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징고속선
잉징고속선 |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기점 | 잉청저우역 |
종점 | 카마키역 |
역 수 | 8 |
수송 실적 | 연간 10억 7590만명(2020) |
개통일 | 2006년 4월 1일(잉청저우(瀛城州)~이스트코스트(東岸) 1차 구간 개통) |
이스트코스트(東岸)~카마키(鏡卷) 2차 구간 개통 | 2007년 8월 2일 |
소유자 |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행정원 |
운영자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공공철로관리국 |
노선 제원 | |
노선 거리 | 510.8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단선병렬 |
전철화 | 25kv 교류 |
복선 구간 | 전 구간 단선병렬 |
신호 방식 | ATC/TVM430 겸용 |
차량 한계 | 가공전차선 고려 시 최대 5.6 m |
최대 경사 | 20 ‰ |
최소 곡선 반경 | 4500 m |
영업 최고 속도 | 300 km/h |
설계 최고 속도 | 450 km/h |
잉징고속선(중국어: 瀛鏡高速鐵路 잉징가오수톄루, 민난어: 瀛鏡高速鐵路 잉캰코속티루, 하카어: 瀛鏡高速鐵路 잉걍고숙톗루, 우어: 瀛鏡高速鐵路 인진쿼속틱루, 광둥어: 瀛鏡高速鐵路 잉겡고춱팃루, 일본어: 瀛鏡高速線 에이쿄코소쿠센, 오키나와어: 瀛鏡高速線 이이카마코소쿠신)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직할시의 잉청저우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동도현 카마키 시의 카마키역을 잇는 고속철도 전용 철도 노선이다.
잉추선이 1980년대 후반 완전개통을 이뤄내고, 잉추선을 통해, 잉징선에서 갈라져 나온 스화삼각선을 통해, 혼자 따로 놀던 해밀턴 섬 순환철도까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국내 철도망 겸 국제철도망에 연결되며 1차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철도망이 완성된 이후, 연방 각지에서 잉청저우로 이동하는 시간이 육로 이동 시간이 종전 단절구간의 해로교통 이용 시간까지 합한 18시간 정도에서 6시간으로 1/3 가량 단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항공기에 뒤쳐지고 있어서, 여객에 한해 구간수요를 제외하고는 경쟁력이 떨어지던 환경에서, 항공기 요금의 부담을 덜면서도 이동시간과 속도를 모두 잡는 고속철도의 도입을 고려하면서 1994년 건설이 결정, 1997년 2월 9일 착공, 2006년 4월 1일 잉청저우~이스트코스트 구간이, 2007년 8월 2일 이스트코스트~카마키 구간이 개통되면서 유라시아 대륙고속철도망과의 연결이 성사되었다. 잉청저우역에서 난루고속선과 합류하며, 구이서우역에서 분기한 잉청저우고속삼각선이 잉청저우역에서 잉청구팅역 사이의 구간 중에 합류한다. 잉청저우 시내와 그 위성도시의 시가지, 이스트코스트 시와 수많은 섬들을 갈라놓는 바다를 비롯해 모든 지상의 장애물을 피해 지하로 지나야 하고, 잉징선과 겹쳐서는 안된다는 조건까지 더해, 100% 지하로 놓아야 하는 악조건 속에서 고속철도 전용 철도망 연결을 터널[1]로 연결하는 것은 기술의 향상으로 쉬워졌으며, 그로서, 잉징선과는 달리,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되었다. 현재 유라시아 대륙고속철도망 대부분의 막대하게 비어있는 철도 용량을 활용하여, 화물용 고속철도 열차를 투입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운행계통 목록[edit | edit source]
잉징고속선도 광대한 대륙고속철도망에 연결되어있는 작은 노선으로써,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구간만으로 존재하는 단거리 운행계통과 구이서우역에서 잉청저우 고속삼각선을 이용해 이스트코스트까지 운행하는 계통이 존재하며, 갖가지 막장스러운 중장거리 국제 운행계통이 매우 많이 나온다. 중장거리 계통의 경우 광대한 대륙철도망에 의해, 타 철도 노선과의 직결운행을 통해 운행 중이다.
- 가오슝~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난징~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나화~잉청저우~이스트코스트
- 이스트코스트~잉청저우~하카타
- 타이베이~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사이공~하노이~난닝~광저우~차오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맨체스터~런던~파리~스트라스부르~쾰른~베를린~바르샤바~브레스트~민스크~스몰렌스크~모스크바~페르먀~예카테린부르크~올란우데~울란바토르~베이징~난징~상하이~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스화~카마키
- 부산~동대구~대전~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목포~광주송정~익산~세종~천안아산~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스화~카마키
- 이스트코스트~스화~카마키
역 목록[edit | edit source]
- 중화민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중국어권(화어권) 지역(잉청저우 시에서 잉청허(瀛城河) 이서 및 완잉 구(宛英區) + 신잉청현 잉청저우 섬 부분 일대에서 스기 시(杉市), 세이란 시(淸蘭市), 나부샤 진, 틴샤 진을 제외한 전체)의 경우, 표준중국어 역명의 로마자 표기에 통용병음을 필수로, 그 외 지역에서는 표준중국어 역명의 표기를 위해 편의상 통용병음을 자발적으로 사용하며, 그에 따라 중화민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표준중국어 역명의 로마자 표기는 통용병음으로 사용된다.
- 등급은 카마키발 잉청저우행 열차 기준이다.
역 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고속급행 | 고속전역정차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Y109 Y201 |
잉청저우 | Yingchengjhou | 瀛城州 | 0.0 | 0.0 | ▲[2] | ● | ■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화루선 잉추선 난루고속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잉청저우 시 | 중정 구 | |
Y217 | 잉청구팅 | Yingchengguting | 瀛城古停 | 58.0 | 58.0 | | | ● | 잉추선 ■ 잉청저우 철도 횡단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신잉청현 | 잉청구팅 시 | |
Y308 | 이스트코스트 | Eastcoast | 東岸 | 185.0 | 243.0 | ● | ● | 잉추선 ■ 이스트코스트 도시철도 시티서클 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 센트럴 구 | |
Y313 | 카만스 | Kamansu | 嘉滿首 | 42.5 | 285.5 | | | ● | 잉추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동도현 | 카만스 시 | |
씨틀랜드센트럴 | Seatland-central | 海陸土中央 | 63.1 | 348.6 | | | ● | 잉추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동도현 | 씨틀랜드센트럴 진 | ||
진평 | Jinpyeong | 晉坪 | 59.7 | 408.3 | | | ● | 잉추선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동도현 | 진평 진 | ||
스화 | Sufa | 楚覇 | 64.8 | 473.1 | ▲ | ● | 해밀턴 섬 순환철도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동도현 | 스화 시 | ||
카마키 | Kamaki | 鏡卷 | 37.7 | 510.8 | ● | ● | 해밀턴 섬 순환철도 | 잉청저우 제도 연방 | 동도현 | 카마키 시 |
열차[edit | edit source]
현재 투입되는 열차[edit | edit source]
일본민국 측은 직결되는 난루고속선을 고려해, 신칸센 열차의 추가 도입 및 투입을 통한 운행 대비, 중화민국 측은 자체 개발 및 신칸센 도입을 결정하면서 난루고속선의 운행을 결정으나, 류큐 공화국은 주권국가로서의 상징으로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측에서는 잉징고속선 등의 독자적으로 고속철도를 운행할 수 있는 고속열차 전용선의 개통을 염두에 두고, 류큐 공화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는 유로트레인을 도입하여 난루고속선을 운행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유로트레인의 경우엔 류큐철도공사 도입분 도색과 차적/모델명 및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도입분 도색과 차적/모델명은 다르다.
- 신칸센 800계 전동차(도쿄발 난루고속선 경유 전(全) 국제열차)
- 신칸센 N700계 전동차(7000번대 및 8000번대, 도쿄발 난루고속선 경유 전(全) 국제열차)
- 중화민국 고속철도 700T형 전동차
-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8000호대 고속전동차 - 연방 깃발 내지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국토, 잉청저우 제도 연방 각지의 풍경 등으로 이루어진 도색을 사용한다.
- 류큐철도공사 90000번대 고속전동차 - 류큐 왕국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역사를 감안하여, 류큐 왕국 시절의 위인들이나 옛 왕조의 성군, 류큐 공화국의 역사적인 인물을 새긴 도색을 사용한다. 이러한 도색에 대해서 반발도 많았는데, 화폐에다 해야 할 도안을 굳이 고속열차 도색에 넣을 이유가 있느냐는 것이 그 이유였다.
퇴역한 열차[edit | edit source]
2000년대에 두 구간에 걸쳐서 개통한 만큼, 아직까지 퇴역한 열차는 없다.
여담[edit | edit source]
- 연방고속도로, 잉추선 및 스화삼각선과 해밀턴 섬 순환철도로 이어진 일반철도망 등과 함께 연방을 인터넷 외에서 하나로 묶는 연결줄과 같은 존재로서, 동도현과 이스트코스트, 잉청저우와 그 주변 위성도시를 중심으로 많은 국내 단위의 통근 및 통학의 여객수요가 몰리고 있어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정부가 이를 도로교통으로도 분산하고자 해저터널을 통해 연방도를 연결하려고 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물류 관련하여 발생하는 생존과 물가 안정의 문제를 비롯한 연방 존속 문제로 인해 철도와 도로를 막론하고 해저터널이 필수가 되어서 그렇다고 한다.
- 해외와 연결되는 운행계통 한정으로, 4시간의 벽의 한계에 부딫히는 소요시간 문제가 수요를 크게 깎아먹을 만도 하겠지만, 의외로 예상보다 50% 이상 많은 수요를 이끌어내고 있다. 그 이유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인구 밀집 지역의 분포와 잉청저우 시의 도시 구조가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데에 있는데,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경우에는 잉징고속선이 난루고속선과 직결운행을 실시하고 있어서, 잉징고속선을 지나는 잉청저우역의 경우 난루고속선 운행계통의 고정적 수요가 확보된 상황에서, 잉청저우 섬 전체가 환승까지 감안한 확장적 의미의 연선에 해당하며, 그로 인해, 잉청저우 제도 연방 인구의 95% 가량을 커버할 수 있는 점에 의해서라고 한다. 최근에는 저가 항공사가 등장해 치열한 경쟁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저가 항공사의 안전 문제 및 서비스 질 저하 문제로 인해 고속철도가 경합 우세의 판도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