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국민대회선거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국민대회선거

← 2012년 6월 15일
2016년 6월 10일
연방국민대표 목록
2020년 6월 12일 →

선출의석: 63석[1]
과반의석: 32석[2]
여론조사
투표율 96.8% (증가 5.9%)
  제1당 제2당 제3당
 
지도자 김정두
자유당 대표
한경만
대표
장 드 펠릭스
진보당 대표
정당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진보·환경 연대
지도자 취임 2015년 10월 9일 2013년 12월 21일 2012년 9월 22일
지도자 선거구 잉청저우 주산 을 이스트코스트 이스트 (불출마)
이전 선거 결과 13석
(8 + 7)
28석 22석
(13 + 6 + 3)
선거 전 의석수 17석
(9 + 8)
24석 22석
(13 + 6 + 3)
선거 후 의석수 45석
(21 + 24)
8석 10석
(6 + 2 + 2)
의석 증감 증가 38석 감소 16 감소 10
득표수 10,036,209[3] 4,785,410 4,298,395[4]
득표율 51.8%[5] 24.7% 22.2%[6]
득표율 증감 증가 35.8%p 감소 15.6%p 감소 20.7%p

  제4당
 
지도자 마르틴 뤼용
대표
정당 해적당
지도자 취임 2012년 2월 23일
지도자 선거구 (불출마)
이전 선거 결과 0석
선거 전 의석수 0석
선거 후 의석수 0석
의석 증감 보합
득표수 269,405
득표율 1.4%
득표율 증감 증가 0.5%p

파일:잉청저우 제도 연방 2016 국민대회 구성도.png

정당별 의석 획득 수
자유당 민주당 국민당
진보당 농민당 녹색당 무소속[7]

파일:잉청저우 제도 연방 2016 국민대회 선거 결과.png


선거전 국민대회 의장

람라이헤이(臨禮熙)
진보당

국민대회 의장 당선자

하인리히 슈미트
국민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국민대회선거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선거법에 의해 2016년 6월 10일 치뤄진 선거이다. 이 선거에서 자유당과 민주당이 기존의 선거연대(국민당, 진보당) 파트너 정당들과의 선거연대를 파기하고 민주당과 자유당 간의 새로운 선거연대를 구축하여 만든 중도민주연합(중도민주연대)이 처음으로 출마한 선거이며, 이로 인한 국민당의 독자노선과 새로이 만들어진 진보정당들의 순수한 선거연대로 3파전이 치러지며, 안류(安流)의 프로토타입이라는 평가를 얻음과 함께, 지역구에서 자유당과 민주당 소속 연방국민대표들이 대거 당선되며, 지역구 및 재외동포 할당 의석으로 이루어진 직선 의석에서 과반을 얻었다.

획득 의석수[edit | edit source]

↓ 과반
10 45 8
진보·환경 연대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득표율[edit | edit source]

파일:잉청저우 제도 연방 2016 국민대회 선거 결과.png
45 석
71.43%
10 석
15.87%
8 석
12.70%

    중도·민주 연합      진보·환경 연대      국민당      기타 정당

정당과 연합 득표 및 획득 의석
득표수 % 의석 %
자유당 LPY 4,738,039 24.4 21 33.33
민주당 DPY 5,298,170 27.3 24 38.10
중도 연합 10,036,209 51.8 45 71.43
진보당 PPY 2,798,019 14.4 6 9.52
농민당 PePY 760,000 3.9 2 3.1746
녹색당 GPY 740,376 3.8 2 3.1746
진보·환경 연대 4,298,395 22.2 10 15.87
국민당 NPY 4,785,410 24.7 8 12.70
해적당 PiPY 269,405 1.4 0 0.0
정당득표 합계 19,389,419 100.00 63 100.00
유효표 19,389,419 94.0
무효표[8] 1,246,574 6.0
투표자 수 20,635,993 96.8
유권자 수 21,318,175 100


부수적 선거 - 직접선출의석 외의 연방국민대회 할당의석[9]선출[edit | edit source]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국민대회는 직선의석 63석[10] 외에도 양성평등단체 2석, 직능대표선거 16석, 각 시/현/특별구 의회 선출 의석 29석을 합친 47석의 비 보통선거(간선) 의석이 존재한다. 여기서는 이들 의석에 대한 선출을 다루며, 이들 선거는 직접선출의석 선거일로부터 1주~3주 후에 치러졌다.

각 시/현/특별구 의회 국민대회 의석 선출[edit | edit source]

잉청저우 직할시의회는 연방국민대회 직접선출의석 선거일로부터 1주일 후인 6월 17일에 선출을 시작하면서 시작을 끊고, 신잉청현 현의회는 6월 18일에, 이스트코스트 직할시의회는 6월 19일에 선출, 동도현 현의회가 직접선출의석 선거일로부터 12일 후인 6월 22일에 선출하면서 이들 의석을 선출하였다. 이들은 각 시/현/특별구 의회가 아니라, 각 시/현/특별구 지방정부의 각료 혹은 공무원 중에서 선출된다.

잉청저우 직할시의회 간접선출의석 선출 결과[edit | edit source]

총 11석으로, 자유당 2석, 민주당 3석, 진보당 2석, 녹색당 2석, 국민당 2석이 선출되었다.

↓ 과반
4 5 2
진보·환경 연대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이스트코스트 직할시의회 간접선출의석 선출 결과[edit | edit source]

총 5석으로, 진보당 1석, 녹색당 1석, 국민당 2석, 민주당 1석 이 선출되었다.

↓ 과반
2 1 2
진보·환경 연대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신잉청현 현의회 간접선출의석 선출 결과[edit | edit source]

총 9석으로, 자유당 4석, 민주당 2석, 진보당 1석, 농민당 1석, 국민당 1석이 선출되었다.

↓ 과반
2 6 1
진보·환경 연대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동도현 현의회 간접선출의석 선출 결과[edit | edit source]

총 3석으로, 자유당 1석, 농민당 1석, 국민당 1석이 선출되었다.

↓ 과반
1 1 1
진보·환경 연대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해청위 연방특별구의회 간접선출의석 선출 결과[edit | edit source]

총 1석으로, 자유당 1석이 선출되었다.

↓ 과반
1
중도·민주 연합


직능대표 할당의석 선출[edit | edit source]

각 직능단체[11] 및 잉청저우 제도 연방 용역협회에서 선출일로부터 7개월 전에 수만 명의 후보자를 추리고, 그것을 5달 가량을 소모해 몇번에 걸쳐 추려내어, 할당의석 16석의 7배수[12]를 추려낸 다음에, 6만개 가량의 직능협회 및 용역협회의 회원으로 확인된 이들이 직접선출의석 선거일로부터 3주가 지난 7월 1일 해청위 수도직능회관에 모여 이들 할당의석을 선출한다. 그 결과로, 자유당 3석, 민주당 4석, 농민당 4석, 진보당 2석, 국민당 2석, 녹색당 1석이 선출되었다.

↓ 과반
7 7 2
진보·환경 연대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양성평등단체 할당의석 선출[edit | edit source]

국민대회 의원선거 직접선출의석 선거일로부터 17일이 지난 6월 27일에 2석을 민주당 후보, 국민당 후보, 진보당 후보, 녹색당 후보 각 2명이 경쟁하는 식으로 선거를 진행했으나, 진보당 2석이 간발의 차이로 모두 당선되었다.[13]

↓ 과반
2
진보·환경 연대

결과 : 잉청저우 제도 연방 16대 연방국민대회 국민의원 의석[edit | edit source]

총 110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과반기준선은 56석이고, 자유당 32석, 민주당 34석, 국민당 16석, 진보당 12석, 농민당 8석, 녹색당 6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과반
26 66 16
진보·환경 연대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기타[edit | edit source]


각주[edit | edit source]

  1. 재외국민 5석, 지역 인구비례 선거구 58석의 직접 선출의석에 한해 선거
  2. 재외국민 5석, 지역 인구비례 선거구 58석의 직접 선출의석에 한해 선거
  3.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자유당 4,738,039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민주당 5,298,170표
  4.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진보당 2,798,019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농민당 760,000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녹색당 740,376표
  5. 당별로 합산 시 제도 연방 자유당 24.4%, 잉청저우 제도 연방 민주당 27.3%, 둘째자리 이하 소수점 표가 합산되어 반올림 값과 양당 득표율 합이 0.1% 차이가 남. 이로 인해 100%보다 0.1% 더 많이 합계가 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표 합산 과정에서 생긴 차이로써, 오차가 아님을 밝힘.
  6.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진보당 14.4%, 잉청저우 제도 연방 농민당 3.9%, 잉청저우 제도 연방 녹색당 3.8%, 둘째자리 이하 소수점 표가 합산되어 반올림 값과 양당 득표율 합이 0.1% 차이가 나며, 오차가 아님을 밝힘.
  7.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국민대회 선거 특성상, 무소속이 잘 안나오는 편이다.
  8. 기권표 포함
  9. 양성평등단체 2석, 직능대표선거 16석, 각 시/현/특별구 의회 선출 의석 29석을 합친 47석
  10. 재외국민 5석, 지역 인구비례 선거구 58석
  11. 60000개 가량 되는 직업이 모두 잉청저우 제도 연방 각 직업협회의 형식으로 협회를 만들고 있다.
  12. 7대 연방정당 소속의 후보자가 모두 나와서 선택의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는 공정한 선거를 위한 조치라고 한다.
  13. 본래 1996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진보성향의 강성 여성운동 인사가 양성평등단체 할당의석을 충원할 의원으로서 확충되었으나, 말 그대로 양성평등 운동으로 변화하고 온건 여성운동 인사 및 남성 역차별 상쇄운동 및 최소화 운동 인사가 성별갈등 대신 본래의 노선과 본분에 충실해 양성평등운동을 이끌며 다양화를 추구하게 되며 1996년 이후부터 선거를 실시하는 것으로 바뀌었음에도, 2012년 선거 이전까지는 진보당 후보가 극단적으로 우세한 득표를 받았고, 다양화된 양성평등운동이 정착된 2012년 선거에서 득표율이 급격하게 균형을 맞춰가는 이변을 일으킨 것만으로 모자라, 2016년 선거에서는 더욱 득표율을 좁혀, 타 당 후보와 진보당 후보의 득표수 차이가 간소한 차이로 좁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