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청저우 도시권 합동송신소
![]() |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
잉청저우 도시권 합동송신소 | |
---|---|
기본 정보 | |
위치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직할시 난잉서우 구 스민리(釋民里) |
상태 | 가동 중 |
기공 | 1999년 3월 9일 |
착공 | 2002년 1월 19일 |
완공 | 2006년 4월 13일 |
개장 | 2007년 1월 1일 |
구조물 높이 | 720m |
건축 정보 | |
건축가 | 자우캉레이 |
건축회사 | 콰이하이 건설, 란장 건설, 앤드류 건설, 상평건설, 봉산토건, 메이닌 토건 |
소유주 | 잉청저우 도시권 합동송신소 운영유한고분공사 |
건축 내역 | |
대지면적 | 189,490 |
건축면적 | 153,210 |
총면적 | 189,490 |
건축비용 | 2003년 기준 총 1조 2350억 잉청저우 제도 연방 프랑[1] |
잉청저우 도시권 합동송신소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직할시 난잉서우 구에 있는 종합 송신소용 철탑이다. 이 송신소에서는 중화민국, 류큐 공화국 및 유럽국가들과 방송방식이 DVB-T2로 같고, 류큐 제도와 대만이 근접해 있어서 전파 월경이 일어나는 점을 이용해, 류큐 공화국 및 대한민국 및 중화민국, 일본민국, 프랑스, 독일과 맺은 협정에 근거해, 협정의 당사국인 중화민국(중앙 및 지역) 및 대한민국, 일본민국, 류큐 공화국, 프랑스, 독일의 공영방송과 민영방송[2], ARY와 그 산하 가맹 지역 공영방송의 채널들, 1998년에 개국한 민영방송 '잉청저우 상업전시대'를 많은 멀티플랙스의 형태로써 출력 5Kw[3]로 송출 중이다.
이 합동송신소 철탑 자체가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 세운 기록과 변화는 무시하지 못하는데, 기록 부분을 보자면, 해저터널 등을 통해 막대한 건설기술 노하우를 갖추며 건설기술의 발전을 선도해 온 콰이하이 건설을 필두로 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6대 건설회사들이 합심해,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 이전까지 세울 수 없던 700m 이상의 건축물을 최초로 건설해, '마의 700m'를 깨트렸다는 것[4]이며, 이 건축물이 세워짐으로 하여,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최고 높이 건축물 기록은 이 합동송신소 철탑으로 갱신되었다.
이 송신탑이 불러온 크나큰 변화를 소개하자면, 이 합동송신소 철탑이 들어서기 전에는 잉청저우 생활권 일원을 가청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의 송출용 철탑이 각 방송국마다 따로따로 각각의 위치에 150~250m 사이의 높이로 들어서 있어서, 난시청 문제에 제때 대응을 못했던 것에다가, 공간의 낭비가 심각했던 상황이었으나, 이를 합동송신소 철탑 건설 하나로 해결하며, 합동송신소 건설 이후 남은 각 방송사가 사용한 송신소 부지들로 구성된 수많은 방송용 송신소의 후적지에 아파트단지나 공원 조성 등을 통해 잉청저우 시와 그 근교 일원의 주택/녹지 확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 것이다.
이후 이 합동송신소 철탑은 잉청저우 직할시의 랜드마크로써 유명해져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을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사용될 때 이스트코스트의 스미스 힐과 함께 단골로 쓰이는 편이며, 이를 이용한 기념품 판매까지도 존재한다.
방송 송출 현황[edit | edit source]
TV[edit | edit source]
멀티플렉스 | 물리채널 | 송출 채널명 | 멀티플랙스 호출부호 | 출력 | 방송 지역 |
---|---|---|---|---|---|
ARY 멀티플랙스 1 | UHF M 14 | Le Première 한어(漢語)판 채널 Le Première 한국어(韓國語)판 채널 Le Première 영어판 채널 Le Première 일본어판 채널[5] |
YZPYA-DTV | 5 kW | 잉청저우 직할시 및 신잉청현 북부 13개 현할시 일원 |
ARY 멀티플랙스 2 | UHF M 15 | Le Première 류큐어판 채널 Le Première 잉청저우어판 채널 Le Première 프랑스어판 채널 Le Première 독일어판 채널[5] |
YZPYB-DTV | 5 kW | |
ARY 멀티플랙스 3 | UHF M 16 | Le Première 대만민난어판 채널 Le Première 하카어판 채널 Le Première 월어판 채널 Le Première 오어판 채널 Le Première 산둥관화판 채널[5] |
YZPYC-DTV | 5 kW | |
민간방송 멀티플랙스 | UHF M 28 | 잉청저우 상업전시대 주빈(主頻) 잉청저우MBC 잉청저우 상업전시대 연예오락채널 잉청저우 상업전시대 시사뉴스채널 잉청저우 상업전시대 다큐멘터리 채널[5] |
Y0TA-DTV | 5 kW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국[6] |
외국방송 중화민국-류츄 1 멀티플랙스 | UHF M 29 | 중시주빈(中視主頻) 민시주빈(民視主頻) 공시주빈(公視主頻, CRTC TV General) 류츄공영방송 제1채널 류츄공영방송 제2채널[5] |
Y0FTA-DTV | 5 kW | 잉청저우 직할시 및 신잉청현 북부 13개 현할시 일원 |
외국방송 중화민국-류츄 2 멀티플랙스 | UHF M 30 | 화시주빈(華視主頻) 류츄상업지상파방송 우치나민간TV 류츄민립방송 공시대어대(公視臺語臺, CRTC TV Taiwanese-Minnan Ch.)[5] |
Y0FTB-DTV | 5 kW | 잉청저우 직할시 및 신잉청현 북부 13개 현할시 일원 |
외국방송 프랑스-독일 1 멀티플랙스 | UHF M 31 | France 2 France 3 France 4 France 5[5] |
Y0FTC-DTV | 5 kW | 잉청저우 직할시 및 신잉청현 북부 13개 현할시 일원 |
외국방송 프랑스-독일 2 멀티플랙스 | UHF M 32 | Franceinfo TF1 카날 플뤼 Arte[5] |
Y0FTD-DTV | 5 kW | 잉청저우 직할시 및 신잉청현 북부 13개 현할시 일원 |
외국방송 프랑스-독일 3 멀티플랙스 | UHF M 33 | Das Erste ZDF RTL Television Pro7 Sat.1[5] |
Y0FTE-DTV | 5 kW | 잉청저우 직할시 및 신잉청현 북부 13개 현할시 일원 |
외국방송 중화민국-류츄 3 멀티플랙스 | UHF M 34 | 대시주빈(臺視主頻) 월시주빈(粤視主頻) 상해전시주빈(上海電視主頻) 복건전시대주빈(福建電視臺主頻) 객가전시대(客家電視臺)[5] |
Y0FTF-DTV | 5 kW | 잉청저우 직할시 및 신잉청현 북부 13개 현할시 일원 |
DAB 라디오 & DMB[edit | edit source]
FM 라디오[edit | edit source]
주파수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출력 | 방송 지역 |
---|---|---|---|---|
88.2 MHz | ARY 라디오 뮤직 1/ARY 뮤지크 1 | YZPYN-SFM | 10 kW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연방방송(단일방송) |
89.4 MHz | ARY 라디오 뮤직 2/ARY 뮤지크 2 | YZPYO-SFM | 10 kW | |
93.3 MHz | ARY 라디오 뉴스 1/ARY 조날 1 | YZPYP-SFM | 10 kW | |
94.8 MHz | ARY 라디오 뉴스 2/ARY 조날 2 | YZPYQ-SFM | 10 kW | |
104.1 MHz | ARY 라디오 클래식/ARY 라디오 클라시크 | YZPYR-SFM | 10 kW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연방방송(서부판) |
106.6 MHz | ARY 라디오 트래픽&웨더/ARY 라디오 트라피크&메떼오 | YZPYS-SFM | 10 kW |
라디오 AM 중파방송[edit | edit source]
주파수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출력 | 방송 지역 |
---|---|---|---|---|
1605 KHz | ARY 라디오 클래식/ARY 라디오 클라시크 | YZPYR-AM | 100 kW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연방방송(서부판) |
1515 KHz | ARY 라디오 트래픽&웨더/ARY 라디오 트라피크&메떼오 | YZPYS-AM | 100 kW |
라디오 AM 단파방송[edit | edit source]
주파수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출력 | 방송 지역 |
---|---|---|---|---|
18950 KHz(18.95 MHz) | ARY 라디오 클래식/ARY 라디오 클라시크 | YZPYR-SWAM | 200 kW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연방방송(서부판) |
19100 KHz(19.1 MHz) | ARY 라디오 트래픽&웨더/ARY 라디오 트라피크&메떼오 | YZPYS-SWAM | 200 kW |
라디오 AM 장파방송[edit | edit source]
주파수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출력 | 방송 지역 |
---|---|---|---|---|
283.5KHz | ARY 라디오 클래식/ARY 라디오 클라시크 | YZPYR-LWAM | 100 kW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연방방송(서부판) |
280.5KHz | ARY 라디오 트래픽&웨더/ARY 라디오 트라피크&메떼오 | YZPYS-LWAM | 100 kW |
접근 가능한 대중교통편[edit | edit source]
■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 베이스민역, 스민역
■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잉추선 : 스민역
각주[edit | edit source]
- ↑ 현재 가치로 환산 시 총 2조 4490억 잉청저우 제도 연방 프랑이며, 이를 원화로 환산 시 51조 4600억원 정도 된다.
- ↑ 다만, 대한민국의 문화방송은 서울 본부의 방송을 재송신하기보다는, 지역국 혹은 지사 형태로써 서울 본국 제작 프로그램 방송 시간과 지역 방송 시간을 확보하여, 다채로운 컨텐츠를 송출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해 잉청저우에서의 방송이 지역국으로 기동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2003년에 잉청저우MBC, MBC이스트코스트를 문화방송이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 개국시켰다. 그러다보니, 문화방송의 경우에는 잉청저우 도시권에서 이 합동송신소를 통해, 잉청저우MBC를 송출하며,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선거방송 등의 잉청저우 제도 연방용 프로그램도 제작된다. 그 경우엔, 한국 서울 본부의 프로그램 편성이 몇 블록/몇 시간씩 밀려나가, 재방송을 채우느라고 그로부터 2주 간은 24시간 방송을 실시하는 경우가 존재한다고 한다.
- ↑ 아날로그 시절엔 각 물리채널 형식으로 몇 채널만 송출했고, 송출할 시의 출력은 VHF의 경우엔 영상출력 50Kw, 음성출력 12.5Kw/UHF의 경우엔 영상출력 150Kw, 음성출력 37.5Kw
- ↑ 이전까지 잉청저우 직할시의 난잉서우구 및 주오구에 세워진 건물들은 높아도 610m 정도에 불과했으며, 대개 300m~500m의 높이의 마천루만이 가득했다.
-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송출 채널들 모두 HEVC 코덱을 사용하여 풀 HD로 방송한다.
- ↑ 문화방송의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의 두 지역국 중 하나인 잉청저우MBC는 잉청저우 직할시 및 신잉청현 북부 13개 현할시 일원만을 방송 지역 및 가청 권역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