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미르체아 지우르지우/오리마크 실증시험 점검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세계관 창작 활동에서의 진입장벽을 무너트리고 더 스토리즈의 사용 및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오리마크를 도입하는 등의 혁신을 단행하고, 오리마크를 도입하기 망설이거나, 오리마크에 대한 부작용을 염려하는 다른 위키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오리마크에 대한 실증시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현재 작성되는 기록은 2021년 9월 12일 오후 17시 47분 업로드 편집부터 19시 6분 업로드 편집까지 오리마크 실증시험을 거친 결과를 적어놓은 기록이다.

오리마크 실증시험이 목표한 사유[edit | edit source]

  • 오리마크가 시각편집기에서도 함께 사용 가능한가?
  • 오리마크에서 지원하는 나무마크 문법의 지원 및 나무마크 각주 문법과 미디어위키 본래 각주 문법의 호환은 시각편집기에서 불가능한가?
  • 둘러보기 상자가 깨지는가?

이 셋은 어찌 보면 미디어위키라는 위키 소프트웨어를 대표하는 상징이므로, 이것이 깨지거나 사용 불능이 될 경우엔 실증시험을 접고 오리마크를 영구히 불활성화 시킬 것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것들[edit | edit source]

목표 사유에 맞는 확인 결과[edit | edit source]

  • 오리마크는 시각편집기에서도 함께 사용 가능하며, 오리마크에서 지원하는 나무마크 문법의 지원, 그 중에서도 나무마크 각주 문법과 미디어위키 본래 각주 문법의 호환은 시각편집기에서 가능하다는 것 역시 밝혀냈다. 다만 시각편집기에서의 각주 문법의 호환은 반쯤은 착시 현상인 점에서 기인하는데, 각주 탭을 마련하고 각주를 따로 독립적인 파트로 둔 필자이자 운영자인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의 작성 스타일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시각편집기에서는 [각주](개행 후 각주더미)로만 보였다. 결국 2/3 정도의 성공이다.
  • 둘러보기 상자는 깨지지 않았다.

총 3개 중 2개 완전성공, 1개 2/3 성공 → 오류율 11.1%

예상치 못한 오류의 발생[edit | edit source]

  • 연습장에서 시각편집기에서 오리마크 적용 이전 모습이 정상적으로 보이는 바와 달리 본래의 문서 열람 형식으로 문서를 열람했을 경우엔, 엄격히 개행되거나 올바른 틀 사용법을 지킨 틀, 한 행에 두 칸만 둔 틀을 제외하고는 오리마크 적용 전엔 모두 자비롭게 표시되던 틀들이 모두 깨지는 오류가 일어났다. 그 말은 이젠 무조건 오리마크가 오류를 안 띄울 수 있게 틀 작성 시에 무조건 | 앞에 한칸 띄어쓰지 말고 붙여써야 한다. 표는 반드시 개행해야 할 부분은 무조건 개행해야 한다. 한 열에 다 쓰면 오류가 난다.
예시 - 오리마크 작용 이전 널널한 기준에서 작성된 표, 틀
A B C D E
{{{이름}}}
의회 체제
의회 체제 [[]]
조직
구성
의사당
ㅇㅇ국 국민의사당

오리마크 적용 이후 엄격한 기준으로 작성한 표, 틀

A B C D E
{{{이름}}}
의회 체제
의회 체제 [[]]
조직
구성
의사당
ㅇㅇ국 국민의사당
→ 사실상 오류 해결, 오류로 세지 않음.
  • 선거정보 틀[1]이 깨졌다. 이는 급히 수습 가능한 부분은 수습했으나 임시적인 조치에 불과하며,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해 보인다.
→ 후술하는 결과로 인해 오류 정정 불가능.

오류율 50%

실증시험 기록 이후 더 찾아본 결과[edit | edit source]

  • 실증시험 기록 이후 모든 문서들을 최소 한번 이상은 스캔 및 갱신한 결과, 선거정보 틀이 깨진 것과 표 적용에 대한 완전 규칙화를 제외하고는 예상치 못한 오류가 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선거정보 틀의 경우에는 구조상의 한계로 인해, 2개의 정당 및 후보, 정당연합만 표시되었을 때나 3개 이상의 정당 및 후보, 정당연합이 표시된 것 중에서 줄마다 맨 첫번째로 나오는(1, 3, 7, ... 번째 줄)정당 및 후보, 정당연합만 표시된 채로 틀이 깨지는 것으로 보인다.

예시 - 잉청저우 제도 연방(필자가 창설한 세계관의 가공의 국가)의 선거 표 중 15대 연방입법위원 선거 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위원선거

← 2012년 10월 26일
2016년 10월 21일
입법위원 목록
2020년 10월 23일 →

선출의석: 320석
과반의석: 160석
여론조사
투표율 91.1% (감소 2.6%)
  제1당 제2당 제3당
  Sin foto.svg Sin foto.svg Sin foto.svg
지도자 김정두
자유당 대표
한경만
대표
장 드 펠릭스
진보당 대표
정당 중도·민주 연합
국민당 진보·환경 연대
지도자 취임 2015년 10월 9일 2013년 12월 21일 2012년 9월 22일
지도자 선거구 (불출마) (불출마) (불출마)
이전 선거 결과 50석
(24 + 26)
147석 123석
(81 + 24 + 18)
선거 전 의석수 53석
(27 + 26)
146석 119석
(78 + 23 + 18)
선거 후 의석수 170석
(90 + 70)
88석 62석
(30 + 20 + 12)
의석 증감 증가 117석 감소 58 감소 57
득표수 10,064,519[2] 4,787,130 4,112,050[3]
득표율 51.8%[4] 24.7% 22.2%[5]
득표율 증감 증가 36.3%p 감소 16.1%p 감소 21.3%p

  제4당
  Sin foto.svg
지도자 마르틴 뤼용
대표
정당 해적당
지도자 취임 2012년 2월 23일
지도자 선거구 (불출마)
이전 선거 결과 0석
선거 전 의석수 0석
선거 후 의석수 0석
의석 증감 보합
득표수 425,720
득표율 1.4%
득표율 증감 증가 0.5%p

파일: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원 구성도.png

정당별 의석 획득 수
자유당 민주당 국민당
진보당 농민당 녹색당 무소속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제16대 연방입법위원 선거 결과.png


선거전 연방입법원장

람라이헤이(臨禮熙)
진보당

연방입법원장 당선자

하인리히 슈미트
국민당

결과[edit | edit source]

총 5개 중 3개 완전성공, 1개 2/3 성공, 1개 오류 정정 불가능 → 총 오류율 23.33%

이후 전개[edit | edit source]

이러한 오류 사항의 기록은 이 문서의 링크를 특정한 가상의 공간에 게재하여, 타 위키를 돕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개하였다. 그와 함께 이 문서의 링크를 통해 오리마크의 유지보수 필드를 개발 및 지원하는 유저에게 전달, 새로운 버전이 나오도록 관철하였다.

다만, 선거 정보 틀의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그나마 오류 좀 뜨더라도 정보의 누락이 없게 하고자 하는 선에서 좀 손보고 말았다. 그러니 양해 바란다.

그래도 이후에 선거 정보 틀을 더 스토리즈에 맞게 모두 제대로 표시되도록 바꾸는 더 스토리즈의 창작자 분이 나온다면, 그 분께는 위키사랑을 통해 확실하게 답례하도록 하겠다.--미르체아 지우르지우 (토론) 2021년 9월 17일 (금) 02:18 (KST)

-국가원수 틀이 가독성이 깨지지 않는 내에서 깨진 것을 확인했다. 가독성은 확보되니 오류로 치지 않겠다.

각주[edit | edit source]

  1.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틀이다.
  2.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자유당 4,953,239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민주당 5,111,280표
  3.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진보당 2,438,519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농민당 914,215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녹색당 759,316표
  4. 당별로 합산 시 제도 연방 자유당 25.5%, 잉청저우 제도 연방 민주당 26.4%.
  5. 당별로 합산 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진보당 12.6%, 잉청저우 제도 연방 농민당 4.7%, 잉청저우 제도 연방 녹색당 3.9%, 둘째자리 이하 소수점 표가 합산되어 반올림 값과 양당 득표율 합이 0.1% 차이가 나며, 오차가 아님을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