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청저우어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어
Sepannah [Sepaŋaʜ]
사용 국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사용 지역 잉청저우 섬 전역
언어 인구 모어: 30만 2천명[1]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타이완 제어
  잉청저우어파
   잉청저우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표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어위원회
언어 부호
ISO 639-1
ISO 639-2
ISO 639-3 ycj


세판어, 잉청저우어 혹은 잉청저우 원주민어(중국어: 瀛城州原主民語 잉청저우위안주민위 혹은 중국어: 瀛城州語 잉청저우위, 일본어: 瀛城州語 에이세이슈고, 잉청저우어: Sepannah 세팡야 or 잉청저우어: Dthiyaw Sepannah 디티야우 세팡야)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타이완 제어에 속하며, 잉청저우 원주민(잉청저우인)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대만의 아미족(阿美族)과 근연혈통을 지녔으나, 아미어가 아닌 오스트로네시아조어를 사용하던 잉청저우 도래인(잉청저우 원주민)들이 모여서 각자의 방언을 구사하던 이들이 16세기 경에 세판 왕국의 수립과 그 이후 일어난 강력한 언어 통일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인도유럽어족의 아르메니아어/그리스어/알바니아어 등의 사례와 유사하게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타이완 제어 잉청저우어파로 분류한다.

사용 용례[edit | edit source]

전통적으로 잉청저우 섬 남부 일대의 잉청저우 원주민의 통일 왕국인 세판 왕국의 공용어로서 쓰였던 특성과, 이촌향도로 인해서 잉청저우 원주민이 대거 잉청저우 시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절의 잉청저우 섬에서 잉청저우어를 보존하도록 하는 정책을 실시했던 결과로 언어가 20세기 중반까지는 그 세나 언어의 어휘가 전승 및 유지되었으나, 잉청저우 제도 연방 수립으로 인해 일제와 중화민국의 장제스 국민정부 통치 하에서 일시적으로 일어났던 탄압으로 인해 언어가 위태로워질 뻔 했으며, 이를 막고자 수많은 잉청저우인이 틴샤나 나부샤 일원[2]에서 지하 학교나 지하 연구실을 열어 잉청저우어를 겨우 지켜냈다.

그 이후 단수이 협정을 통한 잉청저우 섬의 독립 쟁취로 인해 단 2달만에 탄압이 완전히 중지되었다. 이후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 1956년 건국과 함께 공용어 중 하나로의 지정을 통해 정규 교과목화 및 대학 각 학과에서의 언어 코스 마련 당시 잉청저우어 코스를 추가해 언어의 지위가 위태로웠던 상태에서 빠져 나왔다. 이로써 다시금 세대가 내려갈 수록 전승되면서, 현재는 잉청저우 섬 전역 중 신잉청현의 잉청저우 섬 향진 지역으로 대표되는 섬 남부 지역에서 주로 쓰이고 있다. 다만, 잉청저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교통과 통신의 발달 및 연방의 발전에 따라 현재 모두 표준중국어나 영어와 프랑스어와 잉청저우어를 같이 쓰는 이중언어~사중언어 화자가 주를 이루고 있음으로서[3], 잉청저우어가 표준중국어나 영어, 프랑스어로 대체되느냐 아니면 그대로 생존하느냐 여부에 따라 잉청저우어의 운명이 갈릴 것으로 보여, 절멸 위험이 완전히 떨쳐진 것은 아니다.

특히 신잉청현에서는 단순한 언어 보존을 넘어,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는 현실과 신잉청현의 잉청저우 섬 남부에서 화자가 대거 분포해있는 현실에 의거해, 신잉청현의 연방주체법률 중 하나인 <<신잉청현 행정 언어에 관한 무기한 상시특별법>>에 따라 신잉청현에서는 표준중국어, 민난어, 하카어, 광둥어, 오어, 잉청저우 산둥관화, 필리핀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과 함께 행정언어 중 하나로서 쓰인다. 그 이외에 공영방송에서 잉청저우어 채널이 존재하며, 대학 및 대학원과 연구 기관에서는 각 언어별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을 이용해 잉청저우어 원어민에게 고등교육과 학문 탐구의 기회를 주고자 잉청저우어 과정을 열어놓고 있다.

문자의 경우엔, 본래 세판 왕국의 수립 이전에는 잉청저우 섬 남부에서 잉청저우 원주민의 전신이 되는 대만 도래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수많은 부족 중 한 부족의 언어로써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지던 말인 만큼 당연히 문자가 없는 구어로만 쓰이던 말이였으나, 17세기 즈음에 대만에서 서양 세력이 식민지를 만들었다 정성공이 이를 격퇴하며 정씨왕국을 세우는 등의 격변이 일어나던 시기와 동 시기에 세판 왕국이 수립되었던 상황에서, 세판 왕국의 통일 정책에 의해 잉청저우 원주민이 부족 간의 끝없는 통혼으로 통일된 민족을 이루고, 언어가 잉청저우어로 통일되면서 비로소 잉청저우 원주민만의 언어로 쓰이게 되면서 문자를 갖추고 문어체를 수립하게 되어 오늘에 이른다.

문자는 세판 왕국 시절엔 근방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톤도 왕국에서 수입한 바이바이인 문자를 공식 문자로 적으며 첫 문자 시대를 열었다가, 청조에 의해 세판 왕국이 멸망한 이후엔 한자나 서양 세력과 접촉하며 알게 된 로마자, 바이바이인 문자를 쓰는 사람이 적을 수 있는 문자로 쓰는 식으로 혼용해 적었으나, 1956년 잉청저우 제도 연방 수립 이후에 1958년에 잉청저우 현, 시낭 현, 웨이칭 현에서 잉청저우어를 로마자로만 적도록 각 현 법률을 제정, 그에 기반해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반에 잉청저우어를 로마자/한자/바이바이인 문자를 혼용하는 실험을 통해 로마자가 잉청저우어 언어 실정에 맞음을 밝혀냈고, 1974년에는 잉청저우어는 무조건 로마자로만 적어야 한다는 연방 법률이 제정되며, 로마자 이외의 표기는 종적을 감추었고, 현재는 로마자로만 적힌다.

문자로 기록되는 서면언어인 문어체는 1665년 나르팔린 카시리에 의해 처음 그 정서법과 맞춤법이 고안되었고, 이후 이것에 기반한 관습이 쓰이다가,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기에 근대적인 언어학 요소의 도입으로 현재 쓰이는 정서법의 기초가 마련되어, 1956년~1974년의 실험기 동안 정서법의 현대화를 이룩, 1974년 현재 사용되는 맞춤법이 완성되어 지금도 쓰이고 있다.

음운(음소)[edit | edit source]

세판 왕국의 주요 세력이자 잉청저우 원주민의 사실상의 선조라 할 수 있는 대만 원주민 부족 중 하나인 아미족과 근연혈통을 지녔음에도, 아미어/사키자야어/카나카나부어 등의 동타이완어파 계통의 언어가 아닌, 오스트로네시아조어를 사용하던 최후의 집단이 기원전 2600년경 잉청저우 섬 남부로 건너와 정착하면서, 이들 집단이 여러 부족으로 나뉘었다가 16세기 경 세판 왕국이 이를 통일하면서 생긴 언어이다. 그런 만큼, 기원전 2600년 정착 이후로도 언어의 음소가 거의 변치 않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음운을 상당히 보존하고 있는 아이슬란드어 못지 않은 보수적인 언어로 유명하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북동 타이완 및 잉청저우 언어들 음운표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사로아어 카나카나부어 르카이어 부눈어 아미어 크발란어 푸유마어 파이완어 잉청저우어
*p p p p p p p p p p
*t t, c t, c t, c t t t t, ʈ tj [č], ts [c] t
*c s, Ø c θ, s, Ø c ([s] in Central & South) c s s t c
*k k k k k k k, q k k k
*q Ø ʔ Ø q (x in Ishbukun) ɦ Ø ɦ q q
*b v v [β] b b f b v [β] v b
*d s c d r z d, z dj [j], z d
*j s c d d r z d, z dj [j], z j
*g k-, -ɬ- k-, -l-, -l g k-, -Ø-, -Ø k-, -n-, -n k-, -n-, -n h-, -d-, -d g-, -d-, -d g
r r r, Ø l l [ḷ] ɣ r Ø ɣ
*m m m m m m m m m m
*n n n n n n n n n n
ŋ ŋ ŋ ŋ ŋ ŋ ŋ ŋ ŋ
*s Ø s s s s Ø Ø s s
*h Ø Ø Ø Ø h Ø Ø Ø h
*l Ø Ø, l ñ h-, -Ø-, -Ø l [ḷ] r, ɣ l [ḷ] l l
ɬ n ɬ n ɬ n ɬ ɬ ɬ
*w Ø Ø v v w w w w w
*y ɬ l ð ð y y y y y

문법[edit | edit source]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가 그렇듯, 필리핀형 언어에 속하는 언어로써, 필리핀식 병렬로 알려진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고유의 병렬 등의 기초적인 부분은 대부분 보존되어 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한 단어를 두번 이상 사용하는 특징만큼은 잉청저우 섬을 거쳐간 식민지배 혹은 위임통치령 통치, 한족 이주 이후 토착 한족의 영향, 1945년 제정 일본의 패망으로 인한 해방에서 1956년 단수이 협정으로 인한 독립까지 계속된 중화민국의 억압 등에 의해 프랑스어나 독일어, 중국어와 갈라져나온 언어들[4]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아서, 19세기 말을 시작으로 1980년대에 완전히 무너졌다.[5]

어순은 아타얄어와 비슷하게 SVO 어순과 VSO 어순과 VOS 어순 모두를 인정하고 있다. 많은 잉청저우어 사용자들은 이 중에서 SVO 어순을 취하는 쪽인데, 이는 근대 이후 한국어나 류큐어, 일본어 같은 언어에서 강하게 영향을 준 결과로 해석된다.

이름의 경우에는 아미어와 비슷하게 이름 + 부칭/모칭 + 성씨나 이름 + 성씨의 조합으로 적도록 한다. 다만 90% 이상의 잉청저우 원주민들이 후자를 채택하고 있어서 전자의 사례는 소수인 편이다.

어휘[edit | edit source]

음운은 보수적, 어휘는 진보적

권재령 박사, 1983년 국립잉청저우대학에서 잉청저우어를 단 한 줄로 정리하며

잉청저우어가 세판 왕국의 통일 정책을 통해, 부족 간 통혼을 장려하고, 부족 간의 언어 등의 여러 요소의 통일을 통한 중앙집권화를 이룬 역사로 인해 생겨난 언어인 만큼, 아미족과 근연혈통을 지녔으며 수많은 부족들이 나뉘었던 오스트로네시아조어를 사용하던 최후의 집단이 쓰던 언어가 통일 정책으로 하나로 통일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잉청저우어의 어휘인 기초 어휘 및 전근대적 개념을 가리키는 어휘가 형성되었고, 다른 타이완 제어 언어나 타갈로그어 및 세부아노어, 말레이어 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들, 표준중국어[6], 대만민난어, 하카어, 월어(광둥어), 류큐어, 일본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에서 근대 이후에 개념이 생긴 비 왕정 정치체제 관련 용어나 기술용어 등을 받아들였다. 그 결과 기초 어휘에서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서 바로 전래된 단어로 이뤄진 것과 달리, 다른 부분에서는 외래어가 최소 20%~최대 65%[7] 정도 분류하여, 오스트로네시아 조어 직전례 단어 40%, 한자어 40%, 타 오스트로네시아 계통 언어 10%, 게르만어파 계열 5%, 로망스어군 계열 5%로 어휘가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음운에 대해서는 매우 보수적인 것과는 매우 다른 언어 사용이 이뤄진다고 할 수 있다.

숫자
1 - isa
2 - tusa
3 - tulu
4 - sepat
5 - lime, lima
6 - enem
7 - pitu
8 - walu
9 - siwa
10 - xa-puluq'
근대적/현대적 용어
공화국 - Kemedlin[8]
연방 - Cilipunen[9]
헌법 - Konstitutan[10]
철도역 - Hemplan[11]
전동차 - Dynsha[12]
비(非) 전동차 열차 - Ryethsa[13]
텔레비전 - Dyntsi[14]
라디오 - Dynzai[15]
행정원 - Tsynzynin[16]
입법원 - Rybavin[17]
사법원 - Subavin[18]
고시원 - Kewsyhin[19]
감찰원 - Kamsyayn[20]
지리/천문/방향/종교
바다, 해안 - Tenem
남동(南東) - Timual-Sabarat
남서(南西) - Timual-Daya
북동(北東) - Qamis-Sabarat
북서(北西) - Qamis-Daya
남쪽 - Timual
서쪽 - Daya
동쪽 - Sabarat
북쪽 - Qamis
하늘, 천국, 신 - Iangic
계절 - Kawas
1년, 년도 - Cawin
카톨릭 - Catolik
개신교 - kitok-kaisin
:장로회 - (kitok-kaisin) tang-lo-kui
:침례회 - (kitok-kaisin) thim-re-kui
:성공회 - (kitok-kaisin) Anglikan
:루터회 - (kitok-kaisin) Lutho-kui
:감리회 - (kitok-kaisin) Ham-ri-kui
불교 - Bhudata
도교 - Taota
무교(巫敎) - Mushok-Iangic
신토(神道) - Lipun-Iangic
민족/국가
아미족/아미어 - Bhangcya[21]
남중국(중화민국, 중국), 중국인 - Tsongkho[22]
한국, 한국인 - Hannkok[23]
일본, 일본인 - Lipun[24]
류츄, 류츄인 - Riucoou[25]
미국 - Ame'rica[26]
독일 - Doiche'[27]
프랑스 - Pran'sesi[28]
잉청저우 원주민(잉청저우인) - Sepannah[29]

같이 보기[edit | edit source]

각주[edit | edit source]

  1.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행정원 잉청저우 제도 연방 통계청
  2. 세판 왕국 이래로 잉청저우 원주민의 주요 중심 지역 중 하나였다
  3. 이러한 다중언어 화자로서의 잉청저우어 화자는 다국어 지역이 될 수밖에 없는 대도시 지역인 잉청저우 시와 그 위성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4. 민난어, 하카어(客家語), 월어, 오어(吳語) 등
  5. 이미 1956년 독립 이후 1950년대 후반부터 이러한 조짐이 보였고, 이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이나 이에 대한 한탄 등이 잉청저우어로 된 신문에 실렸을 정도이다.
  6. 다만, 비 왕정 정치체제 관련 용어 중 중화민국이나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 사용되는 오권분립 체제의 요소를 가리키는 용어는 근연언어인 아미어에서 음차되어 형성된 단어를 통해 이중 차용되고 있다. 행정원을 가리키는 tsynzynin, 입법원을 뜻하는 rybavin이 그 예시이다.
  7. 분류에 따라 70%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8. 필리핀어에서 유래
  9. 필리핀어에서 유래
  10. 필리핀어에서 유래
  11. 필리핀어에서 유래
  12. 일본어로 노면전차 혹은 일반철도, 광역전철 및 도시철도의 전동차 등을 뜻하는 電車가 류큐어로 전래된 것에서 유래
  13. 일본어로 일반열차를 뜻하는 列車에서 유래
  14. 대만민난어 및 광둥어에서 유래
  15. 대만민난어 및 광둥어에서 유래
  16. 표준중국어 行政院(Síngjhèngyuàn)과 이를 아미어에서 차용한 Sincenyin에서 유래된 말로, 잉청저우어에서 중화민국의 행정원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행정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17. 표준중국어 立法院(Lìfǎyuàn)과 이를 아미어에서 차용한 Lifayin에서 유래된 말로, 잉청저우어에서 중화민국의 입법원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입법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18. 표준중국어 司法院(Sīhfǎyuàn)과 이를 아미어에서 차용한 sefayin에서 유래된 말로, 잉청저우어에서 중화민국의 사법원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사법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19. 표준중국어 考試院(Kǎoshìhyuàn)과 이를 아미어에서 차용한 Kawseyin에서 유래된 말로, 잉청저우어에서 중화민국의 고시원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고시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20. 표준중국어 監察院(Jiancháyuàn)과 이를 아미어에서 차용한 kansacyin에서 유래된 말로, 잉청저우어에서 중화민국의 감찰원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감찰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21. 아미어 Pangcah에서 온 말로써, 잉청저우 원주민이 아미족과 아미어를 가리킬 때 쓴다. 1960년대~1970년대에 표기법의 통일 과정에서 아미어와 같은 철자를 쓰던 것을 지금의 철자로 바꾸었다.
  22. 표준중국어에서 온 말이다.
  23. 한국어에서 온 말이다.
  24. 일본어에서 온 말이다.
  25. 류큐어에서 온 말이다.
  26. 영어에서 온 말이다.
  27. 독일어에서 온 말이다.
  28. 프랑스어에서 온 말이다.
  29. 민족과 언어를 구분하기 위해서, 민족을 지칭할 때는 프랑스어 Ethnie에서 온 Eetunik을, 언어를 지칭할 때는 Dthiyaw를 앞에 붙여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