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프로이센어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 |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세계관에서 창작된 인공어가 아니라, 실제로 쓰고 있거나 쓰였던 언어입니다. 이 문서는 더 스토리즈의 규칙 제 8조에 따라 작성된, 실제로 쓰고 있거나 쓰였던 언어나 그에 관련된 문서를 다루는 문서입니다. |
![]() |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각 세계관이나 각 단일 설정에서 채용한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각 세계관 혹은 각 단일 설정을 창작하는 창작자가 작성한 작성한 공식 설정이므로, 각 세계관 혹은 각 단일 설정의 창작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단순 오류나 오타를 고치는 것 이외의 편집을 시도하는 행위는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정 가능 여부를 문서 작성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 |
![]() |
이 문서는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대체역사 장르의 세계관인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구성하는 문서로써, 모든 것은 허구의 설정이나, 세계관 설정의 구성을 위해 일부 현실의 것을 변형 혹은 확대한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문서의 기여 및 그 철회에 대한 권한은 민주의 여명 세계관을 연재하는 미르체아 지우르지우에게 있습니다. |
사용 국가 | 동프로이센 |
---|---|
사용 지역 | 북유럽 |
사멸 | 17세기 말/ 18세기 초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 서발트어군 고대 프로이센어 |
언어 부호 | |
ISO 639-1 | — |
ISO 639-2 | — |
ISO 639-3 | prg
|
고대 프로이센어(고대 프로이센어: Prūsiskai 프루시스카이, 영어: Old Prussian 올드 프러시안)는 발트어족 서발트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현실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멸된 상태이다.
사용 용례[edit | edit source]
동프로이센 일대에서 쓰였으나, 동방식민운동 등을 통한 독일인의 대이주와, 튜튼 기사단에 의한 프로이센 지방(동프로이센)의 기독교화를 위한 강력한 프로이센 지방(동프로이센) 정복 과정에서의 튜튼 기사단의 고대 프로이센인 대학살과 고대 프로이센인의 대(對) 튜튼기사단 저항의 실패로 인해, 결국에는 고대 프로이센인이 독일인에 동화됨에 따라, 독일어에 밀려 18세기에 소멸하고 중세에서 근세 사이에 남겨진 문헌 속 자료와 독일어의 프로이센 지역 방언 속 단어 혹은 독일화된 지명으로만 흔적이 남았다가, 현대에 들어와서야 겨우 부활을 시도하여 50여 명의 제2언어 화자만이 존재한다.
사용국가[edit | edit source]
현실[edit | edit source]
사멸되어 없음.