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연습장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동아시아 철도등급 대응표[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동아시아 철도등급 대응표는 동아시아 각국의 철도 운영자들이 모여서, 도시철도나 광역철도를 제외한 일반열차와 고속열차의 등급이 각국에 서로 맞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자 각국에서 대응되거나 치환되는 등급을 공식적으로 규정하여, 대응 및 치환을 용이하게 해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승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제철도의 원활한 운행을 통해 인력과 여행객의 자유로운 이동을 유지하고자 만든 표이다. 5년에 1번 서울에 모여 회의를 진행함을 통해 이 표를 갱신 및 결정한다.

국가 최상위(쾌속) 일반철도 철도등급 차상위(준 쾌속) 일반철도 철도등급 차하위(급행) 일반철도 철도등급 최하위(완행) 일반철도 철도등급
중화민국 쯔창하오(自強號)
*푸유마호(普悠瑪號)
*타로코호(太魯閣號)
쥐광하오(莒光號) 푸싱하오(復興號)
구간처(區間車)
푸콰이처(普快車)
대한민국 새마을호 무궁화호(無窮花號) 대한호(大韓號)[1] 비둘기호
일본민국 신쾌속(新快速) 쾌속(快速) 보통(普通) 보통완행(普通緩行)
잉청저우 제도 연방 롄팡하오(聯邦號) 미라이호(未來號) 콩시부아호 시티호(城市號/都市號)
류큐 공화국 난주지시이호(南十字星號) 예마호(八重山號) 아마미호(奄美號) 나쿠호(宮古號)
사할린국 카무이호(神號) 오로치호 니브히호 코이펫호
아무르 공화국 아무르호 오호츠카야호 하바롭스카야호 비로비잔스카야호
후순국 황허호(黃河號) 만리장성호(萬里長城號) 산동호(山東號) 베이핑호(北平號)
후신국 비단로호(緋緞路號) 장안호(長安號) 둔황호(敦煌號) 닝샤호(寧夏號)
몽골국
부랴티아 공화국
투바 독립공화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 내 유용하게 쓰일 표[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민주의 여명 세계관 내 ISO 3166-1 표[edit | edit source]

나라 이름 세자리 숫자코드 alpha-3 alpha-2
틀:나라자료 아무르 공화국 412 AMK AK
발트연방공화국 발트연방공화국 233 BFR BF
누아달마타 공화국 누아달마타 공화국 822 DLM DL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383 YCJ YC
헤이커우 섬 공화국 헤이커우 섬 공화국 594 HOU HO
틀:나라자료 사할린국 406 SKL KL
한국 대한민국 410 KOR KR
일본 일본민국 392 JPN JP
우크라이나 대우크라이나 공화국 000 000 UA
루마니아 로므니아 공화연방 ROM RO

민주의 여명 세계관 내 국가별 호출부호 코드 표[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내 주파수 대역 표[edit | edit source]

TV 표준[edit | edit source]

미합중국, 캐나다, 북미 중부 아메리카 원주민 국가들, 브리티시컬럼비아 공화국, 앨버타국, 아즈텍 공화국, 캘리포니아 공화국, 마야 공화국, 중화민국[2], 대한민국, 잉청저우 제도 연방, 일본민국, 헤이커우 섬 공화국, 필리핀, 아무르 공화국, 사할린국 등의 M/N 시스템 표준 대역[edit | edit source]
VHF 채널 영상 주파수 음성 주파수 주파수 범위
1 55.25 MHz 59.75 MHz 54-60 MHz
2 61.25 MHz 65.75 MHz 60-66 MHz
3 67.25 MHz 71.75 MHz 66-72 MHz
4 77.25 MHz 81.75 MHz 76-82 MHz
5 83.25 MHz 87.75 MHz 82-88 MHz
6 175.25 MHz 179.75 MHz 174-180 MHz
7 181.25 MHz 185.75 MHz 180-186 MHz
8 187.25 MHz 191.75 MHz 186-192 MHz
9 193.25 MHz 197.75 MHz 192-198 MHz
10 199.25 MHz 203.75 MHz 198-204 MHz
11 205.25 MHz 209.75 MHz 204-210 MHz
12 211.25 MHz 215.75 MHz 210-216 MHz
13 217.25 MHz 221.75 MHz 216-222 MHz
UHF 채널 영상 주파수 음성 주파수 주파수 범위
14 471.25 MHz 475.75 MHz 470-476 MHz
15 477.25 MHz 481.75 MHz 476-482 MHz
16 483.25 MHz 487.75 MHz 482-488 MHz
17 489.25 MHz 493.75 MHz 488-494 MHz
18 495.25 MHz 499.75 MHz 494-500 MHz
19 501.25 MHz 505.75 MHz 500-506 MHz
20 507.25 MHz 511.75 MHz 506-512 MHz
21 513.25 MHz 517.75 MHz 512-518 MHz
22 519.25 MHz 523.75 MHz 518-524 MHz
23 525.25 MHz 529.75 MHz 524-530 MHz
24 531.25 MHz 535.75 MHz 530-536 MHz
25 537.25 MHz 541.75 MHz 536-542 MHz
26 543.25 MHz 547.75 MHz 542-548 MHz
27 549.25 MHz 553.75 MHz 548-554 MHz
28 555.25 MHz 559.75 MHz 554-560 MHz
29 561.25 MHz 565.75 MHz 560-566 MHz
30 567.25 MHz 571.75 MHz 566-572 MHz
31 573.25 MHz 577.75 MHz 572-578 MHz
32 579.25 MHz 583.75 MHz 578-584 MHz
33 585.25 MHz 589.75 MHz 584-590 MHz
34 591.25 MHz 595.75 MHz 590-596 MHz
35 597.25 MHz 601.75 MHz 596-602 MHz
36 603.25 MHz 607.75 MHz 602-608 MHz
37 609.25 MHz 613.75 MHz 608-614 MHz
38 615.25 MHz 619.75 MHz 614-620 MHz
39 621.25 MHz 625.75 MHz 620-626 MHz
40 627.25 MHz 631.75 MHz 626-632 MHz
41 633.25 MHz 637.75 MHz 632-638 MHz
42 639.25 MHz 643.75 MHz 638-644 MHz
43 645.25 MHz 649.75 MHz 644-650 MHz
44 651.25 MHz 655.75 MHz 650-656 MHz
45 657.25 MHz 661.75 MHz 656-662 MHz
46 663.25 MHz 667.75 MHz 662-668 MHz
47 669.25 MHz 673.75 MHz 668-674 MHz
48 675.25 MHz 679.75 MHz 674-680 MHz
49 681.25 MHz 685.75 MHz 680-686 MHz
50 687.25 MHz 691.75 MHz 686-692 MHz
51 693.25 MHz 697.75 MHz 692-698 MHz
52 699.25 MHz 703.75 MHz 698-704 MHz
53 705.25 MHz 709.75 MHz 704-710 MHz
54 711.25 MHz 715.75 MHz 710-716 MHz
55 717.25 MHz 721.75 MHz 716-722 MHz
56 723.25 MHz 727.75 MHz 722-728 MHz
57 729.25 MHz 733.75 MHz 728-734 MHz
58 735.25 MHz 739.75 MHz 734-740 MHz
59 741.25 MHz 745.75 MHz 740-746 MHz
60 747.25 MHz 751.75 MHz 746-752 MHz
61 753.25 MHz 757.75 MHz 752-758 MHz
62 759.25 MHz 763.75 MHz 758-764 MHz
63 765.25 MHz 769.75 MHz 764-770 MHz
64 771.25 MHz 775.75 MHz 770-776 MHz
65 777.25 MHz 781.75 MHz 776-782 MHz
66 783.25 MHz 787.75 MHz 782-788 MHz
67 789.25 MHz 793.75 MHz 788-794 MHz
68 795.25 MHz 799.75 MHz 794-800 MHz
69 801.25 MHz 805.75 MHz 800-806 MHz
70 807.25 MHz 811.75 MHz 806-812 MHz
71 813.25 MHz 817.75 MHz 812-818 MHz
72 819.25 MHz 823.75 MHz 818-824 MHz
73 825.25 MHz 829.75 MHz 824-830 MHz
74 831.25 MHz 835.75 MHz 830-836 MHz
75 837.25 MHz 841.75 MHz 836-842 MHz
76 843.25 MHz 847.75 MHz 842-848 MHz
77 849.25 MHz 853.75 MHz 848-854 MHz
78 855.25 MHz 859.75 MHz 854-860 MHz
79 861.25 MHz 865.75 MHz 860-866 MHz
80 867.25 MHz 871.75 MHz 866-872 MHz
81 873.25 MHz 877.75 MHz 872-878 MHz
82 879.25 MHz 883.75 MHz 878-884 MHz
83 885.25 MHz 889.75 MHz 884-890 MHz
84 891.25 MHz 895.75 MHz 890-896 MHz
유럽 및 홍콩, 마카오, 북부 중원 양국, 동남아, 중동, 북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대다수 지역의 G/H/I/K/L 시스템 표준 대역[edit | edit source]
VHF 8MHz 단위 채널[3] 영상 주파수 음성 주파수 주파수 범위
A 45.25 MHz 51.75 MHz 44-52 MHz
B 53.25 MHz 59.75 MHz 52-60 MHz
C 61.25 MHz 67.75 MHz 60-68 MHz
D 175.25 MHz 181.75 MHz 174-182 MHz
E 183.25 MHz 189.75 MHz 182-190 MHz
F 191.25 MHz 197.75 MHz 190-198 MHz
G 199.25 MHz 205.75 MHz 198-206 MHz
H 207.25 MHz 213.75 MHz 206-214 MHz
I 215.25 MHz 221.75 MHz 214-222 MHz
J 223.25 MHz 229.75 MHz 222-230 MHz
UHF I 시스템 8MHz 단위 채널[4] 영상 주파수 음성 주파수 주파수 범위
14 471.25 MHz 477.25 MHz 470-478 MHz
15 479.25 MHz 483.25 MHz 478-486 MHz
16 487.25 MHz 490.25 MHz 486-494 MHz
17 495.25 MHz 501.25 MHz 494-502 MHz
18 503.25 MHz 509.25 MHz 502-510 MHz
19 511.25 MHz 517.25 MHz 510-518 MHz
20 519.25 MHz 525.25 MHz 518-526 MHz
21 527.25 MHz 533.25 MHz 526-534 MHz
22 535.25 MHz 541.25 MHz 534-542 MHz
23 543.25 MHz 549.25 MHz 542-550 MHz
24 551.25 MHz 557.25 MHz 550-558 MHz
25 559.25 MHz 565.25 MHz 558-566 MHz
26 567.25 MHz 573.25 MHz 566-574 MHz
27 575.25 MHz 581.25 MHz 574-582 MHz
28 583.25 MHz 589.25 MHz 582-590 MHz
29 591.25 MHz 597.25 MHz 590-598 MHz
30 599.25 MHz 605.25 MHz 598-606 MHz
31 607.25 MHz 613.25 MHz 606-614 MHz
32 615.25 MHz 621.25 MHz 614-622 MHz
33 623.25 MHz 629.25 MHz 622-630 MHz
34 631.25 MHz 637.25 MHz 630-638 MHz
35 639.25 MHz 645.25 MHz 638-646 MHz
36 647.25 MHz 653.25 MHz 646-654 MHz
37 655.25 MHz 661.25 MHz 654-662 MHz
38 663.25 MHz 669.25 MHz 662-670 MHz
39 671.25 MHz 677.25 MHz 670-678 MHz
40 679.25 MHz 685.25 MHz 678-686 MHz
41 687.25 MHz 693.25 MHz 686-694 MHz
42 695.25 MHz 701.25 MHz 694-702 MHz
43 703.25 MHz 709.25 MHz 702-710 MHz
44 711.25 MHz 717.25 MHz 710-718 MHz
45 719.25 MHz 725.25 MHz 718-726 MHz
46 727.25 MHz 733.25 MHz 726-734 MHz
47 735.25 MHz 741.25 MHz 734-742 MHz
48 743.25 MHz 749.25 MHz 742-750 MHz
49 751.25 MHz 757.25 MHz 750-758 MHz
50 759.25 MHz 765.25 MHz 758-766 MHz
51 767.25 MHz 773.25 MHz 766-774 MHz
52 775.25 MHz 781.25 MHz 774-782 MHz
53 783.25 MHz 789.25 MHz 782-790 MHz
54 791.25 MHz 797.25 MHz 790-798 MHz
55 799.25 MHz 805.25 MHz 798-806 MHz
56 807.25 MHz 813.25 MHz 806-814 MHz
57 815.25 MHz 821.25 MHz 814-822 MHz
58 823.25 MHz 829.25 MHz 822-830 MHz
59 831.25 MHz 837.25 MHz 830-838 MHz
60 839.25 MHz 845.25 MHz 838-846 MHz
61 847.25 MHz 853.25 MHz 846-854 MHz
62 855.25 MHz 861.25 MHz 854-862 MHz
63 863.25 MHz 869.25 MHz 862-870 MHz
64 871.25 MHz 877.25 MHz 870-878 MHz
65 879.25 MHz 885.25 MHz 878-886 MHz
66 887.25 MHz 893.25 MHz 886-894 MHz
67 895.25 MHz 901.25 MHz 894-902 MHz
68 903.25 MHz 909.25 MHz 902-910 MHz
69 911.25 MHz 917.25 MHz 910-918 MHz
70 919.25 MHz 925.25 MHz 918-926 MHz
71 927.25 MHz 933.25 MHz 926-934 MHz
72 935.25 MHz 941.25 MHz 934-942 MHz
73 943.25 MHz 949.25 MHz 942-950 MHz
74 951.25 MHz 957.25 MHz 950-958 MHz
VHF 7MHz 단위 채널[5] 영상 주파수 음성 주파수 주파수 범위
1 48.25 MHz 53.75 MHz 47-54 MHz
2 55.25 MHz 60.75 MHz 54-61 MHz
3[6] 62.25 MHz 67.75 MHz 61-68 MHz
4[7] 69.25 MHz 74.75 MHz 68-75 MHz
4A 76.25 MHz 81.75 MHz 75-82 MHz
5 82.25 MHz 87.75 MHz 81-88 MHz
6 175.25 MHz 180.75 MHz 174-181 MHz
7 182.25 MHz 187.75 MHz 181-188 MHz
8 189.25 MHz 194.75 MHz 188-195 MHz
9 196.25 MHz 201.75 MHz 195-202 MHz
10 203.25 MHz 208.75 MHz 202-209 MHz
11 210.25 MHz 215.75 MHz 209-216 MHz
12 217.25 MHz 222.75 MHz 216-223 MHz
13 224.25 MHz 229.75 MHz 223-230 MHz
UHF G/H/K/L 시스템 8MHz 단위 채널[8] 영상 주파수 음성 주파수 주파수 범위
14 471.25 MHz 476.75 MHz 470-478 MHz
15 479.25 MHz 484.75 MHz 478-486 MHz
16 487.25 MHz 492.75 MHz 486-494 MHz
17 495.25 MHz 500.75 MHz 494-502 MHz
18 503.25 MHz 508.75 MHz 502-510 MHz
19 511.25 MHz 516.75 MHz 510-518 MHz
20 519.25 MHz 524.75 MHz 518-526 MHz
21 527.25 MHz 532.75 MHz 526-534 MHz
22 535.25 MHz 540.75 MHz 534-542 MHz
23 543.25 MHz 548.75 MHz 542-550 MHz
24 551.25 MHz 556.75 MHz 550-558 MHz
25 559.25 MHz 564.75 MHz 558-566 MHz
26 567.25 MHz 572.75 MHz 566-574 MHz
27 575.25 MHz 580.75 MHz 574-582 MHz
28 583.25 MHz 588.75 MHz 582-590 MHz
29 591.25 MHz 596.75 MHz 590-598 MHz
30 599.25 MHz 604.75 MHz 598-606 MHz
31 607.25 MHz 612.75 MHz 606-614 MHz
32 615.25 MHz 620.75 MHz 614-622 MHz
33 623.25 MHz 628.75 MHz 622-630 MHz
34 631.25 MHz 636.75 MHz 630-638 MHz
35 639.25 MHz 644.75 MHz 638-646 MHz
36 647.25 MHz 652.75 MHz 646-654 MHz
37 655.25 MHz 660.75 MHz 654-662 MHz
38 663.25 MHz 668.75 MHz 662-670 MHz
39 671.25 MHz 676.75 MHz 670-678 MHz
40 679.25 MHz 684.75 MHz 678-686 MHz
41 687.25 MHz 692.75 MHz 686-694 MHz
42 695.25 MHz 700.75 MHz 694-702 MHz
43 703.25 MHz 708.75 MHz 702-710 MHz
44 711.25 MHz 716.75 MHz 710-718 MHz
45 719.25 MHz 724.75 MHz 718-726 MHz
46 727.25 MHz 732.75 MHz 726-734 MHz
47 735.25 MHz 740.75 MHz 734-742 MHz
48 743.25 MHz 748.75 MHz 742-750 MHz
49 751.25 MHz 756.75 MHz 750-758 MHz
50 759.25 MHz 764.75 MHz 758-766 MHz
51 767.25 MHz 772.75 MHz 766-774 MHz
52 775.25 MHz 780.75 MHz 774-782 MHz
53 783.25 MHz 788.75 MHz 782-790 MHz
54 791.25 MHz 796.75 MHz 790-798 MHz
55 799.25 MHz 804.75 MHz 798-806 MHz
56 807.25 MHz 812.75 MHz 806-814 MHz
57 815.25 MHz 820.75 MHz 814-822 MHz
58 823.25 MHz 828.75 MHz 822-830 MHz
59 831.25 MHz 836.75 MHz 830-838 MHz
60 839.25 MHz 844.75 MHz 838-846 MHz
61 847.25 MHz 852.75 MHz 846-854 MHz
62 855.25 MHz 860.75 MHz 854-862 MHz
63 863.25 MHz 868.75 MHz 862-870 MHz
64 871.25 MHz 876.75 MHz 870-878 MHz
65 879.25 MHz 884.75 MHz 878-886 MHz
66 887.25 MHz 892.75 MHz 886-894 MHz
67 895.25 MHz 900.75 MHz 894-902 MHz
68 903.25 MHz 908.75 MHz 902-910 MHz
69 911.25 MHz 916.75 MHz 910-918 MHz
70 919.25 MHz 924.75 MHz 918-926 MHz
71 927.25 MHz 932.75 MHz 926-934 MHz
72 935.25 MHz 940.75 MHz 934-942 MHz
73 943.25 MHz 948.75 MHz 942-950 MHz
74 951.25 MHz 956.75 MHz 950-958 MHz

라디오 표준[edit | edit source]

단파 방송 이외 라디오 방송 대역[edit | edit source]
종류 주파수 범위
장파 라디오 방송 대역 148.5 KHz~283.5 KHz
중파 라디오 방송 대역 530 KHz~1605 KHz
비(非) 동유럽 FM라디오 대역 87.5~108 MHz
동유럽 FM라디오 대역(구(舊) OIRT 대역 포함) 64~75 MHz, 87~108 MHz
단파방송용 대역[edit | edit source]
  • 현실과 같지만, DRM[9]용으로 개방한 대역이 아주 높은 대역에만 존재하는 현실과 달리 모든 단파방송용 대역[10] 전부로 확대되어 있다.
미터 밴드 주파수 범위 비고
120 m 2.3–2.495 MHz 열대지방 밴드이다.
90 m 3.2–3.4 MHz 열대지방 밴드이다.
75 m 3.9–4 MHz 아마추어 라디오 밴드 중 북미 표준 80m 밴드와 대역을 공유 중이다.
60 m 4.75–5.06 MHz 열대지방 밴드이다.
49 m 5.9–6.2 MHz
41 m 7.2–7.6 MHz 아마추어 라디오 밴드 중 북미 외 표준 40m 밴드와 대역을 공유 중이다.
31 m 9.4–9.9 MHz 최다 사용 밴드이다.
25 m 11.6-12.2 MHz
22 m 13.57-13.87 MHz
19 m 15.1-15.8 MHz
16 m 17.48-17.9 MHz
15 m 18.9-19.02 MHz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3 m 21.45-21.85 MHz
11 m 25.6-26.1 MHz

민주의 여명 세계관 내 국제전화 코드번호 표[edit | edit source]

+1 : 북미와 카리브 해 도서군, 미국 속령[edit | edit source]

+2 : 아프리카 국가[edit | edit source]

+3, +4 : 유럽, 캅카스 국가[edit | edit source]

+5 : 중남미 대륙부[edit | edit source]

+6 : 동남아시아 대부분과 오세아니아[edit | edit source]

번호 나라 및 지역
+60 틀:나라자료 퍼스 공화국
+61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620 틀:나라자료 말레이시아말라야 공화국
+621 틀:나라자료 자바국
+622 틀:나라자료 순다국
+623 틀:나라자료 수마트라 공화국
+624 틀:나라자료 보르네오국
+625 틀:나라자료 캄보디아 크메르 공화국
+626 틀:나라자료 라오스 라오 공화국
+627 틀:나라자료 이산 고원 공화국
+628 틀:나라자료 태즈메이니아 공화국
+629 틀:나라자료 파마-늉안 공화국
+63 틀:나라자료 필리핀필리핀
+64 뉴질랜드뉴질랜드
+65 틀:나라자료 싱가포르싱가포르
+66 태국태국
+670 틀:나라자료 동티모르티모르 공화국
+671 틀:나라자료 미크로네시아미크로네시아
+672 틀:나라자료 토켈라우토켈라우, 틀:나라자료 쿡 제도쿡 제도
+69 틀:나라자료 미얀마 연방 공화국

+7 : 러시아와 동유럽 동부, 북아시아, 중앙아시아[edit | edit source]

번호 나라 및 지역
+70 러시아러시아 공화연방
+71 틀:나라자료 카자흐스탄카자흐스탄
+720 틀:나라자료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
+723 틀:나라자료 투르크메니스탄투르크메니스탄
+725 틀:나라자료 카라칼파크스탄카라칼파크스탄 공화국
+727 틀:나라자료 코미 공화국
+728 틀:나라자료 타지크국
+729 틀:나라자료 키르기스국
+73 틀:나라자료 예카테린부르크 다민족국
+74 틀:나라자료 야쿠트 공화국
+750 틀:나라자료 한티-만시 공화국
+751 틀:나라자료 네네츠 공화국
+752 틀:나라자료 야말로네네츠 공화국
+753 틀:나라자료 코미페르먀크 공화국
+754 틀:나라자료 우드무르트 공화국
+755 틀:나라자료 마리 공화국
+756 틀:나라자료 타타르 공화국
+757 틀:나라자료 추바시 공화국
+758 틀:나라자료 모르도바 공화국
+759 틀:나라자료 바시키르 공화국
+760 틀:나라자료 유카키르 공화국
+761 틀:나라자료 축치 공화국
+762 틀:나라자료 민주 극동국
+763 틀:나라자료 캄차카 공화국
+764 틀:나라자료 응가나산-타이미르 공화국
+765 틀:나라자료 예벤키 공화국
+766 틀:나라자료 하카시아 공화국
+767 틀:나라자료 예벤키 공화국
+768 틀:나라자료 볼가 도이체 공화국
+769 틀:나라자료 칼미크 공화국

+8 : 동아시아와 베트남, 국제적 목적 번호 및 특수 목적 번호[edit | edit source]

번호 나라 및 지역
+800 범 세계적 무료 전화 서비스
+805 틀:나라자료 부랴티아 공화국
+806 틀:나라자료 투바 공화국투바 독립공화국
+808 국제 공유비용 전화 서비스
+81 일본 일본민국[11]
+82 대한민국 대한민국
+83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84 틀:나라자료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
+850 틀:나라자료 동투르키스탄 동투르키스탄 공화국[12]
+851 류츄 공화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 류츄 공화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
+852 틀:나라자료 홍콩
+853 틀:나라자료 마카오
+855 티베트 티베트
+86 중화민국 중화민국
+870 국제 제5 위성전화 사업자 서비스 대역
+875 틀:나라자료 아무르 공화국
+878 유니버설 개인 통신
+880 틀:나라자료 몽골국[13]
+881 국제 위성전화 4개 회사 통합 위성전화 체계(GMSS)
+882/+883 국제 비 단일 국가 전화 캐치올 통신망
+884 틀:나라자료 사할린국
+885 틀:나라자료 후신국[14]
+886 틀:나라자료 후순국[14]
+888 국제연합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
+89 헤이커우 섬 공화국 헤이커우 섬 공화국

+9 : 중동, 남아시아[edit | edit source]

일본민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일본민국은 동아시아 일본 열도에 있는 민주 공화국이다. 제정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한 이후, 전범의 책임을 물어 남서와 북동으로 분단되면서 형성되었으나, 1990년 통일을 이루었고, 현재는 동아시아 연합과 '국제선도 40개국'의 일원으로서 국제사회 속에 녹아들고 있다.

지리[edit | edit source]

일본민국은 류큐 제도를 제외한 혼슈, 시코쿠, 큐슈, 홋카이도의 4개의 큰 섬을 중심으로 한 일본 열도 및 남쿠릴열도와 그 부속도서를 영토로 삼고 있으며, 상기된 4개의 큰 섬의 경우에는 간토 평야나 토카치/이시카리 평야, 후쿠오카/치쿠시/쿠마모토 평야 등으로 대표되는 평야와 묘코 고원 등으로 대표되는 고원, 일본 알프스로 대표되는 고산지대와 후지산/다이세츠산/아소산/사쿠라지마 화산 등으로 대표되는 수많은 화산이 공존하고 있으며, 일본민국의 국토를 이루는 거의 모든 섬이 화산 활동으로서 형성된 섬이다.

역사[edit | edit source]

조몬 시대[edit | edit source]

야요이 시대[edit | edit source]

고훈 시대[edit | edit source]

아스카 시대[edit | edit source]

나라(奈良) 시대[edit | edit source]

헤이안 시대[edit | edit source]

무로마치 막부 시대[edit | edit source]

가마쿠라 막부 시대[edit | edit source]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edit | edit source]

에도 막부 시대[edit | edit source]

제정 시대[edit | edit source]

일본민국 시대(현대)[edit | edit source]

제정의 필연적인 2차대전 패망과 일본의 북동-남서 분단, 남서에서의 일본민국의 수립[edit | edit source]
1960년대 : 화해와 사죄, 공존과 발전과 희망의 시대[edit | edit source]
1970년대~1980년대 : 68혁명의 기조가 유입되어 다양성과 생기가 살아난 시대[edit | edit source]
1990년대 이후 : 북동 일본과 남서 일본의 통일, 완전해진 민국과 새로운 발전, 번영... 그리고 대침체[edit | edit source]

경제[edit | edit source]

정치[edit | edit source]

문화[edit | edit source]

아무르 공화국[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아무르 공화국은 동아시아에서 아무르강 동부 유역에 있는 민주 공화국이다. 국민의 주류를 이루는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 이외에도, 한국령인 연해주와 맞닿은 곳이나 하바롭스크 주변을 중심으로 거주하는 한국인과 만주인[15], 비로비잔-유대인 자치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유대인 등의 여러 민족이 거주한다.

지리[edit | edit source]

아무르강 이동 및 이남의 땅(하바롭스크-비로비잔 지역)과 오호츠크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척박한 땅과 기름진 땅이 공존하고 있다. 타타르 해협을 중심으로 사할린국과 맞닿아있으며, 수도 하바롭스크를 중심으로 하는 하바롭스크 도시권 및 비로비잔-유대인 자치주, 타타르 해협 연안 일원의 산업지대, 오호츠크 도시권 지역에 인구가 모여 살고 있으며, 나머지는 농업 지역 내지는 산악 지대에 의한 삼림으로서 인구밀도가 낮다.

역사[edit | edit source]

고대 : 퉁구스계 유목민족과 한민족의 전신들이 대결하던 전선의 북부 연장선[edit | edit source]

중세 : 퉁구스계 유목민족 전성시대[edit | edit source]

근세 :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의 정착, 만주족/한족 VS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edit | edit source]

근대 : 제정 러시아의 아무르 귀속을 거쳐 적백내전 속 아무르 공화국의 성립[edit | edit source]

현대 : 다민족국가 아무르[edit | edit source]

1940년대 : 대학살을 피해서 온 유대인과 가난을 면하려고 한 한국인의 정착[edit | edit source]
1950년대 : 공산화를 면하고 중립국 겸 완충지대로서 번영을 보장받다[edit | edit source]
1960년대~1980년대 : 동서양의 융합[edit | edit source]
1990년대 이후 : 동아시아의 일원으로서 독특한 정체성을 지니다[edit | edit source]

경제[edit | edit source]

정치[edit | edit source]

문화[edit | edit source]

사할린국[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사할린국은 동아시아 최북단 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에 있는 민주 공화국이다. 국민의 45%는 사할린국의 영토와 홋카이도에 걸쳐 거주하던, 조몬인의 후예인 아이누인이며, 24%는 니브히인, 23%는 오로치인이다. 이들 3개 민족은 사할린국의 선주 민족이며, 그렇지 않은 민족의 비중은 8%인데, 이는 러시아인이 5%, 일본인이 3%로 구성되어있다.

지리[edit | edit source]

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불의 고리의 영향을 받아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식량은 주로 사할린 섬에 있는 두개의 큰 산 산맥 사이에 나있는 사할린 대(大) 구조곡에 위치한 평야에서 나는 농산물과 해산물로 충족되고 있다. 타타르 해협을 두고 아무르 공화국과 맞닿아 있다.[16]

역사[edit | edit source]

고대 : 조몬인의 도래, 니브히인과 오로치인의 형성 및 정착[edit | edit source]

중세 : 홋카이도와 사할린으로 영역이 위축된 조몬인의 후예 아이누인, 평화롭던 니브히인과 오로치인[edit | edit source]

근세 : 러시아, 사할린을 가져가다[edit | edit source]

근대 : 일본과 러시아의 각축전과 적백내전 속에서 아이누인이 독립과 민족주의를 부르짖고 이룩하다[edit | edit source]

현대 : 3선주민족 중심국가 사할린[edit | edit source]

1940년대 : 정체성과 국가를 지키고자 제정 일본과 다시 맞서다[edit | edit source]
1950년대~1980년대 : 코이펫[17] 모델[18][edit | edit source]
1990년대 이후 : 동아시아의 끝, 북아시아의 시작 - 소수 외래민족에게도 길을 열다[edit | edit source]

경제[edit | edit source]

정치[edit | edit source]

문화[edit | edit source]

후순국[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후신국[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몽골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만주 공화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부랴티야 공화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주체 지방법원 표[edit | edit source]

연방주체 지방법원 법원명 관할구역 창설일자
잉청저우 직할시 시베이잉청저우 지방법원 잉청저우 직할시 잉청허 이서(以西) 북부
(시구(西區)
베이구(北區)
둥구(東區))
1864.9.13
잉청저우 직할시 시난잉청저우 지방법원 잉청저우 직할시 잉청허 이서(以西) 남부
(중구(中區)
난잉서우구(南英壽區)
난구(南區))
1972.12.15
잉청저우 직할시 도호쿠에이세이슈 지방법원 잉청저우 직할시 잉청허 이동(以東) 서부
(주오구(中央區)
니시시구(北吉區))
1991.3.1
잉청저우 직할시 동남영성주 지방법원 잉청저우 직할시 잉청허 이동(以東) 동부
(주산구(州山區)
아키나카구(秋中區)
완잉구(宛英區))
1995.5.1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웨스턴 이스트코스트 지방법원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서부
(웨스트 구(西區)
노스 구(北區)
하버구(港區))
1879.10.1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이스턴 이스트코스트 지방법원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동부
(이스트 구(東區)
센트럴 구(中區)
사우스 구(南區))
1932.10.1
신잉청현 왕칭 지방법원 신잉청현 잉청저우 섬 부분 중 13개 현할시 지역 1885.1.15
신잉청현 틴샤 지방법원 신잉청현 잉청저우 섬 부분 중 향진군(鄕鎭群) 지역 2005.1.3
신잉청현 펀완 지방법원 신잉청현 바시 제도 부분 1940.2.1
동도현 스화 지방법원 동도현 해밀턴 섬 부분 1927.4.1
동도현 와탄나 지방법원 동도현 해밀턴 섬 제외 전역 1952.9.1
해청위 지방법원 해청위 현 전역 2021.3.1
연방주체 지방법원 수
잉청저우 직할시 4
이스트코스트 직할시 2
신잉청현 3
동도현 2
해청위 현 1

동아시아 연합[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동아시아 연합(東亞細亞 聯合)은 유럽연합을 모델로 하여 2019년에 출범한,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10개 회원국의 연합이다.

명칭[edit | edit source]

동아시아 연합은 유럽연합을 모델로 하여 만들어진 만큼, 각 회원국의 공용어[19]가 동아시아 연합의 공용어이며, 중원 지역과 대만, 잉청저우 제도의 중국어 지역어와 소수민족의 언어에 의한 언어 다양성과 그들 중 중국어 지역어의 중화민국에서의 중앙공용어화 및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잉청저우어 공용어 지정, 아무르 공화국의 비로비잔-유대인 자치주의 존재와 해당 지역의 이디시어 활용성[20]에 의해, 공식적으로는 지역어로, 비공식적으로는 소수언어로 일컫는 이름도 존재한다.

  • 영어: East asian Union 이스트 에이시언 유니온[*]
  • 프랑스어: Union asie de l'est 위니옹 아시에 드 레슈트[*]
  • 독일어: Ost-asienische Union 오슈트-아시에니셰 우니온[*]
  • 러시아어: Восточно-азиатский союз 보스토츠나-아시아츠키 사유즈[*]
  • 우크라이나어: Східно-азіатський союз 쉬드노-아지앗스퀴 소유즈[*]
  • 몽골어: Зүүн Азийн холбоо 쥐윈 아진 홀부
  • 한국어: 동아시아 연합 동아시아 연합
  • 중국어: 東亞細亞聯合 둥야시야 롄허[*]
  • 일본어: 東アジア連合 도아지아 렌고[*]
  • 오키나와어: 東アジア聯合 두아지아 린고
  • 잉청저우어: Uniyon Welia-Asio 우니욘 블랴-아시오
  • 타갈로그어: Unyon Silangang Asya 우니온 실랑앙 아시야
  • 이디시어: מזרח אַסיאַן יוניאַן 므즈흐 아시안 이우니안

회원국[edit | edit source]

2019년 8월 4일잉청저우 조약의 각국 비준 절차의 마무리를 통해, 그 다음날인 2019년 8월 5일에 공식 출범할 때, 아무르 공화국, 만주 공화국, 몽골국, 부랴티아 공화국을 제외한 8개국이 창립 회원국으로써 동아시아 연합의 출발을 알렸고, 막후에서 교섭 절차를 통해 회원국에 들려고 한 위 4개 국가는 빠르게 가입 절차를 이행해, 2020년 2월 1일을 기점으로 동아시아 연합의 회원국으로 합류했다.

현재 사할린국, 투바 독립공화국, 티베트국,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알타이 공화국이 가입 절차에 들어갔으며, 동아시아 연합이 정착될 시 아세안과의 통합도 추진할 예정이다.

동아시아 의회[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동아시아 의회
東亞細亞議會
東アジア議会
東アジア議會
Welia-Asio Mkiing
Зүүн Азийн парламент
East-Asian Parliament
Parlement asie de l'est
Ost-asienische Parlament
Parlyamento Silangang Asya
Восточно-азиатский ду́ма
Східно-азіатський Рада
מזרח אַסיאַן פּאַרליאַמענט
제1대 동아시아 의회
의회 체제
의회 체제 단원제
조직
의장 장천린 (리뉴 동아시아)
구성
정원 450
의원임기 4년
East-Asian Parliament 2019.svg
정당구성
  • 동아시아 국민당 (125)
  • 리뉴 동아시아 (110)
  • 동아시아 사회민주당 (85)
  • 동아시아 생태-신좌파연대 (70)
  • 동아시아 해적당-극한자유연대 (40)
  • 동아시아 의회 비교섭의원 (20)
의사당
동아시아 의회 다롄의사당

동아시아 의회는 동아시아 연합의 입법기관으로써, 동아시아 연합 가입국 전체에 적용될 규제, 즉 동아시아 연합의 법률을 입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19년 12월[21]에 각 가입국 입법기관의 선출을 통해 임시 임기 3년의 파견의원 총 450명을 파견하는 형식으로 첫 의회를 열었으며, 이때 2대 동아시아 의회 이후의 의원 정수를 총 1200명으로 고정하기로 합의했다. 2022년 11월에 처음으로 선거를 실시하게 될 이후로는 선거를 통해 의원을 선출할 예정이다.

국가별 할당 의석 구성[edit | edit source]

회원국 2019년 (잉청저우 조약) 2022년 (제1차 동아시아 의회 선거)
중화민국 중화민국 100 240
틀:나라자료 후순국 60 200
틀:나라자료 후신국 50 175
한국 대한민국 40 155
틀:나라자료 만주 공화국 40 116
일본 일본민국 40 110
헤이커우 섬 공화국 헤이커우 섬 공화국 35 61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30 43
틀:나라자료 아무르 공화국 20 35
틀:나라자료 몽골국 15 30
틀:나라자료 부랴티아 공화국 10 25
류츄 공화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 류츄 공화국 (민주의 여명 세계관) 10 10
ESAU-12 450 1200

동아시아 의회 정당그룹과 해당 정당그룹별 의석[edit | edit source]

동아시아 연합이 유럽연합을 모델로 하여 창설된 만큼, 동아시아 의회는 유럽 의회롤 모델로 하여 개원했다. 그로 인해, 유럽 의회 내의 유럽정당과 그들이 모여 이룬 교섭단체인 "유럽의회 유럽정당 그룹"은 동아시아 의회에서 동아시아 정당과 "동아시아 의회 정당그룹"으로 대응된다. 현재 동아시아 의회는 아래와 같은 해당 정당그룹별 의석 분포를 보이고 있다.

동아시아 이사회[edit | edit source]

동아시아 이사회는 동아시아 연합에서, 동아시아 연합 가입국의 정상 간의 정상회의를 소집하여, 해당 정상회의로 하여금 동아시아 연합의 정책 기조를 결정하는 연합 행정부의 핵이다. 해당 정상회의는 국무회의나 행정원회의 등이 정상회의의 형태로써 동아시아 전역으로 범위가 확장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구분:       리뉴 동아시아       동아시아 국민당       동아시아 사회민주당       동아시아 생태-신좌파연대       동아시아 해적당-극한자유연대
국가 정상명/정상의 직책 선출일자(다음 선거) 정당
동아시아 이사회 상임의장 하토야마 유키오 상임의장 2019년 12월 16일 리뉴 동아시아
(일본공화당)
동아시아 집행이사회 이사장 임종석 이사장 2019년 12월 13일 리뉴 동아시아
(더불어민주당)
대한민국 이낙연 대통령 2019년 10월 19일 리뉴 동아시아
(더불어민주당)
중화민국 차이잉원 총통 2020년 1월 17일 리뉴 동아시아
(민주진보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안징후이 연방총통 2020년 10월 23일 리뉴 동아시아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자유당)
류츄 공화국 시마부쿠 메이치 대통령 2019년 10월 22일 동아시아 사회민주당
(류츄 사회대중당)
일본민국 에다노 유키오 총리대신 2019년 10월 22일 리뉴 동아시아
(입헌민주당)
헤이커우 섬 공화국 바오충싱 총통 2020년 2월 14일 리뉴 동아시아
(헤이커우다오 민주당)
후신국 양후이칭 총리 2016년 2월 1일 동아시아 국민당
(후신보수당)
후순국 왕단 총리대신 2018년 4월 2일 동아시아 국민당
(후순입헌당)
만주 공화국 어둔 버런 총리 2020년 6월 16일 동아시아 해적당-극한자유연대
(만주공화국 해적당)
아무르 공화국 블라디미르 체미트로프 총리 2017년 3월 29일 동아시아 사회민주당
(아무르 공화국 사회민주당)
몽골국 할트마긴 바트톨가 대통령 2017년 3월 29일 동아시아 국민당
(몽골 민주당)
부랴티아 공화국 알렉시야 뱜바쉬렌 대통령 2017년 5월 29일 동아시아 생태-신좌파연대
(부랴티야 녹색당)

예정[edit | edit source]

사할린국 시르 칸펫 총리 2020년 2월 14일 동아시아 사회민주당
투바 독립공화국 돈두크 쇼이구 총리 2018년 8월 13일 동아시아 사회민주당

동아시아 연합 각료이사회[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동아시아 연합 각료이사회는 동아시아 연합의 가입국에서 각 1명씩 파견되어 12명의 각료로써 구성되는, 동아시아 연합의 세부 정책을 결정하는 연합 행정부의 상위체이다.

동아시아 사법재판소[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동아시아 사법재판소는 동아시아 연합의 사법부이며, 동아시아 연합의 규제(법)을 해석하고 실제 집행하는 역할을 한다. 동아시아 연합 법원이라고도 한다. 동아시아 연합이 유럽연합을 모델로 하여 만들어진 만큼, 동아시아 연합에서는 유럽 의회나 유럽 각료 이사회, 유럽 위원회 등의 기관과 같은 기능을 하는 동아시아 의회, 동아시아 이사회, 동아시아 위원회에서 법률이나 정책을 제정함과 동시에 그에 기반해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것들이 잉청저우 조약 등의 동아시아 연합을 이루는 기본 조약과 맞지 않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한 나라의 국내에 있는 법률이 헌법의 규정에 맞지 않는 상황일 경우에는 그 나라의 법원에서 헌법과 법률을 해석하여 적합성의 심사를 통해 한 나라의 국내에 있는 법률을 실제 집행한다. 하지만, 동아시아 연방의 법에 대해 가입국의 법정이 판단을 내리면, 연방법에 대한 통일된 해석이나 집행은 소원하고, 연합의 존속과 실제 집행에 큰 장애물로 다가올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 동아시아 연합에서는 동아시아 사법재판소를 설치하여, 동아시아 연합의 법에 대해 통일된 해석이나 통일된 실제 집행을 실시한다.

판사 구성은 동아시아 연합이 유럽연합을 모델로 하여 만들어진 만큼, 12명의 판사와 비중원권 국가 및 중원권 내지는 한족이 다수인 국가 내에서 비 중원 계열 민족의 규모가 30% 이상으로 큰 나라들 중에서 상위 규모 5개국 출신[22]의 5명의 법무관으로 구성된다.

리우허핑[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리우허핑(중국어: 劉和平, 일본어: 藤原平和 후지와라 헤이와, 1944년 4월 6일~)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정치인, 가수이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7-8대 연방총통이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에서는 정치를 오래 했던 점과 암울한 개인사가 겹쳐 리우허핑이 더 유명하지만, 세계적으로는 배우자 쿵즈량이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의 역대 우승자라는 것으로 인해, 오히려 배우자 쿵즈량이 훨씬 더 유명하다.

암울한 출생, 그리고 숨겨야 했던 자신의 혈통[edit | edit source]

리우허핑은 1944년 4월 6일, 잉청저우 섬의 어느 산골에서 출생했다. 그 산골은 지금의 신잉청현 커칭 향에 해당하는 곳으로, 그의 어머니는 제정 일본의 군대에 의해 전쟁범죄 피해를 당했었고, 그로 인해 강제로 결혼당해 리우허핑을 낳게 된 것[23]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처음엔 리우허핑을 태어나지 못하도록 하려고 의지를 다졌으나, 막상 이를 행하려고 할 때 모성애를 느껴서, 태중의 리우허핑을 불쌍히 여겨 포기하고는 도망치며, 일제의 추격을 피해 잉청저우 섬의 항일 레지스탕스가 점령한 커칭(可淸) 산골로 들어가 리우허핑을 낳고, 일제가 물러날 때까지 버텨보려고 한 것이다. 다행히 일제가 물러나고, 이러한 피해를 잉청저우를 접수한 중국국민당에 알렸으나,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면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을 것[24]을 우려해, 국민당군은 접수를 받은 뒤에 은폐를 명령, 리우허핑에게 이러한 사실을 숨겼다. 그러면서 오늘날의 잉청저우 직할시 둥구의 둥닝리(東寧里)에 해당하는 당시 잉서우 진의 둥닝춘(東寧村)에 있던 초등학교(국민소학)를 다니던 중에 1956년 잉청저우 섬의 독립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수립을 목격하고, 리우허핑은 새로운 주권국가가 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일원으로서 인정받을 미래를 꿈꿨다.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알다[edit | edit source]

그러다가, 1956년 독립 이후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전쟁 범죄가 폭로되고 진상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하면서, 그의 어머니 역시도 중국국민당의 임시 통치 당시 접수됐던 기록을 밝히면서 자신이 원치 않게 생겨난 혼혈임을 알게 되었고, 그는 충격에 빠진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게 하겠다는 원대한 희망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이라는 당시 탄생한 지 얼마 안된 신생 주권국가를 강하게 하겠다는 그의 꿈이 결합해, 그를 연방중학,고등중학 등을 거쳐 대만 국립정치대를 졸업, 그를 정계로 이끌었고, 1967년에 국민당에 입당하며 정계에 입문한 리우허핑은 국민당 온건 소장파의 거두가 되며, 1968년 연방국민대회 선거에서 잉청저우 현 잉서우 진-쉬서우 진-기타요시 진-주산 진 통합지역구를 지역구로 하며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국민대표에 당선되었다. 그러다가 1970년에 리우허핑의 암울한 개인사가 처음으로 소개되어, 생물학적 친부인 일본인 아버지와 재회했다. 그로 인해, 일본에 몇주 동안 있었으나, 친족의 재산 관련 싸움에 질렸고, 자신이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 오랫동안 살며 이에 적응했고, 자신이 이미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정치에 뛰어든 점을 고려해, 잉청저우 제도 연방으로 돌아왔다.[25]

연방총통으로 가는 길[edit | edit source]

그 이후, 자신이 출마하던 선거구에 계속 출마했던 리우허핑은, 1970년 이후 해당 지역구의 연방입법위원과 공조 하에 잉청저우 지하철 신칭 선을 비롯한 수많은 도시철도의 추진을 통해 교통을 크게 개선시키고, 연방국민대회에서 연방염정부의 수사로써 부정부패 사실이 밝혀진 수많은 부정부패 고위공직자의 탄핵을 주도하는 등의 업적을 통해, 연방국민대회의 연방국민대표 초선(1968~1972) 외에도, 연방입법위원 2선(1972~1980)의 당선을 맞게 되었다. 그 와중에 리우허핑의 암울한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는 과정에서 쿵즈량이 이를 위로하는 곡으로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유라시아 전체 우승을 거머쥐게 되어, 수많은 '암흑의 피' 청년들의 멘토가 됨과 동시에 수많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민의 동정을 받게 되었고, 이로써 리우허핑은 개인적 기반과 이념적 기반을 같이 갖춘 정치인으로, 국민당 내에서 기존 보수주의-삼민주의 계열을 크게 위협할 정치인으로 성장했다. 결국, 국민당에서 1980년 재집권이 불안정해졌을 때, 자유당 측과의 단일화 경선에 등떠밀려 출마한 리우허핑은 자신의 이념인 자유주의에 기반한 대규모 개혁과 국가 강화를 약속했고, 이에 따라 1980년 연방정부총통선거에서 49.8%의 득표로 당선되었다.

연방총통 재임기 : 최연소 연방총통, 강한 잉청저우[edit | edit source]

퇴임 이후 : 정계에 남으며 관행을 부수다[edit | edit source]

갑작스런 정계 은퇴, 부부 듀엣 결성[edit | edit source]

그러다, 돌연 그는 2020년 연방입법위원 선거에서 당선 시의 임기 수행을 마지막으로 정계를 은퇴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이는 2020년 연방입법위원 선거 낙선 시에는 바로 정계를 은퇴하겠다는 것과 다름이 없었다.[26] 그리고 나서 지난 10월 23일 2020년 연방 정부총통 선거와 같이 열린 2020년 연방입법위원 선거에서 자신이 주거하는 잉청저우시 둥구 잉청허볜(瀛城河邊)[27] 선거구에서 25.3%의 득표율을 얻으며, 1.8% 차이로 3위를 차지해 낙선하였다. 다음날인 10월 24일에 리우허핑은 정계를 은퇴[28]했으며, 배우자 쿵즈량은 이 소식을 듣고 평생의 소원이라고 하던 듀엣 결성을 리우허핑에게 졸랐다고 한다. 결국 12월 4일에 리우허핑이 이를 들어주기로 결정하며 듀엣 '메이창(美唱)'을 강제로 결성(?),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2021 출전을 목표로 관리와 곡 작업에 들어갔다고 한다.[29] 이러한 새로운 도전에,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는 연령대와 정치적 성향, 지역을 넘어 압도적인 응원을 보냈다. 들리는 소식으로는, 안징후이 현 연방총통도 페이스북과 트위터, 인스타그램을 통해, "전 연방총통이자 저의 정치적 멘토인 리우허핑 전 연방총통께서 이제 저물어가는 구시대를 보내고자 정계은퇴를 하시면서, 전 영부인, 즉 리우허핑 전 연방총통의 부인 쿵즈량 여사의 강권을 마지못해 들어주시며 새로운 도전을 한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이러한 도전이 결코 나쁘지 않음을 잘 알고 있으며, 이에 리우허핑 전 연방총통의 새로운 도전에 찬사를 보냅니다.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2021에서 우승해 15년만에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개최의 명예를 누릴 수 있기를!"이라고 응원의 목소리를 보냈다고 한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사람들의 입장을 들어보자면, 리우허핑도 어차피 구세대 사람이라 언젠가는 정계를 은퇴해야 했고, 리우허핑도 은근히 음악적 실력이 존재하며, 쿵즈량도 실력과 노래의 소재가 맞물려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의 1972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만큼, 듀엣으로도 열심히 도전해본다면, 충분히 새로운 도전이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여담[edit | edit source]

  • 철도 동호인이다. 연방철도교통운임규정법이라는 연방법의 고안을 통해 철도 요금 체계를 직접 고안하기도 했으며, 자신의 지역구에 놓인 잉청저우 지하철의 신칭 선부터 시작해, 수십 개의 도시철도 노선의 추진에 관여하기도 했으며, 연방총통 재임 시절에 잉톄(잉청저우 철도)와 이스트코스트 노던 철도 2개의 사설철도 회사에 여러 조건을 걸고, 이러한 것을 미준수할 시 영업허가를 반드시 반납할 것까지 추가 조건으로 내걸어, 해당 조건이 걸린 영구 영업허가를 내릴 것을 연방행정원장을 거쳐 교통부 장관에게 지시하기도 했다.[30]
  • 쿵즈량과는 정치성향 빼고 크게 싸운 일은 없다고 한다. 이는 쿵즈량은 진보성향으로써 진보당의 권리당원이고, 리우허핑은 국민당에서 자유당으로 이적하게 될 정도로 이름난 자유주의자인 데에서 비롯된 문제로 보인다. 사실, 그들의 사랑이 이뤄지게 된 배경 자체가 세세한 차이도 극복할 정도로 서로가 시대의 비극을 예술로 승화하는 음악을 통해 만난 사이라서, 정치성향 가지고 싸우는 건 걍 취미라고 한다.
  •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1972년 대회를 계기로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의 팬이 되기도 했다. 그 때문에, 정치 일이 한가할 때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주최측에서 그를 특별무대나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의 특별 프로그램에 섭외한다던가 하는 일도 많다고 한다. 심지어, 리우허핑의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팬 특성이 위의 철도 동호인 속성과 연계되어서 일을 크게 벌인 적이 있는데,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의 2007년 대회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직할시에서 열리자, 동(同) 대회의 유라시아 전체 세미 파이널 2를 진행하는 중에 순서가 마련된 몇 차례의 특별 무대 중에서도 3번째 특별 무대에 나와 객가어와 대만민난어로 가사를 쓴 그의 자작곡이자, 고속철도 개통 첫돌을 축하하며,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새로 만들어진 고속철도를 찬양하는 내용의 "시대의 총아(時代的寵兒)"를 열창하기도 했다고 한다(...)

선거 기록[edit | edit source]

어록[edit | edit source]

내 이럴 줄 알았다.
我就知道會這樣。

장 드 펠릭스의 재선 실패롤 지켜보며

연방의 국부는 샹야오광 선생과 조지 R. 앤더슨 선생이라고 연방의 시민들은 말하지만, 결국 암울한 역사의 피해자인 내가 연방의 민족 간 갈등을 풀고 하나의 잉청저우인이라는 하나의 정체성으로 전연방을 뭉치게 하였으니, 연방의 중시조는 내가 아닐까 생각한다.
聯邦的國父是尙堯廣先生和喬治·R·安德森先生,雖然聯邦市民們說我是黑暗歷史的受害者,但我化解了聯邦的民族矛盾,以一個瀛城州人的身份團結了全聯邦,我認爲聯邦的中始祖應該是我。

2006년 ARY에서 메인 뉴스 프로그램의 광둥어 에디션을 진행하던 라우싱콴과의 인터뷰에서

지하철의 준공·개통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하철이 없으면 버스와 자가용으로 가득찬 정체지옥을 맛봐야 합니다. 기껏해야 기술의 발달 덕택에 겨우 일반철도 복선 한 노선만 몇년 더 기다리면 타국과 연결되고 도로는 아직까지는 타국하고 연결이 아예 삽도 안 떠서 안된 마당에, 죄다 차 끌고 댕기면 뭐가 되겠습니까?
捷運的竣工開通非常重要。 如果沒有捷運,就要品嚐坐滿公交車和私家車的停滯地獄。頂多是技術的進步, 再等幾年普通鐵路複線線路就跟他國接軌了, 公路還是他國接軌, 根本就沒鏟上鐵鍬, 哪能拉着車都拉着車走呢?

1970년대 어느 날, 한창 잉청저우 시의 지하 도시철도망의 확충을 설파하며

철도만한 교통수단은 세상에 없다. 비록 이 일은 한국에서 일어난 갑질 사건이나, 어느 국가나 민족의 잘못이 아닌, 갑질한 회사의 잘못이므로 갑질이 일어난 국가를 혐오하지 말아야 하며, 그에 따라 철도를 찬양해야 한다. 왜 그런가를 물어본다면 질문으로 되돌려주겠다. 철도업계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
世界上沒有比鐵路更好的交通工具。 雖然此事不是發生在韓國的甲方事件,也不是任何國家或民族的錯,而是甲方公司的錯,因此不要厭惡甲方國家,應該由此歌頌鐵路。 如果問爲什麼,我會以提問的形式返還。 鐵路行業會發生這樣的事情嗎?

땅콩 회항 사건에 관한 소식을 듣고 SNS에 자신의 생각을 올리며[31]

안징후이는 제 후계자입니다! 세습이 아닌, 공평한 방법으로 자질을 인정받은 제 후계자이자 진정한 총통감입니다! 우리 연방의 선진국 지위를 확고히 할 자입니다!
安靜輝是我的接班人! 不是世襲,而是通過公平的方法獲得資質認可的我的接班人,也是真正的總統監! 讓我們鞏固聯邦的發達國家地位吧!

2016년 연방총통 선거 지원유세 중에[32]

이제 나는 나이가 다된 바, 정치에서 확실히 물러납니다. 그런데, 이 이후가 무섭군요.
現在我年事已高,確實已退出政壇。 但是,這以後就可怕了。

자신의 정계은퇴 결심을 기자들에게 말해주며[33]

헝즈렁[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헝즈렁(광둥어: 孔摯良, 중국어: 孔摯良 쿵즈량, 1944년 9월 25일~)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가수이다.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1972의 전체[34] 우승자이며,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7-8대 연방총통 리우허핑의 배우자(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7-8대 연방총통 부인)이다. 슬하에 2남 2녀를 두고 있다.

약력[edit | edit source]

탄생에서 데뷔까지[edit | edit source]

1944년 9월 25일 제정 일본이 점령했다가 해방되려던 광둥 성 광저우의 어느 한적한 거리에서 중산층 부부의 장녀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나고 며칠 뒤 광저우 시가 해방되며 그녀의 삶에 큰 장애물이 치워지는 것 같았다. 하지만, 제정 일본을 몰아내자마자 국공내전이 재개되고 그녀의 집안은 홍콩, 대만을 거쳐, 오늘날의 잉청저우 시 중정 구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국공내전의 승리를 통한 귀환만을 노리면서 정착하게 되었으나, 국공내전은 양쯔강을 낀 성의 최북단경계를 휴전선으로 정하면서 휴전으로 끝났고, 설상가상으로 1956년에 잉청저우 섬이 독립하면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이 수립, 그녀의 가정은 결국 잉청저우 시에 영구히 정착한 채로, 다시 중산층으로 살아야 했다. 그랬음에도 헝즈렁은 1951년 잉청저우 시의 시잉청저우 소학교에 입학, 그 이후 학창시절 내내 음악적 재능을 뽐내며, 다른 과목은 평균에 근접해도 음악만큼은 상위권을 놓치는 일이 없어서, 가수의 꿈을 안고 국민중학과 고등중학의 예체능 반에서 이러한 재능을 키웠으며, 12세 때 잉청저우 제도 연방이 수립된 이후 외성인에게 주어진 특혜가 사라졌음에도, 헝즈렁은 능력을 통해 기회를 자주 얻었다. 이것이 계속 이어져, 18세에는 자신의 자작곡으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대표 결정 예선에 참여해 5위를 기록했으며, 이러한 학창시절 중에서도 소학교 4학년 시절에 리우허핑과 같은 반이 되었고, 그는 국민중학과 고등중학 이후에도 짝사랑을 간직했었다.

1960년대 중반~1970년대 초반 : 능력은 좋았으나 좌절의 나날[edit | edit source]

그랬다가, 그가 20세가 되는 1964년에 이러한 재능을 알아본 이스트코스트의 어느 군소 기획사가 헝즈렁의 음악적 재능을 보고는, 헝즈렁을 캐스팅하며 연예활동을 뒷받침했다. 그럼에도 음반 발매량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음반 시장에서 처참하다 할 수 있는 10만 장에 불과했는데, 좋은 능력 속에도 이 시대에 거의 모든 가수들이 서정을 소재로 한 곡을 만들었다는 이유로 사실상 사람들이 거들떠보지도 않은 것이다. 그 사이 잉쟈 대학의 음대를 1966년에 뒤늦게 입학, 1970년에 졸업한다. 그럼에도 헝즈렁의 곡은 사람들에게 외면받았고, 1970년 자신이 계속해서 짝사랑하던 리우허핑의 탄생 배경에 관한 슬픈 소식을 듣기까지 이는 계속되었다. 결국, 헝즈렁은 자신이 이를 위로하고자 곡을 짓기로 결정, 1971년 1월부터 11월까지 내내 작사/작곡 작업에 몰두해 '자회빛 속의 미래'라는 광둥어 곡을 짓기에 이르며, 이 해 11월에는 1964년에 이어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대표 결정 예선에 참여해 대표로 나가는 것이 확정되었다. 하지만, 이 곡으로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에 나가는 것은 우여곡절이었는데, 이는 외성인과 그 외 민족의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던 당시 상황에 어쩔 수 없던 과정이었다.

1972년~1980년 :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 짝사랑과의 결혼, 그리고 시대의 아픔을 승화시킨 예술[edit | edit source]

그럼에도, 헝즈렁은 수백번의 고집 끝에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의 아시아 세미파이널과 유라시아 전체 세미파이널을 뚫고,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이 곡의 배경이 알려지게 되어 사람들의 관심을 얻었고, 그로 인해 심사위원과 시청자 모두의 호응을 얻어, 역사적인 비극과 그 피해자의 주변인이었던 사람이자,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역사에서 양 토착민족[35] 가장 적대적인 근대 이후 외래 출신 세력이라고 할 수 있는 외성인의 후손이 가수로써 이러한 곡을 만들어 아픔을 승화시키려 노력했다는 호평을 통해 유라시아 전역에서 358점을 얻어,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의 유라시아 전체 우승을 차지한다. 이때 리우허핑이 이를 텔레비전으로 보고 통곡하다 병원에 실려갔다는 소식이 들린 이후로 이 둘이 재회, 직후 연이 이어졌고, 1975년에 이 둘이 결혼하게 되어 세간의 화제를 모았다. 그 와중에도 헝즈렁은 연예 활동을 멈추지 않았는데, 시대의 아픔을 예술로 승화하고자 노력한 것이 사람들의 호감을 사게 되며, 기존의 서정적인 곡을 내지 않는 대신에 민족을 가리지 않는 공감적인 곡을 내놓게 되는 식으로 음악 노선을 크게 틀어서였다.

1980년대~2020년 : 시대의 변화에 부던히도 적응하다[edit | edit source]

하지만, 1980년대가 찾아오면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사회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까지 평균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었던 노동자 월급이 1990년대 다음으로 많이 오른 시대라고 할 정도로 변화된 사회 속에서 생활수준이 급격히 향상되는 상황에다, 각 민족이 민족 정체성을 지닌 채 하나의 잉청저우 제도민 정체성 하에서 뭉치고 상호 화해의 시대를 연 데에서 대중문화는 또 다른 격량에 휩싸이고 소재 또한 다양해져 갔으며, 잉청저우 제도 연방 대중음악계에서 주류를 차지하고 있던 팝과 락, 블루스와 재즈 이외의 여러가지 음악 분야와 노선이 잉청저우 제도 연방으로 유입되었다. 결국, 헝즈렁은 실험적인 전자음악곡 도회정취(都會情趣)를 1982년 내놓는 것을 시작으로, 1990년대까지 여러 장르에 걸쳐서 자신의 음악색을 다양화하고 자신이 가진 재능이 시대에 역행하게 하지 않음을 통해 자신이 잊혀지지 않도록 부던히도 노력했고, 자신의 재능으로 사회를 밝게 가꾸어 나가고자 노력해갔다. 그러면서, 2000년대 이후에는 최첨단 기술과 음악을 접목시켜, 여러 번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에 나가기도 했다.

2020년~ : 생애 마지막을 장식하기 위한 몸부림[edit | edit source]

그리고, 2020년 리우허핑의 갑작스런 정계 은퇴 소식을 들은 쿵즈량은 리우허핑을 졸라 같이 듀엣으로 음악 활동을 하면서 유라시아비전 송 콘테스트에 나가보자고 조른 끝에 '메이창(美唱)'이라는 듀엣을 강제로 결성(?)했다. 이를 시작으로 나이가 76세에 달한 지금, 생애 마지막을 장식하기 위한 몸부림에 들어간 것이다. 물론 서정적인 곡보다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지역을 다룬 곡이나, 늘 그랬듯이 시대의 희로애락을 예술로 승화시킨 곡을 중심으로 내겠지만 말이다.

디스코그래피[edit | edit source]

싱글[edit | edit source]

앨범[edit | edit source]

정치인의 배우자 겸 진보당 당원으로써[edit | edit source]

장 드 펠릭스[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장 드 펠릭스(프랑스어: Jean de Pelix, 1956년 2월 13일)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프랑스계 정치인이다. 현재 진보당 대표이며,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15대 연방총통이었다.

태생에서 학창시절까지[edit | edit source]

1956년 잉청저우 시 근교의 슐수이광 진의 남부의 구이서우 병원[36]에서 프랑스계 잉청저우 주민 중산층 가정의 2남 1녀로 태어났다. 그의 조상은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절에 프랑스에서 먹고 살 길이 막막했던 빈민 가정 출신의 이주자였으며, 잉청저우 섬에서 자수성가한 집안이었다. 그의 유년기와 학창시절은 전체적으로 평온했다. 프랑스계여서, 프랑스계가 다니는 유치원/소학교/국민중학/고등중학을 졸업하고, 프랑스의 파리 제2대학교를 졸업했다. 그 이후 프랑스에서 유학하면서 박사 학위까지 따온 뒤에, 프랑스의 상황을 보고 1990년 잉청저우 제도 연방으로 돌아왔다

노동운동에 뛰어들어, 총파업으로 현실을 변화시키다[edit | edit source]

1990년 잉청저우 제도 연방으로 돌아온 이후에 그는 취업을 통해 삶의 활로를 개척하려고 했으나, 30 넘는 사람들을 많이 안 받는 기업들은 그를 족족이 거절, 백수로서 살거나 대학의 연구진으로 살아가는 길 밖에 안 남았다고 생각한 장 드 펠릭스에게 뜻하지 않게 새로운 길이 열렸다. 그것은 바로 노동운동의 길이었다. 당시의 잉청저우 제도 연방은 당대 동아시아에에서 아주 높은 수준의 민주주의를 누리던 4개국[37] 중 하나였음에도, 노동자의 인권이 상당히 개선되지 못한 국가 중 하나였다. 국민 소득은 1만불 언저리였던 상태에서, 비숙련 노동자들의 봉급은 1개월 기준 평균 6천 잉청저우 제도 연방 프랑, 전문직의 봉급은 같은 기준으로 평균 5만 8천 잉청저우 제도 연방 프랑이었던 상황에서, 노조의 조직권조차 겨우 실현되고 있는 대우와 그의 지식인, 지성인으로서의 위치가 그를 노동운동에 몸담도록 움직였다.

그 과정에서, 그는 당시 웨이팡 현의 일원이던 샤오왕 시의 어느 중소 전자기기 부품 하청업체의 공장에 고학력 자발적 중소기업 취업 시스템을 이용하여 1991년 4월에 취직, 처음 몇달은 몸으로 기술을 배워가면서, 해당 공장에서 성실히 일하는 것으로 우수 사원이 되어 생산성을 높였다. 그러면서 직장에서 받는 월급 등에서 연방 평균보다 낮은 5400 잉청저우 제도 연방 프랑을 쥐게 되면서, 이러한 현실을 뼈에 사무치게 겪은 그는 1992년 8월 노동기본법에 따라 노조를 조직, 수 개월의 준비 기간을 거쳐, 1993년 5월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 다양한 민족에 상관없이 노동 현실은 개선되어야 한다!"[38]를 외치며 해당 업체의 파업을 수 개월 간 단행했고, 결국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당대 노조 지도자들이 장 드 펠릭스를 노조 지도자들의 모임에 초청해 가맹시켰으며, 그 결과로 해당 파업은 1993년 하반기에 잉청저우 제도 연방 곳곳으로 퍼지며 각 기업의 연대 파업이 일어났다. 1993년 10월부터는 남쪽의 바시 제도 카시얏에서 북쪽의 잉청저우 시 베이구로, 서쪽의 잉청저우 시 시구의 슐수이광 지역에서 동쪽의 동도현 이스트랜즈 진까지 모든 직장이 3달동안 멈췄고, 학생들은 이러한 현실을 보고 연대 시위 및 동맹 휴학에 나섰다. 구명민 연방총통과 연방행정원은 이러한 결과에 국제사회의 눈치가 더해져 결국 진압이나 독재로의 길을 통한 연방 분열 및 파괴의 길, 즉 매국의 길이 아닌, 사회적 합의 구축과 백기 투항을 결정, 유명무실해진 최저임금 제도를 전면적으로 실시하는 법률을 마련하면서, 1998년까지 최저임금을 1990년의 2.5배로 올리기로 합의했고, 그가 일하던 공장에서는 임금을 매년 80%씩 올리기로 했다. 결국, 이러한 파업의 성공에 따라 장 드 펠릭스는 노동계와 진보정치 계열에서 일약 전국적인 유명인사가 되었으며, 그에 따라 처음엔 공장에서 열심히 일하며 노조위원장직을 계속하려고 했던 장 드 펠릭스도 사람들이 몇 달에 걸쳐서 몇 번의 설득을 해낸 끝에, 공장의 노조위원장을 사직하고 현실적인 정치에서 부딫혀 보며 노동자를 챙기기로 마음먹었다.

정치로 나아가고 나서[edit | edit source]

그래서 그는 진보당의 1994년 영입 제의를 받아들여, 진보당 내에서 노동자 권위 증진 특별 원외위원회의 위원장으로서 사방팔방 뛰어다니며, 진보당 소속 국회의원이 노동자의 권익을 증진하는 법률을 제정하도록 도왔고,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1996년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입법위원 선거에서 진보당 비례 1번으로 출마, 진보당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가 되었으며, 당연하게도 진보당에 많은 표가 가도록 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면서 11대 연방입법원에서 안징후이와 사사건건 부딫혔는데, 안징후이와 장 드 펠릭스 모두 11대 연방입법원 전반기에는 노동-환경 분야 입법위원회[39]에 소속되어 있는 상태[40]에서, 안징후이는 온건 자유주의 성향을 띄고 있었고, 장 드 펠릭스는 노동운동 출신의 강성 진보성향을 띄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충돌이 일어났다. 안징후이가 각 지역 현안 해결과 정당한 개입을 허용하고 각 사안이나 각 분야별로 사회적 협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먼저라고 보고 '과격한 노동개혁'으로부터 방어하려고 한다면, 장 드 펠릭스는 이를 공격해 무너트리는 쪽이었다고 한다. 결국, 이러한 정치적 악연은 연방 총통 재임 순위까지 이어져, 2010년대 이후에 장 드 펠릭스와 안징후이는 한경만을 낀 채로 대립하는 정치적인 관계를 구축하게 된다.

그럼에도, 자신의 분야이던 노동운동을 통해 비례로 최대 3선을 하면서까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비 숙련 노동자의 처우를 타 직종 근무자의 처우와 최대한 비슷하게 개선하며 잉청저우 제도 연방을 선진국의 초석에 놓도록 노력한 200인의 인물에 드는 영예를 안을 정도로 능력이 존재하는 인물로써, 연방입법위원을 하는 동안 열심히 일함으로써 좋은 이미지를 국민들에게 구축, 언론과 국민이 2000년대 중반부터 그를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연방 대권주자로 치켜올려주게 된다.

연방총통 재임기 : 급진적 전 분야 무상 사회복지 도입이 부른 재선 실패의 자충수[edit | edit source]

퇴임 이후 : 진보당 대표로의 재신임, 좌익 선명성 유지[edit | edit source]

선거 기록[edit | edit source]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국민대회[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국민대회
瀛城州諸島聯邦聯邦國民大會
瀛城州諸島連邦連邦国民大会
Cilipunen Kogmindahu na Cilipunen Kemedlin Polungda Sepannah
Federal National Assembly of Yingchengjhou Islands Federation
Assemblée Nationale de Fédérale le République fédérale des îles Yingchengjhou
Bundes Nationaltag der Bundesrepublik Inseln Yingchengjhou
Pederasyon Pambansang ng Pederasyon ng Mga Isla Yingchengjhou
제16대 연방국민대회
의회 체제
의회 체제 단원제
조직
국민대회 의장 하인리히 슈미트 (국민당)
구성
정원 110
의원임기 4년
정당구성

여당 (66)

야당 (44)

선거
이전 선거 2016년 6월 10일
의사당
해청위 연방국민대회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국민대회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국민대회
원내 구성
연립여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자유당기.png
자유당
32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민주당기.png
민주당
34석
야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국민당기.png
국민당
16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진보당기.png
진보당
12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농민당기.png
농민당
8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녹색당기.png
녹색당
6석
무소속
0석
재적 110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국민대회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정권(政權) 행사 기구이다. 그에 따라 헌법 상의 최고 기구로써 중앙 오권에 위에 있다고 헌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말 그대로 국가의 헌법과 국체에 관련된 사무를 맡고 있다. 총 110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8석은 인구비례로, 29석은 인구비례 분배 의석의 절반 가량으로 각 시/현/특별구에 할당하는 각 시/현/특별구 의회에서 선출하는 의석, 23석은 재외국민 간 선출 5석, 직능대표선거 16석, 양성평등단체 선출 2석으로서 구성되는 다양성 보장 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구의 경우에는 소선거구제로 되어있으나, 이를 권역별 비례로 변경하려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 현재 집권 연립여당인 자유당과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행정원[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입법원[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입법원
瀛城州諸島聯邦聯邦立法院
瀛城州諸島連邦連邦立法院
Cilipunen Rybavin na Cilipunen Kemedlin Polungda Sepannah
Legislative Yuan of Yingchengjhou Islands Federation
Yuan Législatif Fédérale le République fédérale des îles Yingchengjhou
Bundes Legislativ-Yuan der Bundesrepublik Inseln Yingchengjhou
Batasan ng Batas na bahay nga Pederasyon ng Mga Isla Yingchengjhou
제16대 연방입법원
의회 체제
의회 체제 단원제
조직
입법원장 타카츠키 마사우치 (민주당)
구성
정원 320
의원임기 4년
정당구성

여당 (170)

야당 (150)

선거
이전 선거 2016년 8월 20일
의사당
해청위 입법원의사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입법원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입법원
원내 구성
연립여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자유당기.png
자유당
90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민주당기.png
민주당
80석
야당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국민당기.png
국민당
88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진보당기.png
진보당
30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농민당기.png
농민당
20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녹색당기.png
녹색당
12석
무소속
0석
재적 320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입법원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법률 입법 기구이다. 총 320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0석은 1선거구-2인 중대선거구제에 기반한 지역구 의석으로, 나머지 160석은 비례대표 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례대표의 경우에는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동수로 하여,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의석을 선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현재 연동형 비례대표제로의 전환을 논의 중에 있다. 현재 집권 연립여당인 자유당과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사법원[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감찰원[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고시원[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북아르차흐 주[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북아르차흐 주는 아르메니아의 11번째 주이다. 산하에 카샤타흐 구, 마르타케르트 구, 샤후만 구를 두고 있다. 주도는 마르타케르트이며, 면적은 7,486Km², 인구는 378,235명이다.

남아르차흐 주[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남아르차흐 주는 아르메니아의 12번째 주이다. 산하에 슈시-아스케란 구, 마르투니 구, 하드루트 구를 두고 있으며, 주도는 스테파냐케르트이며, 면적은 5,711Km², 인구는 683,715명이다.

Le Première[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Le Première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공영 텔레비전 방송이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수많은 공용어와 지역언어의 존재와 ARY의 구조 특성 상, 각 언어판 채널[42]이 존재함과 함께 이들 방송 채널에서의 프로그램 제작을 ARY의 가맹 지역 방송국들이 인구 비례에 따라 지분을 나눠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세계 제2의 컬러 TV 본방송[edit | edit source]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지열발전 및 수력발전의 어마어마한 발전량으로 인해 남아도는 전기가 많은 상황에서, 어느정도 경제력을 갖춘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현실을 컬러방송 수요의 개척 최적기로 간주, 1956년 개국 직후부터 컬러 방송을 시험적으로 실시하였다. 그러다가 1957년 후반부에 쿠바의 컬러 TV 전용 방송국 준비 소식을 듣고 1958년 새해 첫날로 넘어가는 순간의 양력설날(신정/서양춘절) 기념 행사를 시작으로, 쿠바보다 2달 앞서서 컬러 TV 본방송을 개시했다. 이는 세계 제2의 컬러 TV 본방송으로 기록되었다.

ARY 라디오[edit | edit source]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ARY 라디오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공영 라디오 방송이다. 이름 그대로 ARY가 직접 운영한다. 공식 명칭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국공영라디오"이며, 제1채널부터 제18채널까지 존재한다.

ARY 문서에 소개된 바와 같이, 1~13는 각 언어별 종합편성채널, 14은 중국어/영어/산둥관화/프랑스어/독일어/한국어 대중음악 전문채널, 15는 일본어/류큐어/월어/대만민난어/하카어/오어/잉청저우어 대중음악 전문채널, 16는 한국어/중국어/영어/프랑스어/독일어/산둥관화 뉴스-시사 전문 채널, 17은 일본어/류큐어/월어/대만민난어/하카어/오어/잉청저우어 뉴스-시사 전문 채널, 18은 클래식 음악 전문 채널, 19은 교통정보/기상정보 채널이다. 제18채널과 제19채널은 서부판(잉청저우 도시권 합동송신소 송출본)과 동부판(니시카만스 중파송신소 송출본)을 두고, 이들 서부판과 동부판 내에서 각 언어별 방송시간을 따로 두고 있어, 듣는 사람들이 주의해서 들어야 한다.

이들 역시 Le Première와 같이, 채널들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제작을 ARY의 가맹 지역 방송국들이 인구 비례에 따라 지분을 나눠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잉청저우 익스프레스[edit | edit source]

잉청저우 익스프레스
YCX, YE
심벌 마크
파일:YE 노선망.jpg
개요
국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종류 고속철도
현황 영업 중
지역 틀:YCJ
운행 개시일 2006년 3월 13일
운영 주체 잉청저우 제도 연방 공공철로운영국
노선
기점 잉청저우 · 이스트코스트 · 카마키 · 구이서우
역 수 9(국내)
200개 역 이상(국제선 연결)
종점 잉청저우 · 이스트코스트 · 카마키 · 구이서우
사용 노선 잉징고속선 · 난루고속선(국내)
50여 개 이상의 노선(국제선 연결)
차내 서비스
클래스 특실 · 일반실
장애인 지원 지원
좌석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8000호대 고속전동차: 1,280석[43]
기술
차량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8000호대 고속전동차
궤간 1,435 mm (표준궤)
전철화 교류 25,000V 60Hz
최고 속도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8000호대 고속전동차: 300 km/h
노선 소유자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행정원
v  d  e  h

잉청저우 익스프레스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고속철도 서비스이다. 유로트레인 열차 및 그 시스템을 기반으로 국내외에서 시속 280km에서 시속 300km의 속도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다보니, 고속전용선만 이용하여 각 국 연결 서비스를 하도록 국제 협약이 맺어져, 1435mm 궤간의 일반선 선로로 직결운행을 하지 않는다. 대신에 각 국의 고속선을 누비면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을 제외하고는 급행이나 그 이상의 등급 혹은 저(低) 정차역 열차편으로만 운행함으로, 고속철도 서비스 중에서는 홍보와 실제가 100% 흡사한 괴물적인 서비스[44]로 유명하다.

각주[edit | edit source]

  1. 현실의 통일호
  2. 홍콩, 마카오 제외. 홍콩과 마카오는 유럽식 표준을 운용한다.
  3. 에이레, 홍콩, 마카오가 채택
  4. 에이레, 홍콩, 마카오가 채택
  5. 브리튼 제도에서 에이레 제외 전 국가, 아이슬란드, 페로, 유럽 대륙부 국가, 동남아, 중동, 북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대다수 지역이 채택
  6. 구 소련을 구성했던 러시아,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등에서는 옛 OIRT 규정 FM 대역과 겹쳐서 잘 쓰이지 않았다.
  7. 구 소련을 구성했던 러시아,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등에서는 옛 OIRT 규정 FM 대역과 겹쳐서 잘 쓰이지 않았다.
  8. 브리튼 제도에서 에이레 제외 전 국가, 아이슬란드, 페로, 유럽 대륙부 국가, 동남아, 중동, 북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대다수 지역이 채택
  9. 디지털 라디오 몬디얼. 단파 라디오 방송의 디지털화를 위해 나온 기술이다.
  10. 초기엔 15 MHz 이상 사용 대역이었다가 2019년에 풀렸다.
  11. 1990년 통일 이전에는 일본민국은 +810을, 도호쿠-홋카이도 인민공화국은 +814를 사용하였다. 1995년 동서 일본 통일 이후 국제전화 코드 통합 사업을 실시하여, 실시 3년만인 1998년 1월 1일부로 이를 완수해 +81 코드를 부여받게 되어 지금에 이른다.
  12. 만약 현실이었다면 북한이 들어가야 할 자리였으나, 민주의 여명 세계관에서는 "북한? 그런 거 없다."가 될 수밖에 없는 세계선이므로,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에 대신 할당되었다. 할당일은 1990년 10월 23일이다.
  13. 만약 현실이었다면 방글라데시가 들어가야 할 자리였으나, 민주의 여명 세계관에서는 방글라데시 대신에 벵골국이 들어서있고, 몽골의 경우엔 현실과 달리 국제전화 코드 번호에 대해 동아시아가 사용하는 +8 대역에 들어가기를 원했으므로, 몽골국에 할당되었다.
  14. 14.0 14.1 중화인민공화국이 1950년대에 국제전기통신연합의 권고로 866에서 886으로 국제전화 코드를 변경한 이후 쓰이다가, 1989년 천안문 항쟁의 성공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붕괴되고, 후순국과 후신국이 들어서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였던 베이징을 영토로 보유하고 있으며, 그 베이징을 자신들의 수도로 다시 지정한 후순국 측에 계승권이 돌아가면서, 1990년 1월 1일 공식적으로 계승되었다. 계승에 실패한 후신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 중에 서부 지역의 몇개 성에 들어선 것을 기반으로, 1990년 1월 1일에 한자리 앞의 +885를 할당받았다.
  15. 퉁구스계에 청조를 세웠던 그 만주족이다.
  16. 이에 따라 1980년대 이후 터널이나 다리를 통해 육로를 연결하기도 했고, 타타르 해협을 공동조업구역으로 지정했다.
  17. 현실의 유즈노-사할린스크(도요하라)에 해당한다.
  18. 핀란드의 헬싱키 모델,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의 민스크 모델, 대우크라이나 공화국의 키이우 모델, 아무르 공화국의 하바롭스크 모델 등과 같이 냉전 시기에 만들어진 중립국가 모델들 중 하나이다.
  19. 중화민국의 경우엔 중앙공용어
  20. 아무르 공화국의 4대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될 정도이며, 다른 3개 공용어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한국어이다.
  21. 아무르 공화국, 만주 공화국, 몽골국은 2020년 2월에
  22. 대한민국, 일본민국, 만주 공화국, 몽골국, 잉청저우 제도 연방 5개국
  23. 이렇게 리우허핑과 같은 이유로 1941년~1945년의 잉청저우 섬의 제정 일본 점령기동안 전쟁범죄의 피해를 당한 류큐계 혹은 잉청저우 민난계나 잉청저우 하카(객가)계의 모계와 제정 일본의 군대에 있던 일본인 부계 혈통의 원치 않은 혼혈로 태어난 이들은 4만명에 달했으며, 이들을 암흑의 피(暗黑之血)라고 규정한다.
  24.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는 1956년 연방 출범 이전까지 이러한 전쟁범죄 피해자들에 대해서 대하는 태도가 구 중화민국령과 구 미국령이 180도로 달랐다. 구 중화민국령에 속한 잉청저우 섬에서는 이러한 범죄 피해를 부정적으로 봤으나, 1956년 독립 이후로는 전쟁범죄를 지속적으로 조명하면서 그러한 태도가 고쳐지고, 피해자들과 그 후손들에 대해 안타까워 한다고 한다.
  25. 물론, 생물학적인 친부와 연락은 오랫동안 계속되었고, 이를 통해 생물학적 친부는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였다고 한다. 리우허핑이 1973년에 모친과 친부를 재회시켜 주기까지도 했으며, 1975년 리우허핑이 결혼할 때 생물학적 친부 자격으로써 하객으로 왔었다고 한다.
  26. 아무래도 나이가 나이다보니 더 이상 정계에서 온전히 활동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고, 자신도 자신을 비롯한 암울한 세대가 암울한 개인사를 정면돌파하며 밝은 미래를 꿈꾸며 나라를 굳건히 하던 시대가 지나고, 세대교체가 당연한 시대를 맞았음을 인식하고 있던 점을 고려한다면, 그에 따라 갑작스러운 은퇴를 선택했을 것이다.
  27.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는 하나의 지자체가 2개 이상의 의회 의원 선거구로 분구될 경우엔 갑을병 대신 지자체내 선거구를 이루는 곳 중 주요 지역에서 이름을 따오는 방식을 사용한다.
  28. 다만, 1993년 국민당 지도부와의 노선 차이에서 오는 마찰로 인해 자신을 따르는 온건계열의 연방입법위원, 연방국민대표, 지자체장, 지방의원 및 당원 총 4만 명과 함께 국민당에서 출당당하고, 이들 4만명을 이끌고 자유당에 입당했던지라, 정계은퇴 이후에도 자유당 의원이나 안징후이 현 연방총통을 향한 조언을 위해, 또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시민으로써 자유당 당적(권리당원)은 유지한다고 한다.
  29. 아무래도 나이가 나이다보니 하루라도 빨리 이루고 싶어했을 것이라는 시각이 압도적이다.
  30. 물론 사설철도 업체가 기차를 장삿수단 삼아 국민의 이동권을 볼모로 잡을 것을 염려한 연방행정원장과 교통부 장관(둘 다 당시 국민당 소속)은 절대로 안된다면서 거부했고, 이는 연방입법원으로 사안이 넘어가, 결국 40년 영업 허가를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31. 해당 발언이 SNS에 올라오면서, 동아시아 전역에서 리우허핑의 철도 사랑이 철도우월주의로 잘못 흘러가는게 아닌가 하는 갑론을박이 오가면서 세계적으로 욕을 먹었다. 심지어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에서도 무수히 많은 욕을 들었는데, 국민당 소속의 항공동호인 출신의 장수셴 입법위원은 이런 리우허핑의 태도에 "리우허핑 댁이 계속해서 타령한 철도 찬양만 들으며 철도용 해저터널 지어대다가 그게 도로교통에까지 영향이 미쳐, 결국 해저터널로 육로를 다 연결하고 나니 국내선과 단거리 해외 교통에서의 항공교통이 고사해서 연방민의 선택지만 줄어들게 생겼다. 그로 인해 잉청저우 에어라인에서 갑자기 짤린 직원들은 당신을 원망하고 있을 것이다. 인권이 짓밟힌 부분에 인권이 짓밟히는 사례가 철도업계에서 없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철도 찬양으로 받아치는 동문서답을 보이는 행위 대신에, 짤린 사람들에게 재교육을 하거나 제2항공사 개방을 지원해 속죄하는 게 어떻겠는가?"라고 저격했을 정도니 연방민 사이에서는 말 다한 셈이다.
  32. 안징후이 바람(안류)을 확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말로 회자되고 있다.
  33. 뒤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이미 정계은퇴 뒤에 강제전직 당할 것을 예상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34. 전 유라시아에서의 우승자를 의미한다.
  35. 한족 내성인과 오스트로네시아인 계통의 잉청저우인(잉청저우 원주민)을 의미한다.
  36. 현재의 잉청저우 직할시립 서부의료원
  37. 대한민국, 중화민국, 잉청저우 제도 연방, 헤이커우 공화국
  38. 프랑스어로는"La réalité du travail doit être améliorée, peu importe la diversité ethnique de République fédérale des îles Yingchengjhou!"
  39. 현실 대한민국 국회로 치면 환경노동위원회라는 상임위원회에 해당한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는 상임위원회를 '분야 입법위원회'라고 지칭한다.
  40. 후반기에는안징후이가 교통 분야 입법위원회로 빠지고, 장 드 펠릭스는 노동-환경 분야 입법위원회에 잔류하여 이러한 관계가 해소되었다.
  41. 민상법 부문과 형법 부문, 헌법 부문, 법원행정처의 역할을 하는 사법원 본원 핵심부문 등으로 나뉘어있고, 이 중 헌법 부문은 헌법재판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 사법원 본원에 대해서 핵심부문만을 존속시키고 나머지 부문은 헌법재판원, 중앙최고민상법법원, 중앙최고형사법원으로 독립시키면서 세가지로 나누자는 안건이 공론화되고 있다.
  42. 한국어/중국어/월어/대만민난어/하카어/오어/산둥관화/일본어/류큐어/영어/프랑스어/독일어/잉청저우어 13개 언어 채널들이 Le Première라는 브랜드 아래에 하나되어 존재한다.
  43. 1편성 당
  44. 시속 300km 달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