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철도 노선 정보/설명문서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철도 노선 정보에 관련된 틀입니다.
사용법[edit source]
본래 위키백과의 위키 소스인 미디어위키에서 제공하는 기본 틀이므로 사용법은 위키백과와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항목은 모두 선택 사항입니다.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풀기:PAGENAME}} |노선명 = |노선명2 = |배경색 = |배경색2 = |로고 = <!-- 로고.svg --> |로고크기 = <!-- px --> |그림 = <!-- 그림.jpg --> |그림크기 = <!-- px --> |그림설명 = |그림2 = <!-- 그림.jpg --> |그림크기2 = <!-- px --> |그림설명2 = |통칭 = |현황 = |나라 = |소재지 = |종류 = |체계 = |상태 = |노선망 = |구간 = |기점 = <!-- [[ 역]] --> |종점 = <!-- [[ 역]] --> |역수 = |경유노선 = |수송실적 = |이용자 = |전보 약호 = |노선 기호 = |노선 번호 = |노선색 = |개통일 = |항목1 = |날짜1 = |항목2 = |날짜2 = |항목3 = |날짜3 = |항목4 = |날짜4 = |최후연신 = |전역사개통 = |일시운행중단 = |폐지일 = |재개통일 = |소유자 = |운영자 = |노선 구조 = |차량 기지 = |차량 = |총연장 = <!-- 41 km --> |영업거리 = <!-- km --> |실거리 = <!-- km --> |시설연장 = |궤간 = |궤도 = |선로 = |전철화 = |복선구간 = |신호구간 = |신호방식 = |차량한계 = |최대경사 = <!-- ‰ --> |최소곡선반경 = <!-- m --> |고저차 = |폐색방식 = |보안장치 = |랙방식 = |영업최고속도 = <!-- km/h --> |설계최고속도 = <!-- km/h --> |역간평균거리 = |제원 비고 = 내용 |노선도 = |노선도표시 = <!-- collapsed --> }}
- 노선명: 노선의 정식 명칭을 입력합니다.
- 노선명2: 노선의 별명이나 통용 명칭 등을 입력합니다.
- 배경색: 제목 셀의 배경색을 입력합니다.
- 배경색2: 제목 셀의 두번째 배경색을 입력합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참조).
- 그림, 그림2: 표 상단에 넣을 그림을 입력합니다.
- 그림크기, 그림크기2: 그림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 그림설명, 그림설명2: 그림의 설명을 입력합니다.
- 종류: 노선의 종류를 고속철도, 간선 철도, 통근 철도, 경전철, 도시 철도, 화물선 등으로 입력합니다.
- 국가: 노선이 지나가는 국가를 입력합니다.
- 체계: 노선이 속해 있는 체계를 입력합니다.
- 상태: 현재 노선의 상태를 영업 중, 영업 중지, 폐선 등으로 나타냅니다.
- 노선: 운행 계통의 경우, 그 계통이 실제로 사용하는 (서류상의) 노선을 입력합니다.
- 기점, 종점: 그 노선의 기종점을 입력합니다.
- 역수: 노선에 속해 있는 역 수를 입력합니다. 운행 계통의 경우 그 계통의 정차역 수를 입력합니다. 폐역은 넣지 않습니다.
- 이용자: 노선의 일평균 이용자 수를 입력합니다.
- 개통일: 노선이 처음으로 영업·사용을 시작한 날을 입력합니다.
- 폐지일: 노선이 정식으로 폐지된 날을 입력합니다. 영업 중지일 경우 (영업 중지)를 병기합니다.
- 소유자: 노선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을 입력합니다.
- 운영자: 노선을 실제로 운영하는 기관을 입력합니다.
- 영업거리: 운영 기관에서 공표한 노선의 총 영업 거리를 입력합니다.
- 실거리: 신칸센 등 영업 거리와 실제 노선 거리가 크게 차이나는 경우 실제의 노선 거리를 입력합니다.
- 시설연장: 본선, 측선, 차량기지 등을 포함한 전체 시설의 선로 연장을 입력합니다.
- 궤간: 노선의 궤간을 입력합니다. 구간별로 다르면 구간을 끊어서 기술합니다.
- 궤도: 궤도의 형식을 입력합니다.
- 선로: 노선의 선로 수를 1(단선), 2(복선·쌍단선), 4(복복선) 등으로 입력합니다.
- 전철화: 전철화 방식을 입력합니다. 급전 방식 등도 포함하여 기술합니다.
- 신호: 노선의 신호 방식을 입력합니다.
- 영업최고속도: 노선 영업 운전을 하는 열차가 그 구간 내에서 내는 가장 빠른 속도를 입력합니다.
- 설계최고속도: 노선의 시설 등이 최대한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된 속도를 입력합니다.
- 주석: 주석을 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