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청저우역
![]() |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
瀛城州 Yingchengjhou Sepannah |
||
---|---|---|
개괄 | ||
관할 기관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 |
소재지 | ![]() | |
개업일 | 1890년 2월 3일 | |
역 번호 | ■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화루선 : Y109 ■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잉추선 : Y201 | |
종별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잉청저우 시 지국 소재역 | |
등급 | 중추역 | |
승강장 구조 | 28면 32선(일반철도+광역전철) 16면 20선(고속철도) | |
승차 인원 | 34,415,929명 (2020) | |
노선 | ||
화루선 | ||
화롄 기점 138.7 km | ||
■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화루선 | ||
| ||
잉추선 | ||
잉청저우 기점 0.0 km | ||
■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잉추선
| ||
| ||
난루고속선 | ||
난강 기점 263.4 km | ||
| ||
잉징고속선 | ||
잉청저우 기점 0.0 km | ||
| ||
|
瀛城州 Yingchengjhou Sepannah |
||
---|---|---|
개괄 | ||
관할 기관 | 잉청저우 첩운공사 | |
소재지 | ![]() | |
개업일 | 1970년 12월 27일 | |
역 번호 | ■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 434 | |
승강장 구조 | 각각 2면 4선(섬식) | |
노선 | ||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 ||
샹신칭 기점 32.4 km | ||
■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 ||
|
잉청저우역(중국어: 瀛城州車站, 민난어: 瀛城州車頭, 하카어: 瀛城州車站, 광둥어: 瀛城州車站, 우어: 瀛城州車站, 일본어: 瀛城州駅, 오키나와어: 瀛城州驛, 영어: Yingchengjhou Station, 프랑스어: Gare du Yingchengjhou, 독일어: Banhhof Yingchengjhou, 잉청저우어: Hemplan Sepannah[1], 타갈로그어: Himpilan ng Yingchengjhou)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직할시 난잉서우 구 찬젠2리(站前二里)에 있는 철도역이다. 이름값 그대로 잉청저우 직할시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관문역으로서 기능하며, 그 때문에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 중요도 1순위를 차지함과 동시에, 중화민국, 대한민국, 누아달마타 공화국, 프랑스, 잉글랜드 왕국 등의 수많은 국가에서 착발하거나, 잉청저우 제도 연방 곳곳에서 착발하는, 2개의 물리적인 일반철도 노선과 2개의 고속철도 전용선이 존재하지만, 운행 계통이 수도 없이 많다 보니 수도 없이 많은 국내외 착발 국제철도 열차가 이 역을 거쳐간다. 그 외에도, 잉청저우 도시철도의 4호선인 신칭 선이 이 역을 지나가면서, 광역전철과 환승역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잉청저우역 앞은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도 사람으로 가득하다. 일반철도 및 광역전철 28면 32선, 고속철도 16면 20선이라는 역 규모에서 보이듯이, 거대한 규모의 역이며, 10분마다 전철, 일반열차를 포함해 530편 정도의 열차를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는 1964년 지하화 착수 당시에, 장래의 기술 발달로 인한 타국과의 철도 연결을 고려해, 국제철도가 정차하는 역의 위상을 감안해 철도 열차용량이 이를 소화할 수 있게 설계가 된 덕택이라고 할 수 있다. 1964년부터 1982년까지 수행된 잉청저우 시와 그 근교의 도시들 내를 다니던 철도의 지하화로 인해, 역 플랫폼과 대합실은 모두 지하에 있으며, 역 위는 도로와 쌍둥이 빌딩 형태로 되어있는 수많은 사무 및 상업 시설이 집적해있고,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모든 연방철도의 관제를 담당하는 시설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의 공공철로관리국의 잉청저우 시 지국이 들어있는, 잉청저우역 지상연장쌍대하가 들어서 있다.
언어별 역명[edit | edit source]
언어 | 역명 |
---|---|
중국어 | 瀛城州車站 |
월어 | 瀛城州車站 |
오어 | 瀛城州車站 |
객가어 | 瀛城州車站 |
민남어 | 瀛城州車頭 |
일본어 | 瀛城州駅 / えいせいしゅうえき |
류큐어 | 瀛城州驛 / いいしいしゅういき |
한국어 | 잉청저우역 |
프랑스어 | Gare du Yingchengjhou |
독일어 | Bahnhof Yingchengjhou |
루마니아어 | Gara de Yingțăngjău |
영어 | Yingchengjhou Station |
필리핀어 | Himpilan ng Yingchengjhou |
잉청저우어 | Hemplan Sepannah |
이탈리아어 | Stazione Yingchengjhou |
스페인어 | Estación de Yingchengjhou |
포르투갈어 | Estação da Yingchengjhou |
갈리시아어 | Estación da Yingchengjhou |
카탈루냐어 | Estació de Yingchengjhou |
오크어 | Gara de Yingchengjhou |
아이누어 | 예시 |
만주어 | 예시 |
신파촉어 | 瀛城州車頭 |
간어 | 瀛城州車站 |
우크라이나어 | Станція Їнчєнжау |
역사[edit | edit source]
- 1890년 2월 3일 : 화루선의 전신 중 하나인 독일제국 잉청저우 식민지의 첫 철도(슐수이광~추시 철도)의 중간역 중 하나로 개업[2]
- 1918년 11월 11일 :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독일제국 잉청저우 식민지 해체, 동시에 잉청저우 섬 프랑스 위임통치령 설치로 소유권이 잉청저우 섬 위임통치청으로 이전
- 1943년 12월 19일 : 제정 일본이 침략전쟁을 벌여 점령한 와중에, 잉청저우 섬 레지스탕스의 저항과 미군의 폭격으로 1차 파괴
- 1945년 10월 25일 :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잉청저우 섬 반환, 소유권이 중화민국 대만철로관리국으로 이전 및 가복구
- 1946년 8월 10일 : 완전 복구 완료
- 1947년 4월 10일 : 중화민국의 국민정부가 2.28 항쟁을 폭력적 진압을 가장해 유린하려고 비인간적인 범죄 행위를 벌이면서, 2.28 항쟁의 중심 축이던 잉청저우 역에 방화, 2차 파괴
- 1949년 9월 1일 : 2차 복구 완료
- 1956년 7월 29일 : 단수이 협정에 의해 잉청저우 섬의 독립으로 소유권이 잉청저우 섬 임시정부로 이전
- 1956년 12월 17일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수립으로, 소유권이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행정원에 귀속
- 1957년 6월 8일 : 슐수이광~아키세(아키시) 철도 전철화
- 1964년 5월 12일 : 잉청저우 시와 그 근교의 철도 지화화 공사 착수에 따라, 일반철도역 지하화 착수
- 1970년 12월 27일 : 도시철도 신칭 선의 개통으로, 도시철도 잉청저우역[3] 개업
- 1982년 5월 10일 : 일반철도역 지하화 완공/이설 및 화루선 개통
- 1983년 4월 13일 : 화루선 광역전철 개통, 도시철도 잉청저우역과 광역전철 간 환승 개시
- 1990년 2월 3일 : 개업 100주년
- 2006년 3월 13일 : 난루고속선 개통으로 고속철도 잉청저우역 개업
- 2006년 4월 1일 : 잉징고속선 개통
- 2020년 2월 3일 : 개업 130주년
승강장[edit | edit source]
일반철도, 광역철도 승강장[edit | edit source]
↑ 하샹(화루선)/↑ 하샹(화루선 광역전철)/↑ 스민(잉추선)/↑ 스민(잉추선 광역전철) |
| 28 27 | | 26 25 | | 24 23 | | 22 21 | | 20 19 | | 18 17 | | 16 15 | | 14 13 | | | | | | 12 11 | 10 9 | | 87 | | 65 | | 43 | | 21 | |
토헤이(화루선) ↓/토헤이(화루선 광역전철) ↓ |
1 | 화루선 광역전철 | 완행 상행 | 구이서우 · 시잉청저우 방면 |
---|---|---|---|
2 | 화루선 광역전철 | 급행 상행 | 구이서우 · 시잉청저우 방면 |
3~12 | 화루선 · 잉추선 상행 | 콩시부아호 · 시티호 | 타이베이 · 난징 · 서울 · 구이서우 · 이스트코스트 · 스화 · 카마키 · 틴샤 · 마닐라 · 하노이 · 런던 · 파리 · 누아스플라토 · 부쿠레슈티 방면 |
콩시부아호 · 시티호 | 타이베이 · 난징 · 서울 · 구이서우 · 이스트코스트 · 스화 · 카마키 · 틴샤 · 마닐라 · 하노이 · 런던 · 파리 · 누아스플라토 · 부쿠레슈티 방면 | ||
전세열차 · 동아시아 철도등급 대응표 외 등급 규정 침대열차 | 타이베이 · 난징 · 서울 · 구이서우 · 이스트코스트 · 스화 · 카마키 · 틴샤 · 마닐라 · 하노이 · 런던 · 파리 · 누아스플라토 · 부쿠레슈티 방면 | ||
롄팡하오 · 미라이호 | 타이베이 · 난징 · 서울 · 구이서우 · 이스트코스트 · 스화 · 카마키 · 틴샤 · 마닐라 · 하노이 · 런던 · 파리 · 누아스플라토 · 부쿠레슈티 방면 | ||
롄팡하오 · 미라이호 | 타이베이 · 난징 · 서울 · 구이서우 · 이스트코스트 · 스화 · 카마키 · 틴샤 · 마닐라 · 하노이 · 런던 · 파리 · 누아스플라토 · 부쿠레슈티 방면 | ||
13~22 | 화루선 · 잉추선 하행 | 롄팡하오 · 미라이호 | 나화 · 아마미 · 하카타 · 오사카 · 나고야 · 도쿄 방면 |
롄팡하오 · 미라이호 | 나화 · 아마미 · 하카타 · 오사카 · 나고야 · 도쿄 방면 | ||
전세열차 · 동아시아 철도등급 대응표 외 등급 규정 침대열차 | 나화 · 아마미 · 하카타 · 오사카 · 나고야 · 도쿄 방면 | ||
콩시부아호 · 시티호 | 나화 · 아마미 · 하카타 · 오사카 · 나고야 · 도쿄 방면 | ||
콩시부아호 · 시티호 | 나화 · 아마미 · 하카타 · 오사카 · 나고야 · 도쿄 방면 | ||
23 | 화루선 광역전철 | 급행 하행 | 아키세 방면 |
24 | 화루선 광역전철 | 완행 하행 | 아키세 · 아시투 방면 |
25 | 잉추선 광역전철 | 완행 | 당역종착 |
26 | 잉추선 광역전철 | 급행 | 당역종착 |
27 | 잉추선 광역전철 | 급행 | 스기 방면 |
28 | 잉추선 광역전철 | 완행 | 스기 방면 |
고속철도 승강장[edit | edit source]
↑ 구이서우(난루고속선)/↑ 잉청구팅(잉징고속선) |
16 | | 15 14 | | 13 12 | 11 10 | | | | 98 | | | | 76 | | 54 | | 32 | 1 |
유나구니(난루고속선) ↓ |
1~4 | 고속철도 완행 상행 | 타이베이 · 난징 · 서울 · 구이서우 · 이스트코스트 · 스화 · 카마키 · 틴샤 · 마닐라 · 하노이 · 런던 · 파리 · 누아스플라토 · 부쿠레슈티 방면 |
---|---|---|
5~8 | 고속철도 급행 상행 | 타이베이 · 난징 · 서울 · 구이서우 · 이스트코스트 · 스화 · 카마키 · 틴샤 · 마닐라 · 하노이 · 런던 · 파리 · 누아스플라토 · 부쿠레슈티 방면 |
9~12 | 고속철도 급행 하행 | 나화 · 아마미 · 하카타 · 오사카 · 나고야 · 도쿄 방면 |
13~16 | 고속철도 완행 하행 | 나화 · 아마미 · 하카타 · 오사카 · 나고야 · 도쿄 방면 |
도시철도 승강장[edit | edit source]
↑ 찬젠1 |
| 43 | | 21 | |
베이스민 ↓ |
1 | 신칭선 | 완행 상행 | 스민 · 잉청저우 센트럴타워 · 잉쟈대학교앞 · 난완잉 방면 |
---|---|---|---|
2 | 신칭선 | 급행 상행 | 스민 · 잉청저우 센트럴타워 · 잉쟈대학교앞 · 난완잉 방면 |
3 | 신칭선 | 급행 하행 | 잉청저우 시립대학교앞 · 잉서우역 · 둥구청 · 베이안 방면 |
4 | 신칭선 | 완행 하행 | 잉청저우 시립대학교앞 · 잉서우역 · 둥구청 · 베이안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