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커우 섬 공화국
주의.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표현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거나, 본문의 개연성이 낮아 해당 문서 및 그 관련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
![]() |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각 세계관이나 각 단일 설정에서 채용한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각 세계관 혹은 각 단일 설정을 창작하는 창작자가 작성한 작성한 공식 설정이므로, 각 세계관 혹은 각 단일 설정의 창작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단순 오류나 오타를 고치는 것 이외의 편집을 시도하는 행위는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정 가능 여부를 문서 작성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 |
헤이커우 섬 공화국 | |||||
---|---|---|---|---|---|
| |||||
국가 | [[헤이커우 섬 공화국의 국가|헤이커우 행진곡]] | ||||
![]() 행정구역도 | |||||
수도 | 탕숭 | ||||
최대 도시 | 탕숭 | ||||
정치 | |||||
총통 | 바오충싱 | ||||
총리 헌법재판소장 입법원장 대법원장 |
산칭룽 마타오샹 리더민 어우양쿤샤오 | ||||
역사 | |||||
정부수립 | |||||
• 헤이커우 대총제 수립(남부) | 1735년 9월 3일 | ||||
• 미국인 정착지역 형성(북부) | 19세기 초 | ||||
• 칭탕 조약 | 1829년 3월 7일 | ||||
• 헤이커우 섬 공화국 수립 | 1884년 8월 3일 | ||||
지리 | |||||
면적 | 69,239 km2 | ||||
시간대 | HST (UTC+9) | ||||
인문 | |||||
공용어 | 헤이커우 표준 화어(표준중국어의 헤이커우 섬 버전) | ||||
지역어 | 일본어, 오가사와라어, 영어 | ||||
인구 | |||||
2020년 어림 | 36,395,013명 | ||||
인구 밀도 | 525.6명/km2 | ||||
경제 | |||||
• 일인당 | 30,409$ | ||||
HDI | 0.903 2020년 조사) | ||||
통화 | 헤이커우 위안 (H元) | ||||
기타 | |||||
ISO 3166-1 | HO, HOU | ||||
도메인 | .HO, .鶴口島 | ||||
국제 전화 | +89 |
헤이커우 섬 공화국(중국어: 鶴口島共和國/hèkǒudǎoɡònɡhéɡuó 헤커우다오궁허궈, 일본어: 鶴口島共和国/つるぐちしまきょうわこく 츠루구치시마쿄와코쿠, 영어: Republic of Heikou 리퍼블릭 오브 헤-쿼, 프랑스어: République Heikou 레푸블리크 에쿠어, 스페인어: República de Heikou 레푸블리카 드 헤이쿠-, 독일어: Heikou Republik 허이커우 레푸블릭)는 동아시아의 남동부에 위치한 국가[3]이다. 국가 단위로는 지리상으로 가장 고립된 국가로 유명하지만, 그것을 비행기를 통한 항공편이나, 화물선, 여객 페리선, 고속선 등을 동원한 해운편 등으로 극복해냈다.
지리[edit | edit source]

국토 그 자체인 헤이커우 섬은 본래 북태평양 남쪽의 일본민국 최동단 섬인 미나미토리시마에서 가까운 큰 해산이었으며, 그 일대에서 3천 3백만년 전에 격한 화산 분출을 통해 헤이커우 섬의 북부가 융기 및 생성되었으며, 3천만년 전에 헤이커우 중앙 구릉이 융기하였고, 2천 7백만년 전에 헤이커우 섬의 남부 산지가 생성되었으며, 2천 5백만년 전에 펑밍 평야의 동부가 화산대지로써 생성되었고, 그 이후부터의 지속적인 퇴적 작용에 의해서 지금의 국토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국토 생성 과정에서의 여러 단계의 분출이 격한 분출이라고 하지만, 헤이커우 섬은 하와이 열점대에서 비껴 나간 해산이었으므로, 해발고도 상으로 최고 1천 미터가 좀 넘는 부분, 최저 2~60 미터 정도만이 바다 위로 솟아 오른 형태를 취한다. 이로서 헤이커우 섬은 북부 2곳과 남부 2곳의 대형 화산[4]과 헤이커우 중앙 구릉, 그리고 그 사이를 메꾼 메이충저우 지협, 북서부의 펑밍 평야, 그리고 해안의 30~70km 정도로 펼쳐진 해안평야와 그들을 헤집고 들어가는 강과 그로 인한 여러 삼각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명인 헤이커우의 유래[edit | edit source]
본래 이 섬을 보면, 헤이커우 섬을 북서부에서 본 유럽 국가들 및 일본인들의 시각에서 학의 모양을 하는 것과 같이 섬이 이뤄져있는데, 그것에서 학구도라는 이름이 붙었고, 중국인들이 그 소식을 전해들을 이후 남부에 정착할 때, 그 소식에서 전해들은대로 헤커우(허커우)라고 명했다. 그러면서 헤이커우 대총제가 수립된 이후, 헤커우(허커우)가 서양인들 혹은 일본인들의 입을 거치며 발음이 와전되며, 헤이커우라는 이름으로 칭하게 되었다. 다만, 현대에 들어 인공위성 기술이 발전해, 지형을 확인하게 된 이후에는 헤이커우 섬의 지형도는 학이 아닌, 기괴한 생물과 코끼리가 같이 뭍힌 빙하 화석과 같이 보이는 모양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지명을 바꿔야 한단 논의도 있었으나, 오래토록 내려져 온 지명인지라, 구체적인 논의가 되지는 않고 흐지부지 되었다.
역사[edit | edit source]
고대와 중세 : 미지의 땅 헤이커우, 오스트로네시아인들도 잠깐 들르다 만 땅[edit | edit source]
근세 : 화교와 유럽인, 그리고 일본인의 각기 다른 곳의 상륙 및 정착[edit | edit source]
북부 - 유럽인과 일본인의 정착, 그리고 그들 간의 쟁탈전 및 유지[edit | edit source]
남부 - 화교의 정착과 헤이커우 대총제의 수립[edit | edit source]
근대 : 갑신경장, 그리고 민주공화국, 더해서 하나된 헤이커우 섬...?[edit | edit source]
현대 : 중화권과 프랑스어권, 독일어권, 그리고 영어권과 스페인어권, 일본어권[edit | edit source]
정치[edit | edit source]
틀:헤이커우 섬 공화국 상하원 의석 본래 1884년 갑신경장으로 헤이커우 대총제에서 헤이커우 섬 공화국으로 국체 전환을 이뤘을 때부터 1944년 이전까지는 대통령제 공화국이었고, 1944년 제정 일본의 침략을 축출해내자 마자, 이원집정부제 체제로 바꾸어 현재에 이른다.
상원 100석과 하원 400석으로 의회가 구성되며, 그 중 과반수 이하의 가장 많은 의석을 지닌 제1당의 인사 중 한 명이 소수당과 연정하거나 과반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단독 내각을 구성하는 식으로 총리가 선출되고 내각이 만들어지며, 프랑스의 정치학자 듀베르제의 말 그대로 "대통령이 소속된 당(여당)이 다수당일 때는 대통령제의 특징이 나타나고, 여소야대가 발생해 타 정당과의 연정을 통해 동거정부를 구성할 때는 의원내각제의 특징이 나타나는" 보통의 이원집정부제 국가와 달리, 총리는 선출되어 취임한 후 바로 대통령과 함께 본인의 전문분야와 본인이 감당 가능한 분야를 합쳐, 분야별로 국정 권한을 분할하여 임기와 정무를 수행한다. 대통령은 4년 중임제로서 선출된다. 현재 바오충싱 총통은 주로 내정 분야를, 산칭룽 총리는 외치 분야를 선택하여, 정상회담에서는 산칭룽 총리가 참석하고 있다.
현재 여당은 헤이커우다오 민주당이며, 원내에 의석이 있는 야당으로는 헤이커우다오 사회당, 헤이커우다오 공화당, 헤이커우다오 녹색당, 헤이커우다오 해적당이다.
행정 구역[edit | edit source]
경제[edit | edit source]
독자적인 수입 대체 산업과 세계적인 투자를 받음으로 형성된 경공업에서 발전한 중화학 공업과 국가를 타국과 이어주는 해운업 및 항공 산업이 극히 발전한 나라로 유명하며, 최근에는 우주 개발에 뛰어드는 것을 시작으로 우주 산업도 항공 산업의 응용으로써 발전하는 중이다. 경공업은 1990년대 후반 이후 타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긴 자국 기업에 의해 크게 쇠퇴한 편이다. 정보통신 산업에서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을 추격하는 추격자 포지션을 맡고 있을 정도로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 정도와 속도가 동아시아에서 많이 뒤쳐지는 편이었다.
문화[edit | edit source]
문화 개요[edit | edit source]
남부에 주로 정착했던 푸젠, 광둥[5], 하이난 등의 3개 성의 사람들과 하카인 등의 여러 집단으로 분류되는 남중국 일대에서 몰려 들어온 많은 수의 화교들이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북부에 정착한 소수의 유럽인과 일본인의 문화가 섞이면서 지금의 문화가 만들어졌다. 전통적으로 북부에서는 일본식의 목조 건축 문화와 서양식의 석조 건축 문화가 어우러졌으며, 서양식의 육류 요리와 일본식의 해산물 요리가 섞였고, 남부에서는 한족들의 다양한 지역별 요리가 융합되어, 헤이커우 섬의 기후에 맞춰 현지화되었고, 순전히 남중국에서 통용되던, 벽돌을 사용한 건축, 푸젠 방식의 삼합원 및 정자교, 당루(기루)과 토루, 화려한 장식, 광둥 방식의 정원 문화 등이 어우러진 문화를 지녔다.
그러나, 칭탕 조약 이후로 헤이커우 대총제가 헤이커우 섬 전역으로 영토를 확장하면서 유럽 세력이 철수할 때 북부에 남은 유럽인과 일본인은 캐나다의 퀘벡 지역과 같은 문화적/민족적/언어적 섬을 만들었으며, 그 이후 헤이커우 대총제의 영향력이 헤이커우 섬 전역으로 퍼지며 한족이 대거 이주함과 동시에 이촌향도 현상이 가속화되는 등을 거치면서, 유럽계와 일본계, 중국계가 헤이커우 섬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모든 민족이 하나의 국가를 이루는 단일 국가 의식을 가지게 되며 헤이커우 섬 공화국으로 바뀐 이후에는 중화권, 스페인어권, 영어권, 일본어권에 모두 발을 걸칠 수 있다는 장점을 이용해, 근대 초기 동아시아의 대중문화와 근대 문물, 상공업 경제를 이끄는 중심이 되었고, 이때 정립된 헤이커우 섬 지역의 대중문화는 근현대적이면서, 각각의 요소를 융합한, 서구의 가치관을 토대로 전통적 요소를 녹인, 온고지신의 적극적 모델이 되었다.
방송통신[edit | edit source]
1929년 라디오를 개국하고, 1957년 텔레비전을 개국한 공영방송 HOIBC가 사실상 1970년대 후반까지 독점적 지위를 누리다가 1955년 지역 민영 라디오 방송 개설 해금, 1969년 지역 민영 텔레비전 방송 개설 해금을 통해 이러한 지위에 금이 간 상황에서, 1980년에 완전히 민영방송을 허용하게 되면서 이러한 독점적 지위의 붕괴로 방송계는 지금에 이른다. 컬러방송은 1970년에 시작해서 1977년 완성했으며, 아날로그 TV는 M 체계 - NTSC 방식을 사용하였다.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에는 ATSC를 사용하며, 2004년 첫 방송 이후로 2014년 11월 2일 디지털 방송 전환을 전국적으로 한번에 단행했다.
통신의 경우 갑신경장 직후인 1884년 말에 탕숭과 저우양에 처음으로 전화가 들어온 이후로 10년동안 전화망이 연결된 데에서 시작하여, 1899년 탕숭을 시작으로 1906년까지 전신망이 연결되었고, 1950년대에 전화 자동화를 이룩한 뒤에 1970년대에 모든 대학에 인터넷을 연결 및 전국적 전화모뎀 PC통신을 도입했다. 그 이후 1989년 이동전화의 도입 및 1991년에 인터넷을 도입, 2003년이 되어야 초고속 광랜 인터넷이 탕숭, 저우양과 각 현 현청 소재지를 비롯한 중심 도시 및 그 주변 도시에 도입되어 대도시 보급에 5년이 걸린 끝에, 2021년이 되어서야 초고속 광랜 인터넷의 전국망화가 완료되었다. 이동통신은 현재 3세대 이동통신이 주류이며, 4세대 이동통신은 대도시 가입자 중심이다. 유선전화는 공기업이 관리하고, 이동통신사는 5개 사영 회사가, 인터넷은 4개 사영 회사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각주[edit | edit source]
- ↑ 한어병음 기준으로는 hèkǒudǎoɡònɡhéɡuó
- ↑ 히라가나 기준으로는 つるぐちしまきょうわこく
- ↑ 국가 위치 상, 오세아니아의 북동부에 위치했다고도 할 수 있지만, 아시아와의 유대 관계가 깊고, 자신들 스스로도 아시아 정체성이 주요 정체성이고, 주요 문화도 아시아 국가의 문화로 이루어져 있는 국가인 만큼, 국제사회에서는 아시아로 보고 있다. 지리적으로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에 있지만, 유럽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는 남캅카스 4국(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소치 압하지아 공화국)을 유럽으로 보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 ↑ 북부는 상닝산(相寧山), 통처우산(通儔山), 남부는 밍량산(鳴亮山), 허수이산(㵑水山)이며, 이들 모두 전술한 이유로 인해, 최고봉인 통처우산의 높이가 1천 미터를 좀 넘는 수준이다. 결국 화산체가 크다는 것이다.
- ↑ 중부와 서부의 월인과 동부 차오저우 일대의 푸젠 화교와 비슷한 문화와 몇몇 지역어를 공유하던 치우차우 화교 통틀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