||
아가리유나구니 정점 | Agariyunaguni Shelter | 東與那國定点 | 2.6 | 276.5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유나구니 정 | |||
이리우무티 정점 | Iriumuti Shelter | 西表定点 | 73.3 | 349.8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이리우무티 정 | |||
이리우무티 | Iriumuti | 西表 | 22.7 | 372.5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이리우무티 정 | |||
쿠루시마 | Kurushima | 黑島 | 14.7 | 387.2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다키둔 촌 | |||
다키둔 | Dakidun | 竹富 | 13.4 | 400.6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다키둔 촌 | |||
이시카치 | Ishikachi | 石垣 | 7.9 | 408.5 | | | ● | ● | ● | 난루고속선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이시카치 시 | ||
이시카치 공항 | Ishikachi Airport | 石垣空港 | 10.3 | 418.8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이시카치 시 | |||
다라마 | Tarama | 多良間 | 56.7 | 475.5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다라마 촌 | |||
나쿠시마 | Nākushima | 宮古島 | 61.0 | 536.5 | ● | ● | ● | ● | 난루고속선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나쿠 시 | ||
나쿠시마 정점 | Nākushima Shelter | 宮古島定点 | 5.5 | 542.0 | | | | | | | | | 류큐 공화국 | 사치시마 현 | 나쿠 시 | |||
구미지마 정점 | Kumijima Shelter | 久米島定点 | 226.0 | 768.0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구미지마 정 | |||
구미지마 | Kumijima | 久米島 | 4.1 | 772.1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구미지마 정 | |||
아가리구미지마 정점 | Agarikumijima Shelter | 東久米島定点 | 6.9 | 779.0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구미지마 정 | |||
아라사치 정점 | Arasachi Shelter | 荒崎定点 | 111.0 | 890.0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이츄만 시 | |||
치카자토 | Chikazato | 束里 | 1.8 | 891.8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이츄만 시 | |||
이츄만 | Ichuman | 糸滿 | 4.7 | 896.5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이츄만 시 | |||
티미구시쿠 | Timigusiku | 豊見城 | 4.6 | 901.1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티미구시쿠 시 | |||
우루쿠 | Uruku | 小祿 | 2.3 | 903.4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나화 시 | |||
나화 | Nafa | 那覇 | 2.4 | 905.8 | ● | ● | ● | ● | 난루고속선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나화 시 | ||
스이 | Sūi | 首里 | 3.3 | 909.1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나화 시 | |||
우라시 | Urasi | 浦添 | 3.2 | 912.3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우라시 시 | |||
지노온나카구시쿠 | Jinōnnakagusiku[15] | 宜野灣中城 | 5.7 | 918.0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지노온 시 | |||
니시나카구시쿠 | Nisinakagusiku | 北中城 | 3.3 | 921.3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니시나카구시쿠 촌 | |||
우치나구치 | Uchinaguchi | 沖繩胡差 | 4.6 | 925.9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우치나 시 | |||
우루마 | Uruma | 宇流麻 | 4.0 | 929.9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우루마 시 | |||
우루마이시챠와 | Urumaisichawa | 宇流麻石川 | 7.6 | 937.5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우루마 시 | |||
운나 | Unna | 恩納 | 9.1 | 946.6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운나 촌 | |||
나구 | Nagu | 名護 | 19.1 | 965.7 | | | ● | ● | ● | 난루고속선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나구 시 | ||
쿤잔 | Kunjan | 國頭 | 28.1 | 993.8 | | | | | | | ● | 류큐 공화국 | 우치나 현 | 쿤잔 촌 | |||
윤누 | Yunnu | 與論 | 41.4 | 1035.2 | | | | | | | ●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윤누 촌 | |||
이라부와두마이 | Irabuwadumai | 永良部和泊 | 45.2 | 1080.4 | | | | | ● | ●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이라부와두마이 정 | |||
이라부공항 | Irabu Airport | 永良部空港 | 6.5 | 1086.9 | | | | | | | ●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이라부와두마이 정 | |||
이신 | Isyn | 伊仙 | 35.7 | 1122.6 | | | | | | | ●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이신 정 | |||
두쿠누시마 | Tukunushima | 德之島 | 9.5 | 1132.1 | | | | | ● | ●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두쿠누시마 정 | |||
아마미시두우치 | Amamisiduuchi | 奄美瀬戸内 | 55.0 | 1187.1 | | | | | ▲ | ●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아마미시두우치 정 | |||
아마미 | Amami | 奄美 | 31.1 | 1218.2 | ● | ● | ● | ● | 난루고속선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아마미 시 | ||
다치구 | Tachigu | 龍郷 | 9.6 | 1227.8 | | | | | ▲ | ●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다치구 정 | |||
아가리다치구 정점 | Agaritachigu Shelter | 東龍郷定点 | 27.0 | 1254.8 | | | | | | | | | 류큐 공화국 | 아마미 현 | 다치구 정 | |||
사쓰마나카노시마 정점 | Satsumanakanoshima Shelter | 薩摩中之島定点 | 141.0 | 1395.8 | | | | | | | | | 일본민국 | 가고시마 현 | 도시마 촌 | |||
사쓰마나카노시마 | Satsumanakanoshima | 薩摩中之島 | 9.4 | 1405.2 | | | | | | | ● | 난루고속선 | 일본민국 | 가고시마 현 | 도시마 촌 | ||
구치노시마 | Guchinoshima | 口之島 | 18.0 | 1423.2 | | | | | | | ● | 일본민국 | 가고시마 현 | 도시마 촌 | |||
구치노에라부 | Guchinoerabu | 口永良部 | 59.5 | 1482.7 | | | | | ● | ● | 일본민국 | 가고시마 현 | 야쿠시마 정 | |||
사쓰마이오지마 | Satsumaiōjima | 薩摩硫黄島 | 37.2 | 1519.9 | | | | | | | ● | 난루고속선 | 일본민국 | 가고시마 현 | 미시마 촌 | ||
미나미야마카와 | Minamiyamakawa | 南山川 | 56.6 | 1576.5 | | | | | | | ● | 일본민국 | 가고시마 현 | 이부스키 시 | |||
야마카와 | Yamakawa | 山川 | 3.0 | 1579.5 | | | | | | | ● | 일본민국 | 가고시마 현 | 이부스키 시 | |||
↓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 가고시마주오역 방면 |
열차[edit | edit source]
현재 투입되는 열차[edit | edit source]
- JR 니시닛폰 285계(도쿄발 화루선 경유 전(全) 국제열차)
- JR 큐슈 415계(야마카와~미나미야마카와 간, 이후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 야먀카와~가고시마주오 구간을 통해 가고시마주오까지 직통운행)
- JR 큐슈 817계(야마카와~미나미야마카와 간, 이후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 야먀카와~가고시마주오 구간을 통해 가고시마주오까지 직통운행)
- 타이완 철로관리국 E1000형 전동차
- 타이완 철로관리국 EMU300형 전동차
- 타이완 철로관리국 EMU1200형 전동차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5000호대 디젤동차(관광열차/예비용)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6000호대 전기동차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6100호대 전기동차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6200호대 전기동차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6300호대 전기동차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7000호대 광역전철 전동차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30000호대 디젤기관차(관광열차/예비용)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40000호대 전기기관차
- 롄팡하오 객차
- 미라이호 객차
- 콩시부아호 객차
- 시티호 객차
- 류큐철도공사 킨600형 디젤기관차(관광열차/예비용)
- 류큐철도공사 이츄만700형 전기기관차
- 타이완 철로관리국 E200형 전기기관차
- 츄라호 객차
- 아지호 객차
- 쥐광하오 객차
- 푸싱하오 객차
- 푸콰이처 객차
퇴역한 열차[edit | edit source]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10000호대 증기기관차(4-6-2 축중)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20000호대 전기-증기 기관차
- 불령1등객차
- 불령2등객차
- 불령3등객차
- 독령1등객차
- 독령2등객차
- 독령3등객차
- 류큐철도공사 쿠니가미형 증기기관차
- 류큐철도공사 아마미형 증기기관차
- 류큐철도공사 킨200형 디젤기관차
- 류큐철도공사 이츄만100형 전기기관차
- 류큐철도공사 인380형 객차
각주[edit | edit source]
- ↑ 동시에 1964년부터 진행된 구이서우~아키시 구간인 잉청저우 시내 구간의 철도 지하화가 완공되었다.
- ↑ 잉청저우 시내 구간 철도 지하화(+복복선화) 및 화롄 연장이 개통한 이후에도 제반사정으로 인해 1983년 4월이 되어서야 개통한 잉청저우권 전철 화루선이 이때 아시투역까지 연장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 이츄만~나화 구간은 전쟁 이전 제정 일본 하의 오키나와 현영철도의 노선 중 이토만선을 계승한다.
- ↑ 나화~나구 구간은 전쟁 이전 제정 일본 하의 오키나와 현영철도의 노선 중 카데나선과 전쟁 이전 제정 일본 하의 오키나와 궤도를 계승한다.
- ↑ 물리적 기점으로는 야마카와역까지이며, 야마카와~가고시마추오는 기존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을 복선 전철화하여 해결했기에, 야마카와~가고시마추오 간은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으로 분류된다.
- ↑ 중화민국, 잉청저우 제도 연방, 류큐공화국, 일본민국 4개국이 출자한 재단으로, 본부는 중화민국 타이완성 화롄현 화롄시에 있으며, 1990년 4월 1일 해당 재단에 출자한 4개국이 공동으로 협의 하에 화루선의 소유권을 해당 재단으로 이전시켰다. 아니, 해당 재단 자체가 아예 처음 출범부터가 화루선 완전 개통 이후의 소유권 문제 해결을 위해 만든 국제재단이다.
- ↑ 그 중 85% 정도가 해저터널 구간이며, 해저터널 구간은 침매터널로 되어있다.
- ↑ 화루선 관련 운행계통 중에서 가장 짧은 운행계통이다.
- ↑ 쯔창하오, 롄팡하오에 대응되는 등급인 난주지시이호는 아마미~먀쿠시마 운행 계통으로 운행함.
- ↑ 동격 열차인 푸유마하오, 타로코하오 또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대응 등급인 롄팡하오를 포함하며, 푸유마하오, 타로코하오만 정차 시 선택 정차로 간주.
- ↑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대응 등급인 미라이호 포함
- ↑ 운임체계가 동일한 구간처 또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대응 등급인 콩시부아호를 포함하며, 구간처만 정차 시 선택 정차로 간주
- ↑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대응 등급인 시티호 포함.
- ↑ 14.0 14.1 14.2 14.3 14.4 14.5 화롄~서우펑 구간(정확히는 서우펑 분기점까지)은 타이둥선과의 중복지정구간이다.
- ↑ 연음으로 인한 장음화로 인해 이와 같은 로마자 표기가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