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오난선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민주의 여명 세계관 틀.png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다오난선
잉청저우 섬 남회선
기본 정보
통칭 잉청저우 섬 남회선
운행 국가 잉청저우 제도 연방
기점 시더낭역
종점 세이란역
역 수 32
수송 실적 연간 6억 2990만명(2020)
개통일 1986년 9월 2일
광역전철 개통 2000년 4월 4일[1][2]
소유자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행정원
운영자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공공철로관리국
노선 제원
노선 거리 251 km
궤간 1067 mm (케이프 궤간)
선로 수 4(시더낭~양뉴/미나히라~세이란)
2(양뉴~미나히라)
전철화 25kv 교류
복선 구간 전 구간
신호 방식 ATC/ATS/ATO 겸용
차량 한계 가공전차선 고려 시 최대 5.3 m
최대 경사 20 ‰
최소 곡선 반경 1500 m
영업 최고 속도 160 km/h
설계 최고 속도 200 km/h
v  d  e  h

다오난선(한자 : 島南線) 혹은 잉청저우 섬 남회선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시낭 시 지역의 시더낭역에서 출발해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세이란 시세이란역에서 끝나는, 잉청저우 섬 남부로 크게 돌아가는 노선이다. 어느 방향으로라도 잉청저우 섬 남부를 도는 순환열차가 돌 수 있게 시볜삼각선세이란삼각선을 지선(支線)으로 두고 있다. 북서부는 잉청저우 직할시의 위성도시들을 지난다는 특색으로 인해,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다오난선이라는 광역전철을 같이 운행하고 있으며, 미나히라역에서 세이란역 구간은 잉청저우 직할시의 위성도시군의 최동단 위성도시들이자 이스트코스트의 위성도시인 스기 시세이란 시를 배려하여, 이스트코스트권 광역전철 잉추선이 광역전철로써 운행한다.

운행계통 목록[edit | edit source]

다오난 선은 필리핀으로 가는 국제열차를 제외하고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에서만 다니는 운행계통의 열차만이 다니므로, 크게 아래와 같은 운행계통만이 존재한다.

  • 잉청저우~시더낭~웨이핑~나부샤~잉펑~세이란~이스트코스트
  • 잉청저우~시더낭~웨이핑~나부샤~카시얏~아파리~투게가라오~산티아고~산호세~타를라크~앙헬레스~마닐라~나가~레가스피
  • 이스트코스트~세이란~잉펑~카시얏~아파리~투게가라오~산티아고~산호세~타를라크~앙헬레스~마닐라~나가~레가스피
  • 산둬~웨이핑~나부샤~카시얏~스기 순환운행계통
  • 잉청저우권 광역전철 다오난선
  • 이스트코스트권 광역전철 잉추선[3]

역 목록[edit | edit source]

  • 중화민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중국어권(화어권) 지역(잉청저우 시에서 잉청허(瀛城河) 이서 및 완잉 구(宛英區) + 신잉청현 잉청저우 섬 부분 일대에서 스기 시(杉市), 세이란 시(淸蘭市), 나부샤 진, 틴샤 진을 제외한 전체)의 경우, 표준중국어 역명의 로마자 표기에 통용병음을 필수로, 그 외 지역에서는 표준중국어 역명의 표기를 위해 편의상 통용병음을 자발적으로 사용하며, 그에 따라 중화민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표준중국어 역명의 로마자 표기는 통용병음으로 사용된다.
  • 등급은 카마키발 잉청저우행 열차 기준이다.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
거리
영업
거리
롄팡하오 미라이호 콩시부아호 시티호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잉추선 장이역 방면(잉청저우역 방면)
Y401 시더낭 Sihdenang 西係囊 0.0 0.0 잉추선
잉청저우 철도 원잉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시낭 시
Y402 난시더낭 Nansihdenang 南西係囊 2.5 2.5 잉추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시낭 시
Y403 둥거랴오 Dong-geliao 東葛僚 시볜삼각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거랴오 시
Y404 거랴오 Geliao 葛僚 잉청저우 철도 본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거랴오 시
Y405 쥔난둥 Junnan-Dong 君南洞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거랴오 시
Y406 핑메이광 Pingmeiguang 坪米廣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거랴오 시
Y407 시거랴오 Sih-geliao 西葛僚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거랴오 시
Y408 멍야오 Mengyao 孟堯 잉청저우 철도 종관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신자이 시
Y409 연방철도신자이 YIFRA Sinjiayi 聯鐵新嘉義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신자이 시
Y410 시완 Sih-wan 西灣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신자이 시/샤오왕 시[4]
Y411 베이샤오왕 Bei-siaowang 北蕭往 잉청저우 철도 횡단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샤오왕 시
Y412 연방철도샤오왕 YIFRA Siaowang 聯鐵蕭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샤오왕 시
Y413 리우춘 Liuchun 劉村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샤오왕 시
Y414 러제 Rejie 藥界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샤오왕 시
양뉴 Yangniu 楊紐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양뉴 진
안밍 Anming 岸明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안밍 향
쓰중춘 Sizongcun 四宗村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안밍 향
양칭 Yangcing 楊晴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양칭 향
리므에픙 Lime-efeng 五峽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나카틴 향
나카틴 Nakatin 那哈庭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나카틴 향
이칸타 Yikanta 宜看他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이칸타 향
틴샤 Tinsya 停霞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틴샤 진
마타나오 Matanaao 馬塔納區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마타나오 향
나부샤 Nabusya 納府夏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나부샤 진
난팡선 카시얏역/타를라크역 방면 (필리핀 국유 철도 남루손 간선 나가역 방면)
둔칭 Duncing 屯靑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둔칭 향
난상타이 Nansangtai 南桑臺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잉펑 향
화안 Hua-an 華岸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화안 향
잉펑 Yingfeng 英豊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잉펑 향
탄링 Tanling 灘凌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탄링 향
통핑 Tongping 通平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통핑 향
Y300 미나히라 Minahira 南平 세이란삼각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스기 시/세이란 시[5]
Y301 세이란 Seiran 淸蘭 잉추선
잉청저우 철도 본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신잉청현 세이란 시
잉추선 이스트코스트역/스화역 방면 (해밀턴 섬 순환철도 카마키역 방면)

열차[edit | edit source]

현재 투입되는 열차[edit | edit source]

퇴역한 열차[edit | edit source]

2000년대 이후에 개통한 만큼, 아직까지 퇴역한 열차는 없다.

여담[edit | edit source]

  • 연방을 인터넷 외에서 하나로 묶는 연결줄의 연장선으로서, 잉청저우와 이스트코스트, 그 주변 위성도시를 잉청저우 섬 남부의 농촌과도 잇고 있으며, 나부샤역에서 분리되는, 필리핀 공화국과의 외교로써의 국제적 협업 사업인 바타네스 육로 연결 계획의 일환으로 지어진, 난팡선을 통해 바시 제도까지도 잇고 있다. 잉청저우 제도 연방 연방정부는 일단 철도로 이를 이어놓은 이후의 교통 상황을 보고, 여기마저도 터져 나가면, 도로교통으로도 분산하고자 해저터널을 통해 연방도를 연결하려고 고려 중이라고 한다.
  • 해외와 연결되는 운행계통은 잉청저우역이나 이스트코스트역에서 출발해 난팡선을 타고 필리핀으로 가는 국제철도 하나 뿐이며, 그 외는 잉청저우 섬 남부 순환열차 및 잉청저우에서 출발해 이스트코스트나 스화, 카마키 등지로만 가는 운행계통만이 광역전철과 함께 운행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필리핀행 외의 행선지가 있는 해외와 연결되는 운행계통의 열차를 이용하려면, 광역전철이나, 잉추선으로 직결되는 일반열차를 통해 잉청저우역, 구이서우역 혹은 이스트코스트역으로 가서 환승해야 한다.

같이 보기[edit | edit source]

각주[edit | edit source]

  1. 흉한 숫자도 광역전철의 안정성을 막을 수 없다는, 소위 말하는 미신 깨기의 과격성을 보여준 사례로써 회자된다.
  2. 참고로, 이렇게 개통일자가 정해진 것은... 2000년이 연방 건국 44주년이라서 그렇게 되었다.
  3. 미나히라~세이란 구간만 해당
  4. 신자이 시와 샤오왕 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5. 스기 시와 세이란 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