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용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신민용(申敏庸, 1898~1980)은 대한민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의 농학자이자 농부이다. 벼를 개량하여 연해주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벼 품종을 만들어 처음으로 재배한 것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태생에서 학위까지[edit | edit source]

신민용은 1898년 7월 2일 녹둔도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당시 녹둔도는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연해주가 청나라에서 제정 러시아로 넘어갈 때 조선 왕국의 고유 영토임에도 연해주와 연륙하여 더 이상 섬이 아니게 된 것이 오랜 시간 흘렀다는 이유로 멋대로 제정 러시아로 넘어간 상황에서 척박한 땅을 잘 다룰 줄 아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척박한 땅을 개척해 내는 사람들이 필요한 제정 러시아의 배려로 하여금 녹둔도에 머무를 수 있게 되어 한인 사회가 지속적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었던 상황에서 그의 집안은 녹둔도의 평범한 농민 집안으로써 존속했다. 결국 1878년부터 시작된 한인의 연해주 이주로 하여금 녹둔도는 수많은 이주민들이 일시적으로 거쳐가는 곳으로 변모했으며, 그에 따라 녹둔도에 정착하는 한인도 생겨났다. 이후 1910년 경술국치로 이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녹둔도가 독립운동의 기지 중 하나로 변모했고, 신민회는 들키지 않고 녹둔도에 새로운 기지를 창설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로 인해 신민용은 7세가 된 1905년부터 신학문을 배우기 시작했다. 하지만, 녹둔도에서도 농사를 짓고 살던 신민용의 집안은 녹둔도에서 가장 가난하여 중간에 신학문을 어쩔 수 없이 그만둔 경우가 몇 차례 있어, 고교 과정까지 마친 것이 23세[1]가 되었을 때이다.

그러나,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터지고 그에 따라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촉발되어 적백내전이 일어난 이후 모든 것이 바뀌었다. 러시아는 우랄산맥 이서의 러시아인만의 영토로 급격히 쪼그라들고, 소수민족은 독립하거나 공산 러시아의 우국(友國)으로써 현실사회주의를 체제로 한 소비에트 공화국이 되는 등의 변화로 한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연해주가 사실상의 독립 상태가 됨과 동시에 3.1 독립혁명으로 독립한 한국이 간도와 함께 연해주를 자국의 영토로 편입하는 등의 변화를 겪고 고교 과정을 마치게 된 신민용은 이주민들의 척박한 땅에서 살아남는 방법과 연해주의 인구 상황을 전해듣고는 이제 막 개교한 국립해삼위대의 문을 두드려 시험을 보고 입학하는 데에 성공하여 1921년부터 국립해삼위대의 농학과에 들어가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서울의 서울대학교의 대학원으로 가서 농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물론 순전히 그의 능력과 노력이 결집하여 맞물린 결과였다.

교수직에 올라 연해주에서도 잘 자라는 벼를 만들다[edit | edit source]

국립해삼위대의 농학과 교수직에 오르는 데 힘써서 34세에 교수직에 오르는 데에 성공했다. 그는 연구 교수로써 우수한 성과를 내고자 노력하면서 연해주에서 잘 자라는 쌀을 개량으로 만들겠다는 집념과 목표 하나만 가지고 이전투구하고 있었는데, 그것의 결과로 1940년 1차 시험 작물을 만들어 재배하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 역시도 한계가 있어 연구하고자 노력했으나, 제2차 세계대전에 휘말린 조국으로 인해 대학이 솔빈시로 일시적으로 이전하게 된 바로 솔빈시에서 연구를 이어갔다. 솔빈시가 대도시의 열섬현상과 연해주에서 낮은 위도로 인한 비교적 온화한 기후에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던 해삼위시보다 훨씬 더 추운 결과로 인해 이 때의 연구결과가 엄청난 도움을 주게 되어 전쟁 종전 이후인 1946년 연해주에서도 잘 자라는 쌀의 완성형이 나오게 되었다. 하지만 시험 재배에서는 해삼위시, 솔빈시, 연해주 안변시 등 연해주의 남부 지역에서만 폭발적인 생산량 증가를 안겨주고, 연해주 중부에서는 벼 공급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의 증가만 안겨준 채로 한계를 맞이하여, 정리시 등의 중부 지역과 북부 지역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개량형을 만들기 위한 재배에 힘쓴 끝에 1953년 완성형을 완벽하게 개량한 개량형 벼를 만들어 연해주 전역에서 재배에 성공한다. 이 결과로 연해주에서는 식량 위기가 해소되고, 정주여건 완화를 위한 기후적 한계를 극복할 수단이 모두 강구되어 1960년대 이후로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의해 다른 지역과 비슷한 인구밀도를 생성하는 데에 성공한다.

각주[edit | edit source]

  1. 만 22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