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역 정보/설명문서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철도역전철역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틀로써,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틀입니다.

사용법[edit source]

{{철도역 정보
| 역명 = 
| 역명2 = 
| 그림 = 
| 그림설명 = 
| 그림2 = 
| 그림설명2 = 
| 관할 = 
| 소재지 = 
| 좌표 = 
| 전보 약호 = 
| 역 구조 = 
| 개업일 = 
| 폐지일 = 
| 역번호 = 
| 종별 = 
| 등급 = 
| 코드 = 
| 승강장 = 
| 승차 인원 = 
| 노선1 = 
| 타는곳1 = 
| 영업거리1 = 
| 역번호1 = 
| 전철1 = 
| 전역1 = 
| 전거리1 = 
| 후역1 = 
| 후거리1 = 
| 전철1-1 = 
| 전역1-1 = 
| 전거리1-1 = 
| 후역1-1 = 
| 후거리1-1 = 
| 비고 = 
| 주석 = 
}}

노선 추가[edit source]

노선 추가
| 노선2 = 
| 타는곳2 = 
| 영업거리2 = 
| 역번호2 = 
| 전철2 = 
| 전역2 = 
| 전거리2 = 
| 후역2 = 
| 후거리2 = 
| 전철2-1 = 
| 전역2-1 = 
| 전거리2-1 = 
| 후역2-1 = 
| 후거리2-1 = 
| 노선3 = 
| 타는곳3 = 
| 영업거리3 = 
| 역번호3 = 
| 전철3 = 
| 전역3 = 
| 전거리3 = 
| 후역3 = 
| 후거리3 = 
| 전철3-1 = 
| 전역3-1 = 
| 전거리3-1 = 
| 후역3-1 = 
| 후거리3-1 = 
| 노선4 = 
| 타는곳4 = 
| 영업거리4 = 
| 역번호4 = 
| 전철4 = 
| 전역4 = 
| 전거리4 = 
| 후역4 = 
| 후거리4 = 
| 전철4-1 = 
| 전역4-1 = 
| 전거리4-1 = 
| 후역4-1 = 
| 후거리4-1 = 
| 노선5 = 
| 타는곳5 = 
| 영업거리5 = 
| 역번호5 = 
| 전철5 = 
| 전역5 = 
| 전거리5 = 
| 후역5 = 
| 후거리5 = 
| 전철5-1 = 
| 전역5-1 = 
| 전거리5-1 = 
| 후역5-1 = 
| 후거리5-1 = 
| 노선6 = 
| 타는곳6 = 
| 영업거리6 = 
| 역번호6 = 
| 전철6 = 
| 전역6 = 
| 전거리6 = 
| 후역6 = 
| 후거리6 = 
| 전철6-1 = 
| 전역6-1 = 
| 전거리6-1 = 
| 후역6-1 = 
| 후거리6-1 = 
| 노선7 = 
| 타는곳7 = 
| 영업거리7 = 
| 역번호7 = 
| 전철7 = 
| 전역7 = 
| 전거리7 = 
| 후역7 = 
| 후거리7 = 
| 전철7-1 = 
| 전역7-1 = 
| 전거리7-1 = 
| 후역7-1 = 
| 후거리7-1 = 
| 노선8 = 
| 타는곳8 = 
| 영업거리8 = 
| 역번호8 = 
| 전철8 = 
| 전역8 = 
| 전거리8 = 
| 후역8 = 
| 후거리8 = 
| 전철8-1 = 
| 전역8-1 = 
| 전거리8-1 = 
| 후역8-1 = 
| 후거리8-1 = 
| 노선9 = 
| 타는곳9 = 
| 영업거리9 = 
| 역번호9 = 
| 전철9 = 
| 전역9 = 
| 전거리9 = 
| 후역9 = 
| 후거리9 = 
| 전철9-1 = 
| 전역9-1 = 
| 전거리9-1 = 
| 후역9-1 = 
| 후거리9-1 = 

변수[edit source]

변수 이름 기본값 필수 설명
역명 {{PAGENAMEBASE}} 역의 주역명을 표기합니다.
역명2 역의 부역명 등을 입력합니다. 괄호는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할 경우에는 입력해야 합니다.
그림 역의 사진이나 구조도 등의 그림을 입력합니다. ‘파일:’등을 제외한 파일명만을 입력합니다.
그림2
그림설명 그림의 아래에 덧붙여질 설명을 입력합니다. 각각 변수에 있는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의 그림 아래에 표시됩니다.
그림설명2
그림크기 290px 그림의 크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290픽셀이며, 이 크기를 넘으면 틀이 깨질 수 있습니다.
그림크기2
관할 역을 운영하는 기관을 입력합니다. 위탁 운영일 경우는 위탁 기관도 입력합니다.
소재지 역의 소재지(주소)를 입력합니다. 단위가 큰 순서대로 입력하며, 국가명은 생략합니다.
좌표 역의 좌표를 {{Coor dms}}({{좌표도분초}})를 사용하여 입력합니다.
개업일 역이 처음 영업을 시작한 날짜를 입력합니다.
폐지일 역이 공식적으로 폐지된 날짜를 입력합니다.
역번호
역 번호 수도권 전철 1호선: 132
서울 지하철 2호선: 201

역번호가 있는 경우 입력합니다. 단일 노선의 역인 경우 역번호만, 다른 노선과의 접속역일 경우 앞에 노선명을 표기한 뒤 입력합니다.

종별 역의 종별을 입력합니다. 폐역일 경우에는 ‘폐역’을 입력합니다.
등급 역의 등급을 입력합니다.
코드 전산 상에서 역을 구분하는 데 쓰이는 코드를 입력합니다.
코드이름 역 코드 코드의 이름을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2선

승강장의 개수를 입력합니다, ‘○면 ×선’의 형식으로 입력하며, 승강장이 없는 통과선은 세지 않습니다.

단위 (km) 거리표·주변역 부분에서, 주변역까지의 거리에 사용될 단위를 지정합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km가 사용됩니다.
노선1 거리표·주변역 부분에 처음 나올 노선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영업거리1 노선1의 기점에서 이 역까지의 영업 거리를 적습니다. 단위 등도 입력해야 합니다.
전역1 이전 역의 역명을 입력합니다. 링크는 자동으로 걸리지 않습니다.
전거리1 이전 역까지의 거리를 적습니다. 단위는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전대체1 전역1 대신 표시될 내용을 입력합니다. 전역1보다 우선하지 않습니다.
후역1 다음 역의 역명을 입력합니다. 링크는 자동으로 걸리지 않습니다.
후거리1 다음 역까지의 거리를 적습니다. 단위는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후대체1 후역1 대신 표시될 내용을 입력합니다. 전역1보다 우선하지 않습니다.
노선1-1, 영업거리1-1, 전역1-1, 전거리1-1, 전대체1-1, 후역1-1, 후거리1-1, 후대체1-1 응암역과 같이 같은 노선 사이에 갈림이 있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노선2, 영업거리2, 전역2, 전거리2, 전대체2, 후역2, 후거리2, 후대체2, 노선2-1, 영업거리2-1 등에 대해서는 각각 노선1 등의 사용법을 참조하세요.
비고 그 외에 이 틀에서 설명해야 할 만한 사항을 입력합니다.
주석 ¹등으로 표시한 사항에 대해 주석을 달 때 사용합니다.

예제[edit source]

서울역을 예시로 삼은 위키백과 한국어판과 달리, 이곳에서는 철도역 정보의 예시로 잉청저우역을 예시로 삼겠습니다.

잉청저우
瀛城州
개괄
관할 기관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국유철도관리국
소재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직할시 난잉서우 구 찬젠2리(站前二里) (통닝로(通寧路) 지하93)
개업일 1890년 2월 3일
역 번호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화루선 : Y109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잉추선 : Y201
종별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국유철도관리국 잉청저우 시 지국 소재역
등급 중추역
승강장 구조 14면 24선(일반철도+광역전철)
10면 16선(고속철도)
승차 인원 15,498,318명 (2020)
노선
화루선
화롄 기점 138.7 km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화루선
하샹
(4.3 km)
토헤이
(3.9 km)

잉추선
잉청저우 기점 0.0 km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잉추선
스민
(4.2 km)

난루고속선
난강 기점 263.4 km
구이서우
(37.5 km)
유나구니
(134.0 km)

잉징고속선
잉청저우 기점 0.0 km
잉청구팅
(58.0 km)
잉청저우
瀛城州
개괄
관할 기관 잉청저우 첩운공사
소재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직할시 난잉서우 구 찬젠2리(站前二里) (통닝로(通寧路) 지하93)
개업일 1970년 12월 27일
역 번호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 434
승강장 구조 각각 2면 4선(섬식)
노선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샹신칭 기점 32.4 km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 433 찬젠1(站前一)
(1.1 km)
435 베이스민역(北釋民) →
(0.8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