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크라이나 공화국
주의.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표현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거나, 본문의 개연성이 낮아 해당 문서 및 그 관련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
![]() |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각 세계관이나 각 단일 설정에서 채용한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각 세계관 혹은 각 단일 설정을 창작하는 창작자가 작성한 작성한 공식 설정이므로, 각 세계관 혹은 각 단일 설정의 창작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단순 오류나 오타를 고치는 것 이외의 편집을 시도하는 행위는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정 가능 여부를 문서 작성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 |
대우크라이나 공화국 | |||||
---|---|---|---|---|---|
우크라이나어: Велика Українська Республіка 크림 타타르어: Ulu Ukraina cumhuriyeti 벨라루스어: Вялікая Украінская Рэспубліка 러시아어: Большая Украи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 |||||
| |||||
국가 |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 | ||||
국가 위치 | |||||
수도 | 키이우 특별시 (민주의 여명 세계관) | ||||
최대 도시 | 키이우 특별시 (민주의 여명 세계관) | ||||
정치 | |||||
대통령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 ||||
총리 | 페트로 포로셴코 | ||||
역사 | |||||
정부수립 | |||||
• 우크라이나인 대봉기 | 1792년 9월 11일 | ||||
• 우크라이나 공화국 수립 | 1793년 10월 2일 | ||||
• 대우크라이나 공화국 수립 | 1919년 3월 8일 | ||||
지리 | |||||
면적 | 698,175.15 km2 (위) | ||||
시간대 | EET (UTC+2) | ||||
인문 | |||||
공용어 |
| ||||
민족 분포 | 우크라이나인 93%, 크림 타타르족 2%, 크림 고트족 0.6%, 러시아인 3%, 벨라루스인 0.5%, 기타 0.9% | ||||
인구 | |||||
2020년 어림 | 93,915,980명 | ||||
인구 밀도 | 134.5명/km2 | ||||
경제 | |||||
• 전체 | 30,068$ | ||||
HDI | 0.901 (2014) 2016년 조사) | ||||
통화 | 대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
기타 | |||||
ISO 3166-1 | 804, UA, UKR | ||||
도메인 | .ua | ||||
국제 전화 | +380 |
대우크라이나 공화국(우크라이나어: Велика Українська Республіка 베위카 우크라인시카 레스푸블리카, 크림 타타르어: Ulu Ukraina cumhuriyeti 울루 우크라이나 춤후리예티, 루신어: Республіка Великий Українцї 레스푸블리카 벨리키 우크라인치, 벨라루스어: Вялікая Украінская Рэспубліка 뱔리카야 우크라인스카야 레스푸블리카, 러시아어: Большая Украи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볼샤아 우크라인스카야 레스푸블리카, 영어: Greater Ukrainian Republic 그레이터 우크레이니안 리퍼블릭, 루마니아어: Republica Mare Ucraineană 레푸블리카 마레 우크라이네아너, 헝가리어: Nagy Ukrán Köztársaság 나지 우크란 쾨터러샤그, 불가리아어: Велика украинска република 벨리카 우크라인스카 레푸블리카)은 동유럽 남부 흑해 연안에 위치한 국가이다. 서쪽으로 루마니아 공화연방, 몰도바, 자카르파티야 루신 공화국, 폴란드와 접하며, 북쪽으로는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러시아 공화연방, 동쪽으로는 돈 공화국, 칼미크국 등과 접한다.
지리[edit | edit source]
동유럽 평원과 카르파티아 산맥이 만나는 곳에서 드니프로 강이 흐르는 중앙에 위치한 국가 특성 상, 흑토지대가 국토 전역에 깔려 있어서 비옥한 농토를 바탕으로 많은 수의 국민을 먹여살릴 수 있었다.
드니프로 강이 중앙을 지나고, 돈 강이 로스티우 지역을 지나서 흑해로 들어간단 점을 이용해 서부와 중부, 동남부는 우크라이나인의 전신인 코자크에 의해 농업이 일찍이 발달했으며, 공업용 전기나 농업용수 등을 위한 댐이 195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에 건설되어 가동 중에 있는 등, 이점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있다.
역사[edit | edit source]
고대 : 슬라브족의 할거와 키이우 공국[edit | edit source]
중세 : 갈갈이 찢긴 공국의 할거와 몽골 침략, 리투아니아에 의한 해방[edit | edit source]
근세 :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쇄망 속 구국의 봉기와 국가의 수립[edit | edit source]
근대 : 흐멜니츠키로부터 내려져온 우크라이나성의 강화[edit | edit source]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전간기까지[edit | edit source]
현대 : 2차대전 이후, 독자적인 국가[edit | edit source]
정치[edit | edit source]
최고 라다가 810석으로 구성되며, 현재 인민의 종이 330석, 바티키우시냐가 410석, 미래를 향해 50석[1], 목소리가 15석, 사회 야권 연합이 5석을 차지한다. 이원집정부제로써, 유셴코 행정부 이후의 정치적 안정에 기여했을 정도로 전형적인 여당 승리 시 대통령제처럼 구동, 야당 승리 시 야당 임명 총리가 실권을 쥐며 (의원)내각제처럼 구동하는 추세를 지녀 이러한 추세에서 지금도 크게 못 벗어났다.
그에 따라 이러한 개혁에도 아직도 시대에 못 맞춰가는 과도하게 부패하거나 로스티우 지역이나 보로네시 지역 출신의 러시아의 종속관계를 주장하는 정신나간 극단주의자의 광풍과 그에 대한 반동인 바티키우시냐 광풍에 의해 인민의 종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을 배출했음에도 바티키우시냐가 과반 이상의 의석을 쥐면서 바티키우시냐의 대표인 율리야 티모셴코가 다시 총리직에 올라서 전문가를 대거 등용하여 그들이 행정부 내의 각 정부 부처를 통솔하도록 했다.
대통령은 국민 직선으로 5년 중임제 하에 운영된다. 총리는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나, 사실상의 의원 내에서의 선거를 거쳐 과반 이상의 표를 받은 사람이 총리가 되며, 이 역시 5년 중임제의 임기를 명시했으나 국정 운영에서 대통령의 권한이 강했던 시기가 많다 보니 자주 교체되었다.
행정구역[edit | edit source]
대우크라이나 공화국은 7특별시 1자치주 23일반주 체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일 국가(단방제)에 기반한 지방자치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주지사나 특별시장은 1960년대의 개혁 이전에는 대통령의 임명 및 파면에 의한 임면 제도를 운용하되, 견제와 협조를 통해 지방정부의 민주적 운영 등이 가능하도록 주의회를 직선하여 구성해 의사진행을 하도록 했다. 그러다가 1960년대 말부터 68혁명운동의 여파로 인해 이루어진 지방자치 개혁으로 인해 주지사와 특별시장도 직선으로 선출되게 되었다.
행정 구역 |
넓이 (km²) | 인구 (명) |
특별시청·주청 소재지 | 시 | 군 | 구 | 비고 |
---|---|---|---|---|---|---|---|
키이우 특별시 | 839 | 7,395,910 | 셰우첸키우 구 | 빈칸 | 빈칸 | 10 | |
오데사 특별시 | 162.42 | 1,569,519 | 프리모르 구 | 빈칸 | 빈칸 | 4 | |
하르키우 특별시 | 350 | 3,623,947 | 셰우첸키우 구 | 빈칸 | 빈칸 | 9 | |
드니프로 특별시 | 409.72 | 2,098,408 | 첸트랄니 구 | 빈칸 | 빈칸 | 8 | |
도네치크 특별시 | 571 | 1,398,526 | 흐멜니츠키 구 | 빈칸 | 빈칸 | 10 | |
로스티우 특별시 | 348.5 | 2,758,493 | 베위카 새도바 구 | 빈칸 | 빈칸 | 8 | |
보로니시 특별시 | 601 | 1,164,205 | 첸트랄니 구 | 빈칸 | 빈칸 | 6 | |
벨호로드 주 | 27,100 | - | 벨호로드 시 | 11 | 21 | 빈칸 | |
체르카시 주 | 20,891 | - | 체르카시 시 | 6 | 20 | 빈칸 | |
체르니히우 주 | 31,872.1 | - | 체르니히우 시 | 3 | 22 | 빈칸 | |
드니프로 주 | 31,490.8 | - | 카미안스케 시 | 12 | 22 | 빈칸 | |
도네치크 주 | 25,934.7 | - | 크라마토르스크 시 | 27 | 18 | 빈칸 | |
카먄시크 주 | 34,925.03 | - | 카먄시크 시 | 2 | 14 | 빈칸 | |
쿠르시크 주 | 30,000 | - | 쿠르시크 시 | 6 | 29 | 빈칸 | |
하르키우 주 | 31,051.6 | - | 추히우 시 | 6 | 27 | 빈칸 | |
헤르손 주 | 28,449 | - | 헤르손 시 | 3 | 18 | 빈칸 | |
흐멜니츠키 주 | 20,636.2 | - | 흐멜니츠키 시 | 6 | 20 | 빈칸 | |
키로보호라드 주 | 24,577.5 | - | 크로피우니츠키 시 | 4 | 21 | 빈칸 | |
키이우 주 | 28,098.1 | - | 빌라 체르크와 시 | 13 | 25 | 빈칸 | |
루한시크 주 | 26,672.5 | - | 루한시크 시 | 14 | 18 | 빈칸 | |
미콜라이우 주 | 24,587.4 | - | 미콜라이우 시 | 5 | 19 | 빈칸 | |
오데사 주 | 20,733.5 | - | 초르노모르스크 시 | 6 | 26 | 빈칸 | |
폴타바 주 | 28,735.8 | - | 폴타바 시 | 5 | 25 | 빈칸 | |
로스티프 주 | 28,833.23 | - | 오지우 시 | 8 | 17 | 빈칸 | |
수미 주 | 23,823.9 | - | 수미 시 | 7 | 18 | 빈칸 | |
티호레치크 주 | 25,069.45 | - | 티호레치크 시 | 2 | 14 | 빈칸 | |
빈니차 주 | 26,501.6 | - | 빈니차 시 | 6 | 27 | 빈칸 | |
볼호돈시크 주 | 28,769.68 | - | 볼호돈시크 시 | 1 | 10 | 빈칸 | |
보로니시 주 | 42,152.72 | - | 나보보로니시 시 | 27 | 25 | 빈칸 | |
자포리자 주 | 27,168.5 | - | 자포리자 시 | 5 | 20 | 빈칸 | |
지토미르 주 | 29,819.2 | - | 지토미르 시 | 13 | 25 | 빈칸 | |
크름반도 자치주 | 27,000 | - | 세바스토폴 시 | 14 | 10 | 빈칸 | |
계 | 698,175.15 | 93,915,980 | 빈칸 | - | - | - |
경제[edit | edit source]
문화[edit | edit source]
교통[edit | edit source]
- ↑ 자립연합이 30석, 안드리 발로하 팀이 20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