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위원선거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위원선거

← 2012년 10월 26일
2016년 10월 21일
입법위원 목록
2020년 10월 23일 →

선출의석: 320석
과반의석: 160석
여론조사
투표율 91.1% (감소 2.6%)
  제1당 제2당 제3당
  Sin foto.svg Sin foto.svg Sin foto.svg
지도자 김정두
자유당 대표
한경만
대표
장 드 펠릭스
진보당 대표
정당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진보·환경 연대
지도자 취임 2015년 10월 9일 2013년 12월 21일 2012년 9월 22일
지도자 선거구 (불출마) (불출마) (불출마)
이전 선거 결과 50석
(24 + 26)
147석 123석
(81 + 24 + 18)
선거 전 의석수 53석
(27 + 26)
146석 119석
(78 + 23 + 18)
선거 후 의석수 170석
(90 + 70)
88석 62석
(30 + 20 + 12)
의석 증감 증가 117석 감소 58 감소 57
득표수 10,064,519[1] 4,787,130 4,112,050[2]
득표율 51.8%[3] 24.7% 22.2%[4]
득표율 증감 증가 36.3%p 감소 16.1%p 감소 21.3%p

  제4당
  Sin foto.svg
지도자 마르틴 뤼용
대표
정당 해적당
지도자 취임 2012년 2월 23일
지도자 선거구 (불출마)
이전 선거 결과 0석
선거 전 의석수 0석
선거 후 의석수 0석
의석 증감 보합
득표수 425,720
득표율 1.4%
득표율 증감 증가 0.5%p

파일: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원 구성도.png

정당별 의석 획득 수
자유당 민주당 국민당
진보당 농민당 녹색당 무소속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위원 선거 결과.png


선거전 연방입법원장

람라이헤이(臨禮熙)
진보당

연방입법원장 당선자

하인리히 슈미트
국민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위원선거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선거법에 의해 2016년 10월 21일 16대 정부총통선거와 동시에 치뤄진 입법위원 선거이다. 이 선거에서 자유당과 민주당이 기존의 선거연대(국민당, 진보당) 파트너 정당들과의 선거연대를 파기하고 민주당과 자유당 간의 새로운 선거연대를 구축하여 만든 중도민주연합(중도민주연대)이 두번째로 출마한 선거이며, 이로 인한 국민당의 독자노선과 새로이 만들어진 진보정당들의 순수한 선거연대로 3파전이 치러지며, 안류(安流)의 프로토타입이라는 평가를 얻음과 함께, 중도민주연합에서 단행한 지역 공략이 맞물려 지역구에서 자유당과 민주당 소속 입법위원들이 대거 당선되는 등, 자유당과 민주당의 수권 능력과 조직력에 대한 준비성을 보여주었다. 그것으로 국정 운영의 동력을 획득함과 함께 강력한 신임을 얻은 것은 덤이다.

또한, 이 선거는 특이하게도,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역대 연방입법위원 선거 중에서도 무소속 후보가 단 한명도 당선되지 못한 선거가 되었다.

투표율[edit | edit source]

시간대별 제16대 연방입법위원선거 선거 투표율
구분 일자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3시 14시 15시 16시 17시 18시 [5] 19시 20시
사전 투표 10월 13일 0.3% 0.9% 1.8% 3.4% 4.9% 6.7% 9.6% 12.1% 15.4% 18.1% 20.3% 24.8% 27.2% 29.5%
10월 14일 30.6% 32.3% 34.9% 37.3% 38.1% 38.8% 40.1% 42.5% 43.8% 45.4% 46.2% 48.0% 49.9% 50.5%
본 투표 10월 21일 3.9% 5.7% 11.3% 16.1% 24.0% 28.2% 30.8% 33.9% 36.7% 37.5% 38.2% 89.3% 89.8% 91.1%
지역별 제16대 연방입법위원선거 사전 투표율
구분 전국 잉청저우 직할시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신잉청현 동도현 해청위 연방특별구
사전 투표 50.53% 53.82% 57.91% 47.38% 49.93% 50.29%
역대 연방입법위원선거와 제16대 연방입법위원선거 지역별 투표율 비교
구분 전국 잉청저우 직할시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신잉청현 동도현 해청위 연방특별구
제16대 91.1% 92.9% 93.8% 89.7% 88.4% 95.4%
제15대 93.7% 95.4% 96.1% 91.8% 90.3% 93.9%
제14대 92.8% 93.5% 94.3% 87.6% 88.2% 95.4%
제13대 94.9% 96.3% 94.2% 92.7% 90.9% 94.2%
제12대 96.3% 98.2% 97.6% 92.1% 91.5% 94.4%
제11대 90.8% 91.5% 90.8% 86.5% 87.3% 92.0%

획득 의석수[edit | edit source]

↓ 과반
62 170 88
진보·환경 연대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득표율[edit | edit source]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위원 선거 결과.png
170 석
53.13%
62 석
19.37%
88 석
27.50%

    중도·민주 연합      진보·환경 연대      국민당      기타 정당

정당과 연합 득표 및 획득 의석
지역구 득표수 % 정당득표수 % 의석 %
자유당 LPY 5,024,017 25.8 4,953,239 25.5 90 28.13
민주당 DPY 4,735,008 24.3 5,111,280 26.4 80 25.00
중도 연합 9,759,025 50.1 10,064,519 51.9 170 53.13
진보당 PPY 2,426,822 12.5 2,438,519 12.6 30 9.37
농민당 PePY 1,356,191 7.0 914,215 4.7 20 6.25
녹색당 GPY 1,203,634 6.1 759,316 3.9 12 3.75
진보·환경 연대 4,986,647 25.6 4,112,050 21.2 62 19.37
국민당 NPY 4,499,670 23.1 4,787,130 24.7 88 27.50
해적당 PiPY 233,749 1.2 425,720 2.2 0 0.0
득표 합계 19,479,091 100.00 19,389,419 100.00 320 100.00
유효표 19,479,091 99.99 19,389,419 99.53
무효표[6] 319 0.01 89,991 0.47
투표자 수 19,479,410 91.1
유권자 수 21,382,100 100


기타[edit | edit source]


각주[edit | edit source]

  1.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자유당 4,953,239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민주당 5,111,280표
  2.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진보당 2,438,519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농민당 914,215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녹색당 759,316표
  3. 당별로 합산 시 제도 연방 자유당 25.5%, 잉청저우 제도 연방 민주당 26.4%.
  4.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진보당 12.6%, 잉청저우 제도 연방 농민당 4.7%, 잉청저우 제도 연방 녹색당 3.9%, 둘째자리 이하 소수점 표가 합산되어 반올림 값과 양당 득표율 합이 0.1% 차이가 나며, 오차가 아님을 밝힘.
  5. 이 시간부터는 본 투표율에 사전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재외선거 투표 수 등의 사전투표율을 합산한다.
  6. 기권표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