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청저우 제도 연방 방송영조물 공동제작 문화사업 기금회

우리의 꿈, 더 스토리즈 대피소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방송영조물 공동제작 문화사업 기금회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1]
瀛城州諸島聯邦放送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2]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3]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4]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5]
잉청저우어: Dynzai a Dyntsi nag Cilipunen Kemedlin Polungda Sepannah
瀛城州諸島連邦放送營造物共同製作文化財團[6]
瀛城州諸島連邦放送營造物共同製作文化財團[7]
Working group of public broadcasters of Yingchengjhou Islands Federation
Communauté de travail des établissements de radiodiffusion de droit public de la République fédérale des îles Yingchengjhou
Arbeitsgemeinschaft der öffentlich-rechtlichen Rundfunkanstalten der Bundesrepublik Inseln Yingchengjhou
Consortium ang mga Pampublikong Tagapagbalita ng Broadkaster ng Pederasyon ng Mga Isla Yingchengjhou
한국명 잉청저우 제도 연방 방송영조물 공동제작 문화사업 기금회
한자표기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
영문표기 Working group of public broadcasters of Yingchengzhou Islands Federation
약칭 ARY
형태 공영
개국일 1958년 7월 20일
직원수 가맹국까지의 총합 38,860명(그 중 ARY 기금회 자체 인력 2,490명)
본사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해청위 연방특별구 해청위 시
사장 최권철
모기업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정부(잉청저우 제도 연방 방송법 상 독립기관)
슬로건 다양성 속에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미래를 이끕니다.
웹사이트 http://www.ary.yc


잉청저우 제도 연방 방송영조물 공동제작 문화사업 기금회(중국어: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Yíngchéngjhou jhudǎo liánbang guǎngbo yíngzàowù ɡònɡtónɡjhìhzuò wénhuàshìyè jijinhuì 잉청저우주다오롄방광보잉자오우궁통즈저웬화스예지진후이, 민난어: 瀛城州諸島聯邦放送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êng-siânn-tsiu chu-tó liân-pang hòng-sàng îng-tsō-bu̍t kiōng-tông tsè-tsok Bûn-hoà Sū-gia̍p Ki-kim-hoē 잉싱치우츠토롄방홍상잉조붓굥통제족분화수걉기김회, 하카어: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îng-sàng-chû chû-tó lièn-pâng kóng-po yàng-chho-vu̍t khiung-thùng chṳ-chok vùn-fa sṳ-ngia̍p kî-kîm-fi 잉상지우주투롄팡공포양초붙큥퉁제족분파슁압기김피, 광둥어: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Jing4Sing4Zau1 zyu1dou2 lyun4bong1 gwong2bo3 jing4zou6mat6 gung6tung4 zai3zok3 man4 faa3 si6jip6 gei1gam1wui6-2 잉싱자우쥬두륜봉궝보징조맛궁퉁자이족만파시집게이감우이, 우어: 瀛城州諸島聯邦廣播營造物共同製作文化事業基金會/Yinzentzoetsrtaulipaan Kuaanpuhhinzaumeq Kongontsytsoq Venhozynyihjijinhhue 인젠처추토리퐌콴포인조뭐궝보징줘벤호지니지진훼, 잉청저우어: Dynzai a Dyntsi nag Cilipunen Kemedlin Polungda Sepannah 딘자이 아 딘치 낙 칠리푸넨 크므딜린 폴룽다 세팡야, 일본어: 瀛城州諸島連邦放送營造物共同製作文化財團/えいせいしゅうしょとうれんぽうほうそうえいぞうぶつきょうどうせいさくぶんかざいだん 에이세이슈쇼토렌포호소에이조부츠쿄도사이사쿠분카자이단, 오키나와어: 瀛城州諸島連邦放送營造物共同製作文化財團/いいしいしゅうしょちょうれんぷぷそういいぞうぶちきょうどうしいさくぶんちゃざいじゃん 이이시이슈쇼쵸렌푸후소이이조부치쿄도시-사쿠분챠사이쟌,영어: Working Group of Public Broadcasters of Yingchengjhou Islands Federation 워킹 그룹 오브 퍼블릭 브로드캐스터스 오브 잉청저우 아일랜즈 페더레이션, 프랑스어: Communauté de Travail des établissements de Radiodiffusion de droit public de la République fédérale des îles Yingchengjhou 코뮤나테 드 트하벨 드 에타블히쎄멍 드 라디오디퓨숑 드 드화 푸블힉 드 라 레푸블리크 페데할 드 릴레스 잉청저우, 독일어: Arbeitsgemeinschaft der öffentlich-rechtlichen Rundfunkanstalten der Bundesrepublik Inseln Yingchengjhou 아르바이츠게마인샤프트 데어 외펜틀리히레흐틀리헨 룬트풍칸슈탈텐 데어 분데스레푸블리크 인젤른 잉청저우, 필리핀어: Consortium ang mga Pampublikong Tagapagbalita ng Broadkaster ng Pederasyon ng Mga Isla Yingchengjhou 꽁솔취움 앙 막아 팜푸블리콩 타가팍발리타 낭 브로드카스터 페데라시온 낭 막아 이슬라 잉쳉주우)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공영방송이다.

여러 언어로 된 이 길디 긴 이름과 독일어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건국 과정에서 독일식 연방제를 오권분립에 결합한 현 체제를 채택하면서, 이 체제가 공영방송에도 적용되는 것은 불가피했기에, 기존의 잉청저우 제도 연방 영토 내 당시 공영방송(잉청저우 섬 지역의 중화민국의 중국방송공사(中國廣播公司, BCC)[8]의 잉청저우 방송국과 이스트코스트의 라디오 이스트코스트, 바시 제도의 라디오 펀완, 웨틀랜드 지역의 라디오 웨틀랜드, 스화 지역의 라디오 스화, 카마키 지역의 라디오 카마키)을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정부에서 인수 및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국 텔레비전 방송(1956년 12월 14일 개국)[9]의 개국 후에 주민 주도의 통폐합 및 정리 작업을 끝마치고, 독일의 ARD를 모델로 하여 1958년 7월 20일에 재단의 형식을 빌어 조직[10]하여, 지금까지도 이어지는 방송국이다.

언론 보도 논조[편집 | 원본 편집]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특성상, 모든 정파와 모든 사건에 대해 중립적으로 보도하는 논조를 지니고 있어,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행정원이 독일의 사례를 보고 1970년대에 제2공영 텔레비전을 만들려고 시도했다가, 각계각층의 다양한 반대에 부딫혀 좌절되었다.[11]

방송 채널[편집 | 원본 편집]

  • 전국공영 텔레비전 채널 각 언어별 채널[12]
  • 전국공영라디오 1~18채널 - 1~13는 각 언어별 종합편성채널, 14은 중국어/영어/산둥관화/프랑스어/독일어/한국어 대중음악 전문채널, 15는 일본어/류큐어/월어/대만민난어/하카어/오어/잉청저우어 대중음악 전문채널, 16는 한국어/중국어/영어/프랑스어/독일어/산둥관화 뉴스-시사 전문 채널, 17은 일본어/류큐어/월어/대만민난어/하카어/오어/잉청저우어 뉴스-시사 전문 채널, 18은 클래식 음악 전문 채널, 19은 교통정보/기상정보 채널이다.[13]
  • ARY 가맹 지역 방송국 산하 지역 텔레비전 방송채널[14] - 잉청저우 제도 연방 방송영조물 공동제작 문화사업 기금회 가맹 지역 공영방송국들이 만든 지역방송용 텔레비전 채널이다.[15]

가맹하고 있는 지역 공영방송국[편집 | 원본 편집]

방송사명 약칭 본사 위치 개국년도 가맹년도 송출지역
瀛城州民主公共廣播基金會
잉청저우 민주 방송
YDB
YDR
RTDY
잉청저우 직할시 1925년 8월 4일 1957년 잉청저우 직할시, 신잉청현 북부(잉청저우 섬 전역)
巴士諸島公共廣播基金會
바시제도 공영방송
BIPB
IBPR
RTPIBD
신잉청현 펀완 시 1939년 2월 5일 1957년 신잉청현 남부(바시 제도와 난링다오)
東岸公共廣播基金會
이스트코스트 공공방송국
EPB
ER
RTEC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1929년 1월 19일 1957년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동도현 카만스 시/와탄나 시
楚覇公共綜合廣播基金會
스화공영종합방송
SPGB
SRPG
RTPS
동도현 스화 시 1932년 7월 4일 1957년 동도현 해밀턴 섬 남부 2시 3진 3향[16] 및 크리스토 섬 2진 5향[17]
鏡卷市民廣播基金會
카마키 시민방송
KCB
KSR
RTCK
동도현 카마키 시 1933년 3월 1일 1957년 동도현 해밀턴 섬 북부
濕土島·海土島公共運營廣播基金會
웨틀랜드 공공운영방송
WPOB
PORW
RTHLP
동도현 시틀랜드센트럴 진
동도현 웨스트웨틀랜드 진
1937년 9월 20일 1957년 동도현 몬테 섬, 동도현 파날리칸 섬 내의 카만스 시/와탄나 시를 제외한 동부 향진
海淸衛聯邦首都廣播基金會
해청위 수도방송
HCB
HKR
RTRCH
해청위 연방특별구 해청위 시 1991년 12월 23일 1991년 해청위 연방특별구

각주[편집 | 원본 편집]

  1. 통용병음 기준으로는 Yíngchéngjhou jhudǎo liánbang guǎngboyíngzàowù ɡònɡtónɡjhìhzuò wénhuàshìyè jijinhuì
  2. 대만민난어 백화자 기준으로는 êng-siânn-tsiu chu-tó liân-pang hòng-sàng îng-tsō-bu̍t kiōng-tông tsè-tsok Bûn-hoà Sū-gia̍p Ki-kim-hoē
  3. 하카어 백화자 기준으로는 îng-sàng-chû chû-tó lièn-pâng kóng-po yàng-chho-vu̍t khiung-thùng chṳ-chok vùn-fa sṳ-ngia̍p kî-kîm-fi
  4. 월병(粤拼) 기준으로는 Jing4Sing4Zau1 zyu1dou2 lyun4bong1 gwong2bo3 jing4zou6mat6 gung6tung4 zai3zok3 man4 faa3 si6jip6 gei1gam1wui6-2
  5. 우어 로마자 전사 기준으로는 Yinzentzoetsrtaulipaan Kuaanpuhhinzaumeq Kongontsytsoq Venhozynyihjijinhhue
  6. 히라가나 기준으로는 えいせいしゅうしょとうれんぽうほうそうえいぞうぶつきょうどうせいさくぶんかざいだん
  7. 히라가나 기준으로는 いいしいしゅうしょちょうれんぷぷそういいぞうぶちきょうどうしいさくぶんちゃざいじゃん
  8. 현실과 달리 1983년에 공공전시문화사업기금회(PTS)와 통합하여, 공기업인 중국전대전시광파공사(CTRC)로 공사화 되었다.
  9. 1937년 개국했다가, 1941년 12월 10일에 전쟁으로 인해 방송을 종료하게 된 잉청저우 섬 위임통치령 자치 텔레비전의 방송을 1952년 중국국민당의 눈을 피해 지하방송 형식으로 재개한 잉청저우 섬 당외 텔레비전을 잉청저우 섬 임시정부가 인수하여 잉청저우 제도 연방으로 넘기게 되어 만들어졌다.
  10. 이 과정에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방송영조물 공동제작 문화사업 기금회에 가맹한 방송국들도 기금회(표준중국어, 민난어, 광둥어, 하카어, 오어, 산둥관화 등을 제외한 언어로는 재단)으로 개편되었다.
  11. 한 쪽에 치우치는 보도를 죄악시하던 풍조는 민영방송의 등장으로 경쟁 체제가 만들어지면서 일정부분 누그러졌음에도, 민영방송이 하나만 있다보니, 디지털 방송으로 1대역 다채널 방송이 가능해짐으로 인해 사용 가능 대역이 훨씬 늘어나서 기술적 문제가 사라진 만큼, 제2 민영방송 개방을 하루속히 진행해야 한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의 연방 방송법 상, 공통의 윤리적 기준을 위배할 경우를 매우 죄악시하며 단죄하다 보니, 이에 대해서는 자체 기준을 엄격하게 잡는 편이다. 그로 인해 위의 논조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
  12. 각 언어별 채널이 존재하는 언어는 전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공용어 혹은 크게 통용되는 지역언어로써, 한국어/중국어/월어/대만민난어/하카어/오어/산둥관화/일본어/류큐어/영어/프랑스어/독일어/잉청저우어 13개 언어이다. 13개 채널이므로, HEVC 코덱을 사용하여 HD로 송출하는 데에 기술적인 문제가 없게 하여, 멀티플랙스 3개(4개/4개/5개)를 차지하여 HD로 송출한다.
  13. 전국공영라디오의 제1~16채널의 경우에는 2019년 중파방송을 종료하고 FM과 DAB+로 전환했고, 이를 2025년에는 FM방송도 종료하여 DAB+로 완전히 전환할 예정에 있으며, 장파방송/단파방송/중파방송 매니아들과 65세 이상 고령자 계층을 고려하여, 전국공영라디오 제18채널과 제19채널의 FM 혹은 DAB+ 로의 송출방식 완전 전환을 2050년 이후로 연기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전국공영라디오 제18채널과 제19채널은 장파방송의 경우엔 잉청저우 도시권 합동송신소에서 제18채널 283.5 KHz/제19채널 280.5 KHz 및 출력 100 kW로 송출 중이며, 단파방송의 경우에는 장파방송과 마찬가지로 잉청저우 도시권 합동송신소에서 송출하되, 주파수는 제18채널 18950 KHz(18.95 MHz)/제19채널 19100 KHz(19.1 MHz)에 출력 200 kW로 송출하고 있다. 중파의 경우에는 출력 잉청저우 도시권 합동송신소에서 출력 100 kW/동도현 카만스 시 니시카만스 중파송신소에서 출력 100 kW로 주파수를 제18채널 1605 KHz/제19채널 1515 KHz의 단일 관제 하에 송출중이다.
  14. 명칭은 각 지역 가맹 방송국별로 다르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국민들은 이렇게 뭉뚱그려서 소개하지만, 지역 내에서는 각 지역 가맹 방송국들이 붙인 지역 텔레비전 방송채널 국명대로 말하고, 지역 신문의 편성표에서도 지역에서 통용되는 이름으로 소개한다.
  15. ARY 가맹 지역 방송국 산하 지역 라디오 채널의 경우에는 독일식 시스템을 운용하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답게, 잉청저우 제도 연방 방송영조물 공동제작 문화사업 기금회 가맹 지역 공영방송국들의 자율 하에 각 지역별로 채널 수를 달리하여 운영된다.
  16. 스화 시, 이스트아일랜즈 시, 뉴오리건 진, 뉴미시시피 진, 뉴애팔래치아 진, 뷰티풀플레인 향, 채널 향, 인랜드 향
  17. 진평 진, 미틀락 진, 평안 향, 신가락 향, 재평 향, 구평 향, 남석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