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청저우 첩운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 |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
잉청저우 첩운 노선도 잉청저우 첩운 노선도 | |
정보 | |
---|---|
종류 | 도시 철도 |
운행 지역 | 잉청저우 직할시,신잉청현 저우제 시 일부, 리샤오 시 일부 |
상태 | 영업 중 |
노선 수 | 11 |
역 수 | 768 |
일일 이용자 | 8,123,590명 (2020) |
궤간 | 1,435 mm |
운영 | |
개통일 | 1968년 10월 26일 |
소유자 | 잉청저우 직할시 신잉청현 리샤오 시 |
운영자 | 잉청저우 첩운공사 |
시설 | |
총 영업거리 | 759.6 km |
총 노선 연장 | 757.4 km [1] |
총 시설 연장 | 757.4 km |
잉청저우 첩운(중국어: 瀛城州倢運, 일본어: 瀛城州地下鉄, 영어: Yingchengjhou Metro, 프랑스어: Yingchengjhou Métro, 독일어: Yingchengjhou S-Bahn)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직할시와, 그에 면하는 신잉청현 리샤오 시의 북동부, 신잉청현 저우제 시의 북서부 극히 일부에서 운행하는 도시 철도 체계이다. 잉청저우 직할시가 비교적 넓은 면적의 대도시여서, 도시철도가 커버해야 하는 넓이가 넓은 것으로 인해 비교적 운행 연장이 긴 것으로 유명하다.
운행 노선[edit | edit source]
노선색 | 노선명 | 기점 | 종점 | 역 수 | 거리 | 소유자 | 운영자 |
---|---|---|---|---|---|---|---|
슐수이광선 | 슐수이광어업항역 | 에이세이슈타치가와초역 | 90 | 83.4km | 잉청저우 직할시 | 잉청저우 첩운공사 | |
환상선 | 토헤이역 | 토헤이역 | 62 | 61.9km | |||
쿠와세선 | 쿠와세역 | 잉청저우국제여객선터미널역 | 54 | 55.2km | |||
신칭선 | 샹신칭역 | 난완잉역 | 66 | 62.9km | 잉청저우 직할시 신잉청현 리샤오 시† | ||
이와세선 | 이와세역 | 잉청저우국제공항제2터미널역 | 58 | 62.1km | 잉청저우 직할시 | ||
베이푸선 | 슐수이광난푸역 | 아키가세키역 | 72 | 70.4km | |||
시푸선 | 저우메이리역 | 우이칭커우역 | 50 | 50.0km | |||
니히와선 | 니히와초역 | 슐수이광둥푸역 | 100 | 97.0km | |||
아키나카선 | 미야마대학역 | 난완잉역 | 48 | 46.8km | |||
중앙선 | 안제삼거리역 | 히라모토초역 | 80 | 81.3km | |||
구이서우선 | 지펑대학남1문역 | 미샨치역 | 88 | 88.6km | |||
합계 | 11개 노선 | - | - | 768 | 759.4km | - | - |
비고 | †국립잉청저우대학역~양제커우차오(洋介口橋)역 구간 10.8 km만 리샤오 시 소유, 샹신칭역~국립잉청저우대학역 구간, 양제커우차오역~난완잉역 구간은 잉청저우 직할시 소유 |
각주[edit | edit source]
- ↑ 스민(釋民)역~잉청저우스촨사거리(瀛城州四權交叉路)역 간의 3개 역 2.2 km에 달하는 니히와선과 슐수이광선이 공유하는 복복선 구간의 존재로 인해 영업거리와 실거리 간 2.2 km 차이가 발생한다. 이 구간에 있는 3개 역은 모두 쌍섬식 승강장으로서, 니히와선이 외선 복선, 슐수이광선이 내선 복선을 사용해, 공유구간 3개 역 모두 평면환승이 각 방향별로 성립하는 환승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