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루고속선

From 더 스토리즈 대피소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주의.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표현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거나, 본문의 개연성이 낮아 해당 문서 및 그 관련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난루고속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 중화민국
잉청저우 제도 연방
류큐 공화국
일본민국
기점 난강역
종점 가고시마주오역
역 수 15
수송 실적 연간 17억 2990만명(2020)
개통일 2004년 9월 28일(가고시마추오(鹿児島中央)~나화(那覇) 구간)
나화(那覇)~구이서우(貴壽) 구간 개통 2006년 3월 13일
구이서우(貴壽)~난강(南港) 구간 개통[1] 2009년 7월 1일
고속철도 난강(南港)역 개업 2016년 7월 1일
소유자 동아시아평화우호공공철도운영기금회
운영자 타이완 철로관리국 (화롄~구이서우)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공공철로관리국 (구이서우 정점~유나구니)
류큐철도공사 (유나구니~사쓰마나카노시마)
JR 큐슈 (사쓰마나카노시마~가고시마주오)
노선 제원
노선 거리 1678.2 km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수 단선병렬
전철화 25kv 교류
복선 구간 전 구간 단선병렬
신호 방식 ATC/TVM430 겸용
차량 한계 가공전차선 고려 시 최대 5.6 m
최대 경사 20 ‰
최소 곡선 반경 4500 m
영업 최고 속도 300 km/h
설계 최고 속도 450 km/h
v  d  e  h

난루고속선(중국어: 南鹿高速鐵路 난루가오수톄루, 민난어: 南鹿高速鐵路 람록코속티루, 하카어: 南鹿高速鐵路 남룩고슉톗루, 우어: 南鹿高速鐵路 뇌룩쿼속틱루, 광둥어: 南鹿高速鐵路 남룩고춱팃루, 일본어: 南鹿高速線 난로쿠코소쿠센, 오키나와어: 南鹿高速線 난루쿠코소쿠신)은 중화민국 타이베이 시 난강역에서 일본민국 가고시마 현 가고시마 시 가고시마주오역을 잇는 고속철도 전용 철도 노선이다.

화루선이 1990년 완전개통을 이뤄낸 이후, 잉청저우 제도 연방류큐 공화국, 일본민국 간의 여객 이동과 화물 운송이 수직으로 가파르게 급증하였고, 타이베이에서 도쿄 간의 육로 이동 시간이 종전 단절구간의 해로교통 이용 시간까지 합한 사흘 정도에서 하루로 1/4 이상 단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항공기에 뒤쳐지고 있어서, 여객에 한해 구간수요를 제외하고는 경쟁력이 떨어지던 환경에서, 그 당시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중산층들이 여전히 지불하기를 꺼려하는 국제선 항공기 요금의 부담을 덜면서도 이동시간과 속도를 모두 잡는 고속철도의 도입을 고려하면서 1996년 건설이 결정, 1998년 2월 9일 착공, 2004년 9월 28일 가고시마주오~나화 구간이, 2006년 3월 나화~구이서우 구간이, 2009년 7월 1일 구이서우~난강 구간[2]이 개통되면서 유라시아 대륙고속철도망과의 연결이 성사되었다. 잉청저우역에서 잉징고속선이, 구이서우역에서 잉청저우고속삼각선이 분기한다. 잉청저우 시내를 지하로 지나야 하고, 류큐 공화국의 많은 섬들을 지남과 동시에, 화루선과 겹쳐서는 안된다는 조건까지 더해, 지상에 놓기 부족한 구간이 많은 악조건 속에서 고속철도 전용 철도망 연결을 터널[3]로 연결하는 것은 기술의 향상으로 쉬워졌으며, 그로서, 화루선과는 달리, 난강역~이란역 구간, 가노야역~가고시마주오역 구간만 지상 구간으로서 건설되었다. 현재 난루고속선을 비롯한 유라시아 대륙고속철도망 대부분의 막대하게 비어있는 철도 용량을 활용하여, 화물용 고속철도 열차를 투입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운행계통 목록[edit | edit source]

난루고속선의 경우에는 1678.2km라는 길이에 4개국을 거치고, 이에 연결된 철도망마저 10개국 이상의 수십개 노선이 연결되어 있을 정도로 광대한 대륙고속철도망의 일원이 되고 있으므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구간을 제외[4]하고는 각국에서 단거리 운행계통을 가지고 있고, 그 이외에도 갖가지 막장스러운 중장거리 국제 운행계통이 매우 많이 나온다. 중장거리 계통의 경우 광대한 대륙철도망에 의해, 타 철도 노선과의 직결운행을 통해 운행 중이다.

  • 화롄~이시카치
  • 타이베이~잉청저우
  • 타이베이~도쿄
  • 가오슝~하카타
  • 가오슝~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코이펫(유즈노사할린스크/도요하라)~도쿄~잉청저우
  • 난징~잉청저우
  • 난징~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나화~잉청저우~이스트코스트
  • 잉청저우~가고시마주오
  • 이스트코스트~잉청저우~하카타
  • 아마미~이시카치
  • 타이베이~하카타
  • 화롄~가고시마주오
  • 타이베이~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사이공~하노이~난닝~광저우~차오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사이공~하노이~난닝~광저우~차오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
  • 맨체스터~런던~파리~스트라스부르~쾰른~베를린~바르샤바~브레스트~민스크~스몰렌스크~모스크바~페르먀~예카테린부르크~올란우데~울란바토르~베이징~난징~상하이~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스화~카마키
  • 맨체스터~런던~파리~스트라스부르~쾰른~베를린~바르샤바~브레스트~민스크~스몰렌스크~모스크바~페르먀~예카테린부르크~올란우데~울란바토르~베이징~난징~상하이~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오사카
  • 부산~동대구~대전~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 부산~동대구~대전~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
  • 목포~광주송정~익산~세종~천안아산~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잉청저우
  • 목포~광주송정~익산~세종~천안아산~서울~평양~의주(신의주)~단동~선양~베이징~카이펑~난징~항저우~샤먼(廈門)~신주(新竹)~타이베이~이란(宜蘭)~화롄~구이서우~이스트코스트

역 목록[edit | edit source]

  • 중화민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중국어권(화어권) 지역(잉청저우 시에서 잉청허(瀛城河) 이서 및 완잉 구(宛英區) + 신잉청현 잉청저우 섬 부분 일대에서 스기 시(杉市), 세이란 시(淸蘭市), 나부샤 진, 틴샤 진을 제외한 전체)의 경우, 표준중국어 역명의 로마자 표기에 통용병음을 필수로, 그 외 지역에서는 표준중국어 역명의 표기를 위해 편의상 통용병음을 자발적으로 사용하며, 그에 따라 중화민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표준중국어 역명의 로마자 표기는 통용병음으로 사용된다.
  • 등급은 타이베이발 도쿄행 열차 기준이다.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
거리
영업
거리
고속급행 고속전역정차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타이완 서부 고속철도선 가오슝역 방면(해협연결 고속철도 샤먼역 방면)
난강 Nangang 南港 0.0 0.0 중화민국 타이베이 시 난강 구
이란 Yilan 宜蘭 46.1 46.1 중화민국 이란 현 이란 시
화롄 Hualien 花蓮 92.6 138.7 북회선
타이둥선[5]
화루선
중화민국 화롄 현 화롄 시
Y101 구이서우 Guishou 貴壽 87.2 225.9 [6] 화루선
잉청저우고속삼각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시 시 구
Y109 잉청저우 Yingchengjhou 瀛城州 37.5 263.4 [7] 잉청저우 첩운 신칭 선
화루선
잉징고속선
잉추선
잉청저우 제도 연방 잉청저우 시 난잉서우 구
유나구니 Yunaguni 與那國 134.0 397.4 화루선 류큐 공화국 사치시마 현 유나구니 정
이시카치 Ishikachi 石垣 119.0 516.4 화루선 류큐 공화국 사치시마 현 이시카치 시
먀쿠시마 Myakusima 宮古島 126.0 642.4 화루선 류큐 공화국 사치시마 현 먀쿠 시
나화 Nafa 那覇 302.0 944.4 화루선 류큐 공화국 우치나 현 나화 시
나구 Nagu 名護 57.7 1002.1 화루선 류큐 공화국 우치나 현 나구 시
아마미 Amami 奄美 256.0 1258.1 화루선 류큐 공화국 아마미 현 아마미 시
사쓰마나카노시마 Satsumanakanoshima 薩摩中之島 175.0 1433.1 화루선 일본민국 가고시마 현 도시마 촌
사쓰마이오지마 Satsumaiōjima 薩摩硫黄島 119.0 1552.1 화루선 일본민국 가고시마 현 미시마 촌
카노야 Kanoya 鹿屋 89.2 1641.3 일본민국 가고시마 현 카노야 시
가고시마주오 Kagoshimachuo 鹿児島中央 36.9 1678.2 가고시마 본선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
일본민국 가고시마 현 가고시마 시
큐슈 신칸센 하카타역 방면(도카이도 신칸센 도쿄역 방면)

열차[edit | edit source]

현재 투입되는 열차[edit | edit source]

일본민국 측은 신칸센 열차의 추가 도입 및 투입을 통한 운행 대비, 중화민국 측은 자체 개발 및 신칸센 도입을 결정하면서 난루고속선의 운행을 결정으나, 류큐 공화국은 주권국가로서의 상징으로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측에서는 잉징고속선 등의 독자적으로 고속철도를 운행할 수 있는 고속열차 전용선의 개통을 염두에 두고, 류큐 공화국과 잉청저우 제도 연방에서는 유로트레인을 도입하여 난루고속선을 운행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유로트레인의 경우엔 류큐철도공사 도입분 도색과 차적/모델명 및 잉청저우 제도 연방 교통부 산하 공공철로관리국 도입분 도색과 차적/모델명은 다르다.

퇴역한 열차[edit | edit source]

2000년대에 구간개통을 시작해, 2010년대에 완전개통한 만큼, 아직까지 퇴역한 열차는 없다.

여담[edit | edit source]

  • 화루선 최속달열차로 하루 걸리는 타이베이~잉청저우~도쿄 간의 거리를 최속달 기준 12시간, 소요시간이 늦은 열차 기준으로 16시간 정도로, 소요시간을 1/3에서 절반 가량 단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잉청저우-이스트코스트 대도시권 기준으로 4시간의 벽이 작용하는 최전방 도시권이 나화권과 타이베이권에 국한될 정도로 한참 부족하며, 이는 유라시아 대륙고속철도망, 화루고속선과 큐슈신칸센의 영업최고속도를 산요신칸센 영업최고속도인 320Km/h로의 증속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이 노선의 4시간의 벽의 북방한계선 자체가 최소 나고 도시권과 타이중 도시권까지만 올라갈 수밖에 없으므로, 4시간의 벽을 칸몬권[8]이나 히로시마권, 가오슝권이나 진먼다오-샤먼으로 끌어올리려면 자기부상 고속철도망의 도입이나 하이퍼루프의 개발로 해결해야 할 수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 위와 같은 4시간의 벽의 한계에 부딫히는 소요시간 문제가 수요를 크게 깎아먹을 만도 하겠지만, 의외로 예상보다 50% 이상 많은 수요를 이끌어내고 있다. 그 이유는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인구 밀집 지역의 분포와 잉청저우 시의 도시 구조가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데에 있는데, 잉청저우 제도 연방의 경우에는 난루고속선과 이어지는 잉징고속선으로 인해, 잉징고속선을 지나는 잉청저우역 경우 난루고속선 운행계통의 고정적 수요가 확보된 상황에서, 잉청저우 섬 전역을 비롯한 잉청저우 제도 연방 전 국토가 환승까지 감안한 확장적 의미의 연선에 해당하며, 그로 인해, 잉청저우 제도 연방 인구의 95% 가량을 커버할 수 있는 점에 의해서라고 한다. 최근에는 저가 항공사가 등장해 치열한 경쟁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저가 항공사의 안전 문제 및 서비스 질 저하 문제로 인해 고속철도가 경합 우세의 판도를 보이고 있다.

각주[edit | edit source]

  1. 2016년 7월 1일 고속철도 난강역 개업 이전까지는 무정차 통과 실시
  2. 난강역의 경우에는 2016년 7월 1일 개업. 그때까지는 무정차 통과를 했었음.
  3. 그 중 75% 정도가 해저터널 구간이며, 해저터널 구간은 침매터널로 되어있다.
  4. 구이서우~잉청저우 구간만으로는 고속열차 운행이 불가하고, 이스트코스트로 연장하더라도 꺾기식 방향 전환을 하지 않는 대신에, 승무원이 동차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해 정시성에 타격이 가므로, 잉청저우 제도 연방 내 구간만을 운행하는 열차를 운행하지 않는다.
  5. 화롄~서우펑 구간(정확히는 서우펑 분기점까지)은 타이둥선과 화루선의 중복지정구간이다.
  6. 이스트코스트, 카마키 방향 상/하행에 한해서만 정차
  7. 나화, 가고시마주오 방향 상/하행에 한해서만 정차
  8. 기타큐슈 시와 시모노세키 시를 주축으로 이뤄지는 도시권

같이 보기[edit | edit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